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21세기 들어와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현대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대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예전보다 더욱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노후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와 함께 화장품에 대한 욕구도 일시적인 개선에서 벗어나 노화억제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와 더불어 현대과학의 발달로 인해 기능성 화장품 부분은 괄목할 만한 발달을 하고 있으며,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적 영향으로 유기농 화장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향후 화장품 산업은 화장품의 기획, 설계, 기초연구, 제조?판매 각 부분에서 패러다임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과 설계단계에서는 피부노화연구의 발전으로 화학기술보다 바이오기술의 중요성이 증가될 것이다. 둘째, 제조단계에서는 효능?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화장품에 의료기술 등 타 분야, 즉 전자제어기술, 광학기술이 접목된 융복합화로 진화될 것이다. 셋째, 판매부분에서는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미지 광고보다는 적용기술, 효능성분, 임상결과가 화장품 구매의 핵심요소로 부상될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서 2009년에 출판된 “화장품 과학”의 내용을 보강할 목적으로 개정판을 준비하게 되었다.
화장품 과학은 화학, 약학, 생화학, 분석화학, 향료 과학, 미생물학, 공학, 생리학, 피부학, 색채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다. 따라서 한 권의 저서에서 화장품 관련 지식을 모두 망라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작업인데다가, 또한 저자 개인의 지식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기존의 관련 서적들을 많이 참고했음은 물론, 필요할 경우 부분적으로 인용했음도 밝혀두고자 한다.
이 책의 미흡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 나갈 생각이다. 따라서 이 작은 책자가 대학에서 화장품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비롯하여, 화장품 분야의 연구원, 피부 미용이나 피부 관리 분야의 모든 종사자들, 또는 화장품 제조업에 도전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출간 후에라도 수정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자유아카데미 홈페이지(
www.freeaca.com) 자료실에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