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8 송원영 문학교육론 - 임용고시 시험대비

2018 송원영 문학교육론 - 임용고시 시험대비

  • 송원영 저
  • |
  • 윌비스
  • |
  • 2018-01-05 출간
  • |
  • 410페이지
  • |
  • ISBN 9791159624414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주지하다시피 2014학년도부터 임용 시험 제도가 개편되었습니다. 1차 객관식 문항 유형 2차 논술 문항 유형으로 나눠 출제되던 기존 체제에서 벗어나, 필기 시험은 1차로 한정하되 서답형문항 즉, 기입(단답형), 서술형, 논술형을 포함한 문항 유형이 A형과 B형으로 나누어 각각 제시되었던 것입니다.

전공 국어 시험은 두 차례의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먼저 2008(2009학년도)을 기점으로 하여 출제 유형과 경향이 그간의 경향과 확연하게 달라져, 1차 객관식과 2차 논술형 문항으로 출제되었습니다.

두 번째로 2014학년도에 개편된 서답형유형으로의 변화인데, 이는 기입형서술형, 논술형문항으로 출제되어 시행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치러진 서답형으로 바뀐 전공 국어 임용 시험에서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느꼈던 것은 체감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입니다.

특히 2018학년도 문학 영역은 소위 수능형이라는 점에서 문제 유형이 기존 출제 스타일을 좀 더 강화하여 주어진 조건에서 작품의 치밀한 분석을 요구했다는 점입니다.

앞으로도 시험이 쉬어지는 경향은 지속되리라고 봅니다. 다만, 문제가 쉬워진다는 의미는 주어진 작품을 출제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거나 해석하라고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주어진 작품을 출제자의 요구에 따라 전공 지식을 활용하여 분석할 것을 요구하는 경향에 대처하기 위한 문학 공부 방법론이 요구됩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그간 문학 공부의 양상들을 과감하게 탈피하여 새로운 공부 방법론이 요구됩니다. 그간 우리들의 문학 학습은 인터넷에 쉽게 찾을 수 있는 핵심정리에 의존하여 작품에 대한 대략적인 지식을 갖추거나, 질보다는 양 즉 얼마나 많은 양의 작품을 알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한 지식 학습 위주로 준비해왔습니다.

이는 이제 시간 낭비일 뿐만 아니라 변화된 시험제도에서 비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서답형 시험을 치러본 후, 내린 결론입니다.

특히 임용 시험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방대한 양의 작품들을 작가별, 시대사별로 정리하거나, 대학원 수준에서도 어려운 문학 개론서에 집착함으로써 작품의 핵심 정리 및 개론서 요약에 급급했던 경험이 대다수일 것입니다.

이 모든 문제 사례들이 저로 하여금 문학교육론 강의 준비와 교재 출간의 근본적인 이유가 되었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을 2015/12 문학 교육과정 및 기출문제와 관련지어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작가별 작품 정리, 시대사적 작품 정리 등의 학습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및 기출문제와 연계되는 의미있는 전공 문학의 학습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수능 작품을 활용한 <작품 분석>을 수록하였습니다. 이는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적용을 실제로 활용함으로써 변화하는 전공 문학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답형으로 변화되어 이제 다섯 차례 시험을 치렀습니다. 비록 많은 횟수는 아니지만 이를 통해서 수험생들은 어떠한 문학 공부 방법이 필요한 것인지 감을 잡았을 것입니다. 제 교재가 그러한 감과 직관을 확실한 학습 방법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제 강의와 교재가 전공 문학의 만점을 보장하는 완벽한 길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이 책을 바탕으로 꾸준하고 충실하게 공부한다면, 막연하고 부담스러웠던 문학 영역에 쉽게 다가갈 수 있고, 합격을 위한 고득점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격려해주시고 아껴주신 여러분들의 기대에 최선을 다해 가르치는 것이 보답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면서, 합격을 위한 한걸음에 함께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2018 1 2

