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영웅의 형상, 그 이면을 보다
관우: 신이 된 영웅|이태희
1. 들어가며
2. 관우가 영웅이 되고 신이 되기까지
3. 기록으로 남아 있는 관우의 형상과 일상
4. 조선의 관제신앙
5. 관제신앙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삼국의 영웅: 고려인 김부식이 소화해낸 인물의 서사|정출헌
1. 프롤로그: 삼국을 새롭게 재구한 고려인, 김부식
2. 『삼국사기』「본기」: 새롭게 재구된 삼국의 역사
3. 『삼국사기』「열전」: 새롭게 소환된 삼국의 인물
4. 에필로그: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서사'의 경계
최치원: 서사의 주인공이 된 역사 속 인물|신상필
1. 우리의 기억에 남은 최치원이라는 인물
2. 서사 문학이 호출한 최치원의 모습들
3. 최치원에 대한 두 가지 시각
4. 현실과 마주한 서사 속의 최치원
비스마르크: 제국에서 온 영웅, 계몽의 도구가 되다|손성준
1. 비스마르크, 최신의 영웅
2. 비스마르크를 변론하다
3. 비스마르크를 지우다
4. 영웅에 대해 이야기하다? 영웅을 통해 이야기하다!
최남선: 신문의 영웅과 전쟁범죄|임상석
1. 20세기 한국의 신문
2. 신문과 소년영웅
3. 체제 속의 자본가와 전쟁범죄
제2부 시대, 여성을 소환하다
영남루와 아랑: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정출현
1. 프롤로그: 조선의 명루와 명기
2. 아랑 서사의 탄생: 겁탈, 그리고 연민 또는 공분
3. 아랑 서사의 변주: 해원과 심판의 어름
4. 에필로그: 아랑의 모습 되돌려 주기
신사임당: 한말 식민지기 모성과 재능의 힘겨루기|박지현
1. 재능이 아닌 모성이 우선
2. 잊혀진 재능을 다시 소환하다
3. 재능, 모성에 수렴되다
4. 침묵하는 신사임당, 재능을 잃다
5. 강릉유적보존회와 신사임당
6. 살아있는 신화, 신사임당
히구치 이치요: 일본 근대'여류'작가 히구치 이치요 탄생의 의미|임경화
1. 돈의 상징이 된 박복한 '여류' 소설가
2. 구시대의 끝에 여자로 태어나다
3. 지긋지긋한 돈, 어긋난 사랑, 덧없는 계급
4. 유곽의 근대와 「키 재기」의 섹슈얼리티
5. 하구치 이치요의 근대문학과 그 기원
장아이링: 상하이 모던 걸과 여성의 운명|박진영
1. 영화 <색, 계>와 <암살>
2. 루쉰, 린위탕, 장아이링
3. 상하이의 모던 걸, 천재를 꿈꾼 소녀
4. 양털은 양의 몸에서 나온다
5. <색, 계>의 모델 정핑루의 운명
6. 광복군이 읽은『천재몽』
7. 미국 유학생 출신 경제학자의 『쌀』
8. 자신의 운명을 연기한 여성들
마리 퀴리와 헬렌 켈러: 한국이 편애한 여성 인물|김성연
1.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이름은 이야기를 동반한다
2. 20세기 초, 위인 서바이벌 무대
3. 가장 강력한 계몽의 기적
4. 민족의 도약, 과학의 신화
5. 생존자들: 마리 퀴리와 헬렌 켈러
제3부 2인자를 다시 생각하다
자공: 공자의 제자, '자공'이라는 사람|배병삼
1.'재벌' 자공
2. 자공이라는 인물
3. 제자 자공
4. 눈 뜸
5. 가르침
6. 스승과 제자
란슬럿과 멀린, 그리고 성배: 아서 왕 세계의 경이|김준현
1. 아서 왕 세계에 대한 매혹
2. 아서 왕 세계에 대한 꾸준한 관심
3. 역사와 상상계의 아서 왕
4. 크레티앵 드 트루아와 원탁의 기사
5. 란슬럿의 초상
6. 멀린과 성배
7. 성배의 현재성
궁예: 역사가 숨긴 궁예, 역사가 숨긴 나라이름'고려'|조경철
1. 문제의 제기
2. 궁예가 세운 나라, 고려
3. 김부식의 『삼국사기』, 궁예를 지우다
4. 『삼국유사』, 궁예의 고려를 살려내다
5. 『제왕운기』, 후고려로 살려낸 궁예
6. 현 역사교과서에서 사라진 궁예의 고려
7. 궁예가 죽은 918년 그 즈음 풍경
8. 동북공정을 넘어 통일로
미시마 추슈: 문명개화기를 살아간 일본의 한학자|박영미
1. 서론
2. 에도 막부 말기ㆍ메이지 유신기의 한학자
3. 문명개화기 한학자로서의 삶
4. 근대기의 '대유선생'
5. 마무리하며
제임스 게일: 잊혀진 한국의 고전번역가|이상현
1. 잊혀진 '선교사'이자 '한국학자'
2. 한국학의 거장, 게일 박사의 저술들
3. "민족지"에서 "고전학"으로
4. 한국인의 마음과 한국문학
5. '한국고전번역가'라는 게일의 초상
초출서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