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루쉰전집 10 집외집습유보편

루쉰전집 10 집외집습유보편

  • 루쉰
  • |
  • 그린비
  • |
  • 2017-12-26 출간
  • |
  • 696페이지
  • |
  • 161 X 227 X 46 mm /969g
  • |
  • ISBN 9788976822802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루쉰이 남긴 숨은 글 모음, 집외집습유보편

『집외집습유보편』은 루쉰의 문집에 실리지 않은 글들을 모은 문집이다. 루쉰 사후인 1938년 『집외집습유』가 출간된 이후 루쉰의 여러 글들이 계속 발견되어 이를 1981년 전집 출간 때부터 한 권으로 엮어 펴낸 것이다. 루쉰의 문집은 크게 문학작품과 잡문집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루쉰이 직접 편집하고 출판에 관여했지만, 이 문집은 루쉰 사후에 누락된 모든 글을 수집하고 있어 기록의 의미가 더 강한 글 모음이다. 소설과 시, 날카로운 논설의 바탕이 되는 초기의 글, 습작, 각종 서문과 발문, 평론, 광고문, 추모문 등 다양한 글이 포함되어 있어 루쉰의 삶과 사상의 다양한 결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중국 문화를 이끈 루쉰, 그 삶의 넓은 스펙트럼

『집외집습유보편』에는 다른 어떤 문집보다 루쉰 초기의 글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십대 후반에 자젠성(?劍生)이라는 필명으로 쓴 시와 산문, 20대 초반에 쓴 전통 한시 성격의 시문, 1902년 일본 유학 후에 쓴 중국 광산 관련 자료와 「파악성론」 등이 그것이다. 특히 「파악성론」(破惡聲論)은 미완성 문장이지만 루쉰의 초기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악성’(惡聲)은 사람과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악한 소리를 가리키므로 제목을 풀면 ‘악한 소리를 타파하기 위한 논설’이 된다. 서구 근대와 제국 열강이 침략해 들어오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중국의 자강과 각성을 열망하는 청년 루쉰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또한 루쉰은 고전 연구와 문학사 분야에도 한 획을 그었는데, 그 바탕이 되는 활동이 이 문집에 잘 드러나 있다. 「콰이지우묘폄석고」, 「『묵경정문』 재교열 후기」, 「『포명원집』 교감기」 등 고문과 탁본을 베껴 쓰는 작업, 문헌을 비교하며 교감하는 작업이 그것이다. 이 작업이 집중되는 시기는 1909년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 1918년 첫 단편소설 「광인일기」를 발표하기까지 일종의 암흑기라 할 수 있는데, 루쉰이 좌절된 혁명에 주저앉지 않고 고문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을 하며 또다른 갈래의 길을 모색했음을 보여 준다.
한편 1918년 이후부터 루쉰은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폄과 동시에 『신청년』에 ‘수감록’이라는 이름의 잡문을 발표하며 적극적으로 언론 활동을 하기 시작하는데, 이 문집에도 그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루쉰이 문집을 편집하면서 싣지 않은 혹은 누락된 다양한 잡문이 시기별로 다양하게 있고, 「혼잣말」과 같은 산문시, 「나의 우두 접종」과 같은 회상 수필이 포함되어 있어 루쉰 문학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준다.
이외에 기존 문집의 성격에 맞지 않는 각종 발간사와 설명서, 제기, 서문, 발문, 도서목록, 해설문, 광고, 추모문 등 다양한 잡글들이 『집외집습유보편』에 널려 있다. ‘찌꺼기 중에 찌꺼기’라 할 수 있는 이 글들을 통해 오히려 생활인으로서의 루쉰의 모습을 다양하게 그릴 수 있다. 공무원, 교육자, 인쇄 전문가, 출판사 운영자, 편집자, 교열자, 목판화 및 삽화 전문가, 번역자 등등 루쉰의 일상과 관련한 상세한 모습이 행간에 포진하여 루쉰을 읽는 즐거움을 배가시켜 준다.