편저자 송원 올림

목차

Part01 문학 교수 학습

Chapter 01. 문학 교육과정 2

1절 문학의 본질 2

1. 문학의 개념 2

1) 문학의 개념 2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의 성격 5

1) 소통으로서의 문학 6

2) 소통으로서의 문학 교육의 관점 7

3. 문학의 기능역할 9

1) 문학의 기능(가치) 9

2) 문학의 기능역할 지도 10

2절 문학의 수용과 생산 12

1. 문학 수용 교육 내용 12

1)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연관 12

2) 맥락을 고려한 수용 16

3) 주체적 평가다양한 해석 24

4) 공감과 비판 27

2. 생산 및 재구성 29

1) 성격 30

3절 문학과 태도 35

1. 자아성찰 및 타자 이해 35

1) 자아성찰 원리와 교수학습 내용 35

2) 타자 이해의 원리와 교수학습 내용 38

2. 공동체 기능 44

1) 성격 44

2) 공동체 의식 형성의 원리 44

Chapter 02. 문학 교육관 및 문학 교수학습 모형 49

1절 문학 교육관 49

1. 문학을 바라보는 3가지 관점 49

1) 실체 중심의 문학관 49

2) 속성 중심의 문학관 50

3) 활동 중심의 문학관 51

 

 

2. 문학 교육관-고전문학 중심 53

1) 언어 교육관과 문학 능력 범주 53

2) 고전 문학 교육내용 요소 54

3) 작품 적용 55

2절 문학 교수학습 모형 58

1. 반응 중심 문학 교수학습 모형 58

1) 절차 58

2) 단계별 활동 및 지도 58

2. 대화 중심 문학 교수학습 모형 59

1) 절차 59

2) 단계별 활동 및 지도 60

3절 문학 교재론 64

1. 문학 교재 64

1) 성격 64

2) 문학 교재 개발 64

2. 교과서 66

1) 성격 66

2) 교과서 단원 구성 67

Part02 문학의 갈래 이론과 문학 교육

Chapter 01. 서정 교육 지도 내용 75

1절 시적 화자 75

1. 성격 75

1) 관련 개념 75

2) 시적 화자 76

2. 시적 화자와 어조 교육 81

1) 성격 81

2) 어조에 따른 시의 양상 81

3) 시적 화자 교육 82

4) 화자 교육의 방향 85

2절 비유운율상징심상 86

3절 운율과 음악성 87

1. 성격 87

1) 개념 87

2) 전통시가와 현대시의 운율 87

2. 운율 교육 89

1) 형성원리와 효과 89

4절 비유상징과 함축성 92

1. 비유 92

1) 성격 92

2) 비유 교육 92

2. 상징 95

1) 성격 95

2) 상징 교육 97

5절 심상(心象)과 형상성(회화성) 98

1. 성격 98

1) 개념과 특징 98

2) 심상의 유형 98

2. 심상 교육 99

1) 형성원리 및 효과 99

 

 

 

6절 반어(아이러니)와 역설 101

1. 반어 101

1) 성격 101

2) 반어 교육 102

2. 역설 103

1) 성격 103

2) 역설 교육 104

Chapter 02. 서사 교육 지도 내용 105

1절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105

1. 갈등의 성격 105

1) 특성 105

2) 갈등의 양상 106

3) 갈등의 기능 106

2. 갈등의 요소 114

1) 인물 114

2) 사건 118

3) 구성 119

2절 시점과 서술 125

1. 시점과 서술의 성격 125

1) 성격 125

2) 거리 125

2. 시점의 실현 양상과 특징 126

1) 서술자의 위치 126

2) 시점에 따른 서술상의 특징 127

3) 기타 129

3. 초점화와 다양한 서술 양상 129

1) 초점의 분류 129

2) 서술 양상 130

3절 주제와 배경 134

1. 주제 134

1) 성격 134

 

 

