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극동

극동

  • 성골롬반외방선교회
  • |
  • 살림
  • |
  • 2017-12-14 출간
  • |
  • 648페이지
  • |
  • 159 X 200 X 48 mm /1005g
  • |
  • ISBN 9788952238146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서양 천주교 선교사들이 생생하게 기록한
조선인의 생활, 조선인의 신앙

전 세계에서 교회 없이 상당수의 사람이 천주교 신앙을 스스로 받아들인 곳은 바로 조선이다. 1777년 권철신과 정약전, 이승훈을 포함한 유명한 학자들은 외딴 절에서 천주교를 처음 접하게 된다. 이후 이승훈은 1784년 조선 최초의 영세자가 되어 몇몇 지인에게 복음을 전해 영세를 주고, 1794년에는 조선의 최초 천주교 사제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 발을 딛게 된다. 그러나 1801년 신유박해를 시작으로 기해박해, 병인박해에 이르기까지 천주교 신자의 고난이 지속되자 이들의 신앙을 돕기 위해 각국의 선교회는 사제들을 조선에 파견한다. 성골롬반외방선교회는 1918년에 창설한 천주교 선교단체로, 1933년 교황청으로부터 한국 진출을 허락받아 맥폴린 신부 등 10명의 사제가 입국해 전라남도와 제주에서 선교를 시작했다.
이 책은 조선에 파견된 성골롬반외방선교회 소속 사제들이 아일랜드에 본부를 둔 선교회의 월간 기관지인 『극동(極東, The Far East)』에 기고한 글들을 묶었다. 일부 글은 필자가 없고, 한두 편의 글은 한국인 신자의 글이다. 시대순으로 제1부는 1930년대에 실린 기사로 천주교 신앙이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지, 서양 선교사들이 맞닥뜨린 조선에서의 첫 생활과 그 소감은 어떠했는지를 여러 필자의 언어로 기록한다. 제2부는 1940년대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험난한 국제 정세 속에서 선교사와 조선인이 어떻게 일상과 신앙을 영위해나갔는지 다양한 비화를 통해 밝히고 있다. 제3부는 1950년대 실린 기사로 한국전쟁 당시 박해와 죽임을 당한 선교사들의 고난이 담겨 있다.

낯선 이방인의 시선으로
재탄생한 조선의 이모저모

동방 은자(隱者)의 나라라고 불릴 만큼 조선은 오랜 통상수교거부정책으로 여하한 나라와도 절대 교류하지 않았다. 조선인은 타국으로 떠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어떤 외국인도 조선에 입국하지 못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통상수교거부정책이 허물어지면서 외래 문물과 외국인이 조선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간 비밀 경로와 잠입을 통해 조선인 신자들과 교류해왔던 서양 선교사들은 일말의 자유를 얻었지만, 여전히 폐쇄적인 조선 사회에서 이방인이었다.
『극동』에 실린 기사는 조선 곳곳에서 제2의 삶을 개척한 서양 선교사들의 일화를 풀어낸다. 한국인이라면 익숙할 옛 모습은 낯선 이방인의 시선으로 새롭게 묘사된다. 조선 전통의 생활양식과 풍경, 조선의 문물과 산업, 조선의 국민성과 특이한 신자들에 대한 회고, 한국전쟁의 참상과 전후 복구 과정에 대한 선교사들의 기록은 놓치기 쉬운 조선의 이면을 포착한다.
“현대의 조선인들은 모이기를 좋아한다는 점에서 예수님이 살던 옛날 유대의 사람들을 닮았다고 말할 수 있겠으나, 조선인은 항상 유대인들의 특징인 장사꾼 기질도 없었고, 그들을 그토록 비열하게 만들었던 교활함도 없었고, 그들을 그렇게 멸시받게 만든 위선을 거의 갖고 있지 않다. 요컨대 조선인은 소박한 심성에 선한 성품을 지닌 사람이고, 그를 이해하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좋아할 수밖에 없는 사람이다. 조선인은 또한 극도로 붙임성이 있다. 아마도 이 점이 조선인들이 항상 마을에서 사는 이유일 것이다. 외딴집이란 것은 이 나라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조선 천주교사 속
숨은 주역들을 비추다

현재 한국의 천주교 신자 수는 약 570만 명으로, 총인구의 10퍼센트 정도를 차지한다. 1794년 조선 최초의 신부 주문모 신부가 입국했을 당시 천주교 신자가 4,000여 명에 불과했던 것에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놀랄 만한 종교적 성장을 이룩했다. 이 책은 천주교가 조선에 뿌리내리고 꽃 피우기까지 박해에 굴하지 않고 천주교 전파에 힘쓴 조선인 신자들의 활약을 그린다. 무엇보다 메타적인 역사서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 소수자 신자들의 신앙과 활약을 기록하고 있다.
험난한 박해 속에서도 주문모 신부를 측근에서 도우며 신자들을 가르치고 이끌었던 강완숙, 구걸로 생계를 유지했지만 신부의 자선을 거절하고 경건한 신앙생활을 했던 걸인 조씨, 사제관에서 사제를 위해 음식을 만들어줬던 식복사, 사회와 고립된 곳에서도 신앙의 끈을 놓지 않았던 나병 환자들, 성당 재건을 위해 거리낌 없이 노동력을 제공하고 재산을 기부했던 지역 평신도들에 관한 이야기는 지금을 살아가는 많은 천주교 신자에게 공감과 감동을 선사하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발간사
편역자 해제