목차


『루쉰전집』을 발간하며 … 11

ㆍ집외집습유보편(集外集拾遺補編)

1901년
재정정 『서하객유기』 목록 및 발문 … 27

1903년
중국지질약론 … 30

1908년
파악성론 … 58

1912년
『웨둬』 발간사 … 87
군부 통언 … 91
신해유록 … 93

1913년
국무원에 올리는 국가 휘장 도안 설명서 … 97
미술보급에 관한 의견서 … 101
스스로 그린 명기 약도 설명 … 109

1915년
‘대운사미륵중각비’ 교감기 … 113

1916년
「교육강요」 폐지에 관한 참고사항 … 115
1917년
콰이지우묘폄석고 … 118
『구미 명가 단편소설 총간』 평어 … 123
‘□굉묘지’고 … 125
[부기] 휘굉묘지 … 127
‘서법지묘지’고 … 131
‘정계선잔비’고 … 135

1918년
‘여초묘지명’발 … 138
여초묘출토 우쥔정만경고 … 145
『묵경정문』 재교열 후기 … 152
『포명원집』 교감기 … 154
수감록 … 156
『미술』 잡지 제1기 … 159

1919년
‘권법과 권비’에 관하여 … 161
[참고] 권법과 권비(천톄성) … 164
수감록 3칙 … 170
그 … 174
촌철 … 176
혼잣말 … 179

1921년
“살아서는 항복해도 죽어서는 항복하지 않는다” … 187
이름 … 189
무제 … 192

1922년
『수초당서목』 초록 교정 설명 … 196
『당인설회』 진상 폭로 … 198
1923년
『소설세계』에 관하여 … 205
웨이젠궁 군의 ‘감히 맹종하지 않는다’를 읽은 이후 몇 가지 성명을 발표하다 … 210
[참고] 감히 맹종하지 않는다!(웨이젠궁) … 213
이씨 소장본 『충의수호전서』 새 판각 제요 … 222
『중국소설사략』에 제사를 써서 촨다오에게 증정하다 … 224
시미즈 야스조에게 부쳐 … 225

1924년
광둥성 신후이 뤼펑쭌 군에게 답하다 … 226
‘우스갯소리’에 대한 우스갯소리 … 228
기괴한 일력 … 230
대척여인 100회본 『충의수호전』 장회 제목 교감기 … 232
볼기 이백 대는 볼기 백 대의 오류 … 233
문학구국법 … 235

1925년
통신(쑨푸위안에게 답함) … 238
[참고] 루쉰 선생의 농담(Z.M.) … 238
베이징여자사범대학 학생들을 위해 교육부에 올리는 문건 두 편 … 241
『중국소설사략』 재판 부기 … 246

1927년
‘출판계로 가면서’ 코너의 ‘전략’ … 248
『강동화주』 소인 … 253
새로운 세상물정 … 256
중산대학 개교 치사 … 270
상하이와 난징 수복 경축 저편 … 272
소설목록 두 가지에 관하여 … 277
서원절지 … 291
서원절지(2) … 295
서원절지(3) … 299
지식계급에 관하여 … 302
세상의 도를 구제하려는 문건 4종 … 313
‘병과 갑’ 평어 … 322
[참고] 병과 갑(지롄) … 322

1928년
‘모 신문 스크랩 주석’ 평어 … 325
[참고] 모 신문 스크랩 주석(서우롄) … 326
‘행로난’ 평어 … 330
[참고] ‘행로난’(루셴취안) … 331
‘표점부호 금지’에 대한 평어 … 335
[참고] 표점부호 금지(첸쩌민) … 335
지롄이 보내온 편지에 대한 평어 … 337
[참고] 통신(지롄) … 338
‘오류 본보기’ 편집자 주 … 344
[참고] 오류 본보기(위시) … 344
통신(장멍원에게 답함) … 353
[참고] 우상과 노예(시핑) … 354
보내온 편지(장멍원) … 362
‘이번이 세번째’에 대한 평어 … 367
[참고] 이번이 세번째(원후이) … 368
샤오전과 캉쓰췬에게 답함 … 370
[참고] 편지 개요(샤오전, 캉쓰췬) … 371
‘신문 스크랩 한 조각’ 습유 … 373
[참고] 신문 스크랩 한 조각(잉양) … 374
‘나도 푸단대학에 대해 말한다’ 문장 뒤의 부기 … 385
[참고] 나도 푸단대학에 대해 말한다(판추지) … 385
통신(장다성에게 답함) … 397
[참고] 보내온 편지(장다성) … 399
‘덜렁이’에 관하여 … 403
‘도쿄통신’ 평어 … 406
[참고] 도쿄통신(어쥔) … 407
근하신년 … 415

1929년
『근대미술사조론』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글 … 417
‘공자가 남자를 만나다’에 관하여 … 424

1930년
류우지가 보내온 편지에 대한 의견 … 458
[참고] 보내온 편지(류우지) … 459
『문예연구』 범례 … 462
루쉰 자서전 … 464
펑후이시에게 제사를 써주다 … 467
『철갑열차 Nr.?14-69』 번역본 후기 … 469

1931년
『타오위안칭 출품 도록』에 부쳐 … 472
케테 콜비츠의 목판화 「희생」 설명 … 474
『용사 야노시』 교열 후기 … 476
리베라의 벽화 「빈민의 밤」 설명 … 480
‘일본 연구’의 바깥 … 482
독일 작가 판화전 소개 … 485
독일 작가 판화전 거행 연기 진상 … 488