2. 배경 134

1) 성격 134

4절 표현의 형성원리와 효과 136

1. 반어 136

1) 성격 136

2) 반어 교육 136

2. 풍자 138

1) 성격 138

Chapter 03. (희곡) 교육 지도 내용 142

1. (희곡)의 특성 142

1) 행동의 문학 142

2) 희곡의 형식적 요소 143

3) 희곡의 내용적 요소 144

Chapter 04. 교술 교육 지도 내용 148

1. 교술 문학의 성격 148

1) 수필의 요소 148

2) 수필의 유형 148

2. 교술 문학의 특성 149

1) 자유로운 형식과 표현 149

2) 자기 성찰과 직접 전달 149

3) 인간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의 형상화 149

Part03 문학사와 문학교육

Chapter 01.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154

1절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154

2절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의 이해 158

Chapter 02.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 이해 160

1절 고전시가문학사 교육 160

1. 상고시가 162

1) 의의 162

2) 문학 교육적 의의 162

2. 향가 166

1) 양식적 특성 167

3. 고려속요 183

1) 양식적 특성 184

4. 경기체가 199

1) 양식적 특성 199

5. 시조 201

1) 조선 전기 204

2) 조선 후기 206

6. 가사 222

1) 양식상의 특징 225

7. 민요 및 잡가 243

1) 민요 245

2) 잡가 247

8. 악장 249

1) 양식적 특성 249

2절 고전산문문학사 교육 253

1. 설화(說話) 254

1) 설화의 유형 및 양식적 특성 255

2) 설화의 특성 비교 256

3) 작품 분석 256

 

 

 

2. 고려시대의 서사문학 263

1) 설화의 집대성 264

2) () 양식의 계승과 발전 267

3. (애정)전기소설(傳奇小說) 274

1) 양식적 특성 275

2) (애정) 전기소설의 역사적 전개 277

4. 영웅(군담)소설 283

1) 양식적 특성 285

5. 몽유록계몽자류 소설 293

1) 양식적 특성 294

6. 가정가문 소설 298

1) 가정 소설 299

2) 가문소설 300

7. 애정 소설 306

1) 양식적 특성 307

2) 작품 분석 308

8. 판소리 및 판소리계 소설 312

1) 양식적 특성 315

9. 박지원의 한문소설 319

1) 특징 322

10. 다양한 유형의 소설 326

1) 우화 소설 327

2) 세태 소설 329

11. 기타 고전산문 331

1) 양식적 특성 332

3절 현대시문학사 교육 335

1. 개화기 시가 335

1) 특징 335

2) 작품 분석 336

2. 1920년대 338

1) 개관 338

2) 대표 작가의 작품 경향 339

 

 

3. 1930년대 348

1) 개관 348

2) 대표 작가의 작품 경향 350

4. 1940년대(1939~1945) 359

1) 개관 359

2) 대표 작가의 작품 경향 359

5. 해방 문단(1945~1950) 360

1) 개관 360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61

6. 1950년대 361

1) 개관 361

2) 대표 작가의 작품 경향 363

7. 1960년대 368

1) 개관 368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69

8. 1970년대 374

1) 개관 374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75

4절 현대산문문학사 교육 378

1. 개화기 신소설 378

1) 개관 378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79

2. 이광수의 계몽 의식과 무정 382

1) 이광수의 작가 의식 382

2) 무정의 문학사적 위치와 한계 382

3. 1920년대 383

1) 개관 383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84

4. 1930년대 388

1) 개관 388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88

 

 

 

5. 1930년대 392

1) 개관 392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94

6. 해방 문단 395

1) 귀환 과정의 서사화 395

2) 식민지 체험에 대한 지식인의 자기 비판을 서사화 397

7. 50년대 전후 소설 399

1) 개관 399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399

8. 1960년대 405

1) 개관 405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405

9. 1970년대 406

1) 개관 406

2) 주요 작가의 작품 경향 407

저자소개

준비중입니다

도서소개

이 책의 특징

 

1.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을 2015/12 문학 교육과정 및 기출문제와 관련지어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작가별 작품 정리, 시대사적 작품 정리 등의 학습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및 기출문제와 연계되는 의미있는 전공 문학의 학습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수능 작품을 활용한 <작품 분석>을 수록하였습니다. 이는 문학교육론의 핵심 개념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적용을 실제로 활용함으로써 변화하는 전공 문학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