제1장 1930년대에 실린 기사
1933년 11월호 사설
1933년 11월호 동방 은자의 왕국
1934년 7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1회)
1934년 8월호 조선에서의 첫 생활 이모저모
1934년 9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2회)
1934년 10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3회)
1934년 1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4회)
1934년 1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5회)
1935년 1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6회)
1935년 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7회)
1935년 2월호 왕자비(王子妃) 장씨(氏)가 보낸 성탄 편지
1935년 3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8회)
1935년 7월호 ‘둥글게 둥글게’
1935년 10월호 요한이 지은 집
1936년 2월호 영혼의 우리란 무엇인가?
1936년 3월호 메이누스선교회의 큰 영광
발행일 미상 조선에서 보낸 편지
1937년 11월호 갖가지 모자의 나라, 조선 !
1938년 1월호 우리의 문둥이 친구들
1938년 3월호 다니엘 맥메나민 신부님
1938년 6월호 조선의 소묘(素描)
1938년 9월호 조선에서의 어느 이른 아침
1939년 3월호 강원도 산간의 선교
1939년 3월호 다른 종(鐘)
1939년 5월호 목포의 자랑
1939년 6월호 환갑(還甲)
1939년 9월호 대구의 새 대교구장
1939년 10월호 순천의 우리 학교
1939년 12월호 아침의 고요 속에서

제2장 1940년대에 실린 기사
1940년 2월호 도사울의 경삿날
발행일 미상 조선에서 교회 세우기
1940년 8월호 송 바오로의 행복
1940년 9월호 미국에서 일본으로
1940년 10월호 선택받은 조선인들
1941년 1월호 조선의 산지(山地)에서
1941년 2월호 교황청, 퀸란 신부를 교구장에 임명
1941년 2월호 조선 천주교 박해 사건들의 회고
1941년 4월호 어린아이가 그들을 인도하게 하라
1941년 6월호 말괄량이 ‘왈바리’
1942년 2월호 조선의 생활양식
1942년 9월-10월 합본 조선의 공소
1943년 4월호 조선의 추억
1943년 4월호 조선의 학교생활
1945년 11월호 조선의 식복사(食服事)
발행일 미상 퀸란 몬시뇰로부터 온 편지
1946년 5월호 조선의 감옥에서 지낸 3년
1946년 8월호 조선에서의 감금
발행일 미상 세 사람의 조선인
1946년 12월호 퀸란 몬시뇰이 보낸 보고서
발행일 미상 조선의 일본인
1947년 8월호 조선 천주교의 재건
1947년 8월호 한국의 오두막
1948년 3월호 조선 에피소드
발행일 미상 조선의 교회
발행일 미상 최 안드레아
1948년 8월호 한국의 나병환자들
1948년 9월호 조씨와 마리아 의사 선생님
1949년 2월호 두 분의 선교회 지도자

제3장 1950년대에 실린 기사
1950년 1월호 한국의 성탄 전야
1950년 5월호 모든 것이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
발행일 미상 어느 부랑자의 임종
1950년 9월호 한국에 온 신참자
1950년 11월호 한국의 추억들
1951년 1월호 한국에서 죽음을 당하시다
1951년 1월호 한국에서의 실종
1951년 2월호 전쟁으로 타격을 입은 한국의 선교원들
1951년 2월호 그분들은 한국에서 희생되셨습니다
1951년 2월호 북한에서 보내는 보고
1951년 2월호 목포로 귀환
1951년 3월호 강릉으로 귀환
1951년 4월호 춘천으로부터 후퇴
발행일 미상 전쟁의 상흔을 입은 춘천
1951년 9월호 라일리 신부님의 최후
1952년 3월호 한국에서의 장례미사
1952년 4월호 목포의 새 본당 신부
1952년 5월호 한국에서 보내는 소식
1952년 8월호 흑산도에서
1952년 10월호 미자와 마리아
발행일 미상 300명의 신부님들
1953년 6월호 한국
1953년 7월호 한국에서의 체포
1953년 8월호 장기간의 억류
1953년 8월호 신앙의 승리
1953년 9월호 한국 남서부에서 보내는 소식
1953년 10월호 춘천의 기적
1953년 12월호 평화의 서곡

편역자 후기
덧붙이는 글
편역자 주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