1932년
수재가 바로 ‘건국’이다 … 490
『외투』에 부쳐 … 492
『문신』에 대한 나의 의견 … 493
제기 1편 … 495

1933년
문학노점상 비결 10조 … 497
고바야시 동지의 사망 소식을 듣고 … 499
통신(웨이멍커에게 답함) … 501
[참고] 보내온 편지(웨이멍커) … 504
나의 우두 접종 … 508
‘문인무행’을 변론하다 … 521
아녀자들도 안 된다 … 524
1934년
자서전 … 528
『루화』에 관하여 … 531
『무명목각집』 서 … 532
‘현무호 괴인’ 해설 … 534
[참고] 현무호 괴인 … 534
‘『어머니』 목판화 14폭’ 서 … 537
『송은만록』에 부쳐 … 539
『송은속록』 잔본에 부쳐 … 541
『만유수록도기』 잔본에 부쳐 … 543
『풍쟁오』에 부쳐 … 544
『역문』 창간호 전언 … 546
‘잡문’ 짓기도 쉽지 않다 … 548
『개자원화보 3집』에 제사를 써서 쉬광핑에게 주다 … 553

1935년
형세는 반드시 그렇게 되고, 이치는 본래부터 그러했다 … 555
『중국신문학대계』 소설 2집 편찬 감상 … 557
“달을 속이다” … 558
‘모’ 자의 네번째 뜻 … 560
“타고난 야만성” … 562
사지 … 564
중국의 과학 자료 … 566
‘유불위재’ … 567
“황제 자손” 두 부류 … 569
‘진귀함’을 모으다 … 571

1936년
『머나먼 나라』 해설 … 573
차오바이의 목각상에 부쳐 … 575
‘중국걸작소설’ 소인 … 576
『케테 콜비츠 판화 선집』에 제사를 써서 지푸에게 증정하다 … 578
세계사에 보내는 답신 … 579
쉬사오디·예쑤중·황핑쑨에 관하여 … 581

부록 1

1907년
『중국광산지』 자료 모집 광고 … 584

1909년
『역외소설집』 제1책 … 586
『질긴 풀』 번역본 서문(잔고) … 588

1912년
저우위차이 알림 … 590

1919년
무슨 말? … 591

1921년
「악동」 부기 … 595

1925년
『고민의 상징』 광고 … 596
‘웨이밍총간’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려 하나?(1) … 597
알림 … 599
루쉰 공고 … 600
『망위안』 출판 예고 … 601
베이징여자사범대학 사태 선언문 … 603
편집자 부기 … 606
「민첩한 역자」 부기 … 608
오류 교정 … 609
‘웨이밍총간’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려 하나?(2) … 612
1926년
‘웨이밍총간’과 ‘오합총서’로 간행한 서적 … 615

1928년
본간 단신 … 621
『근대미술사조론』 삽입 도판에 관하여 … 623
[참고] 보내온 편지(천더밍) … 623
편집자 부기 … 625

1929년
삼가 알림 … 626

1930년
쉬스잉에게 주는 도서목록 … 628

1931년
루쉰 공고 … 630
『훼멸』과 『철의 흐름』 출판 예고 … 632
삼한서옥에서 교정 인쇄한 서적 … 634
삼한서옥에서 교정 인쇄한 문예서적 … 637
『‘철의 흐름’ 그림』 특가 알림 … 640

1934년
정정 … 642
『상하이에 온 버나드 쇼』 … 643
『인옥집』 광고 … 644
『목판화가 걸어온 길』 알림 … 646
주간 『극』 편집자에게 보내는 정정 편지 … 648
『십죽재전보』 패기 … 649

1935년
『러시아 동화』 … 651
『역문』 편집자에게 보내는 정정 편지 … 653
1936년
‘30년집’ 편집 목차 두 종류 … 655
『죽은 혼 백 가지 그림』 … 658
『케테 콜비츠 판화 선집』 패기 … 660
『해상술림』 상권 삽화 오류 교정 … 661

부록 2

1898년
자젠성 잡기 … 664
시화잡지 … 666

1900년
아우들과 이별하고 … 668
연밥 … 670

1901년
경자년 조왕신을 보내며 지은 즉흥시 … 672
책의 신에게 올리는 제문 … 673
중제의 송별시 원운에 화답하다(발문도 함께 쓰다) … 676
꽃을 아까워하며 율시 4수 … 678

1902년
정요경을 애도하며 … 682
사진에 제사를 써서 중제에게 주다 … 683

『집외집습유보편』에 대하여 … 68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