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아비뇽의 여인들 또는 폭력의 두 얼굴

아비뇽의 여인들 또는 폭력의 두 얼굴

  • 정항균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7-09-30 출간
  • |
  • 718페이지
  • |
  • 163 X 232 X 42 mm /1142g
  • |
  • ISBN 9788952119292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폭력의 역사를 계보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폭력에 대한 근대적 관점을 비판

일반적으로 폭력은 물리적 신체적 폭력과 동일시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과연 폭력을 물리적 신체적 폭력으로 환원하여 정의하는 것이 타당한지 비판적인 물음을 제기하면서, 폭력의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며 폭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한다. 하지만 폭력에 대한 지각이나 인식이 관점에 따라 또는 역사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폭력에 대한 정의가 달라질 수 있고 그 의미도 다양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또한 저자는 폭력을 물리적 폭력과 정신적 폭력(또는 구조적 폭력), 가시적 폭력과 비가시적 폭력으로 구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아와 타자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성의 폭력을 넘어서 이념적 폭력이라는 긍정성의 폭력을 제시한다. 나아가 폭력의 역사를 계보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폭력에 대한 근대적 관점을 비판하는 동시에 현대에 나타나는 폭력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아울러 이러한 폭력에 대한 정의와 계보학적 성찰 외에 법과 폭력, 타자와 폭력, 생명권력과 폭력, 긍정성의 폭력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폭력의 다양한 양상과 그것에 대한 성찰을 다루고 있다.
근대적인 이성적 사고에 빠져 모든 것을 계량화할 수 있다고 믿고 통계적으로 입증 가능한 물리적 폭력만을 폭력으로 간주하는 태도는 폭력에 대해 새로운 민감성을 발전시킨 현대인들의 변화된 폭력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쫓아가지 못한다. 이 책은 폭력에 대한 다각적이면서도 심도 있는 접근을 통해 기존의 폭력연구에서 볼 수 없었던, 폭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이 책의 출발점은 폭력이라는 한 단어에 숨겨진 비밀을 푸는 것이다
핑커는 폭력에서 단 하나의 얼굴만을 보았다. 그러한 폭력은 도덕적으로 나쁜 것이고, 적대적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부정성의 폭력이며, 물리적 신체적 폭력을 의미한다. 그러나 나는 폭력에 또 다른 얼굴들이 숨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게는 도덕적으로 나쁜 폭력 외에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폭력, 타인에 대한 폭력 외에 스스로에게 가하는 자기 연관적 폭력, 물리적 신체적 폭력 외에 심리적 ? 정신적 폭력의 얼굴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폭력의 또 다른 얼굴을 찾아내는 것은 <아비뇽의 여인들>이라는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며 자아 속에 들어 있는 타자를 인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타자에 대한 폭력을 막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책의 제1부에서 저자는 과연 폭력을 물리적?신체적 폭력으로 국한시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한지 비판적인 물음을 제기하며, 면역학적인 폭력인 부정성의 폭력 외에 이념적 폭력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폭력 패러다임의 전환을 알려 주는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법과 폭력, 타자와 폭력, 생명권력과 폭력, 긍정성의 폭력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폭력의 다양한 양상과 그것에 대한 성찰을 다루고 있다. 포스트모던적인 현대의 반복 개념은 동일성의 반복이 아닌 차이 자체의 반복을 지시하며, 차이가 반복되고 반복이 차이를 낳는 언뜻 보아 역설적인 상황을 만들어 내며 창조적인 반복으로서 또다시 긍정적 의미를 획득한다. 그 때문에 이 책에서도 ‘폭력’이라는 한 단어에 숨겨진 다양한 의미와 폭력에 대한 역사적 인식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목차

머리말ㆍ5
서론ㆍ19

제1부 폭력이란 무엇인가?
제1장 기존의 폭력 정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ㆍ43
1. 규범적 관점에서의 폭력 정의ㆍ43
2. 가치중립적인 관점에서의 폭력 정의ㆍ48
3. 광의의 폭력 개념 정의ㆍ62

제2장 폭력의 구성요소 고찰을 통한 폭력 개념 정의ㆍ81
1. 폭력의 내적 구성요소ㆍ82
1) 폭력의 수단과 내용ㆍ82
(1) 폭력의 수단ㆍ82
(2) 폭력의 내용ㆍ84

2) 폭력의 주체와 대상ㆍ90
(1) 폭력의 주체ㆍ90
(2) 폭력의 대상ㆍ102
(3) 폭력주체와 폭력대상의 동일성 가능 여부ㆍ113

3) 폭력의 직접성ㆍ122

2. 폭력의 외적 구성요소: 윤리적 맥락ㆍ125
3. 폭력의 정의ㆍ131

제3장 폭력기계ㆍ135
1. 테러리즘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ㆍ135
2. 폭력의 계보학 1: 사드, 니체, 클라스트르ㆍ143
3. 들뢰즈·가타리와 전쟁기계ㆍ167
4. 폭력기계ㆍ176
5. 폭력의 패러다임 전환 1: 적대적 관계의 폭력에서 자기 연관적 폭력으로ㆍ188
6. 윤리적 폭력 비판과 폭력의 윤리성ㆍ202
7. 폭력의 패러다임 전환 2: 물리적 폭력에서 비물리적 폭력으로ㆍ207
8. 폭력기계로서 폭력의 정의에 대하여ㆍ217
9. 폭력의 계보학 2ㆍ225

제2부 폭력의 유형들
제1장 법과 폭력ㆍ235
1. 폭력의 저지수단으로서 법ㆍ235
1) 근대법치국가의 절대 권력과 폭력성: 홉스의 『리바이어던』ㆍ235
2) 법의 비폭력성과 대항폭력의 인정 문제ㆍ247
(1) 로크의 『통치론』ㆍ247
(2) 루소의 『사회계약론』ㆍ258

3) 보편적 이성과 인륜의 구현으로서의 국가와 법: 헤겔의 『법철학』ㆍ266

2. 법의 폭력성ㆍ279
1) 국가와 법의 폭력성 비판: 아나키즘ㆍ279
(1) 아나코 코뮌주의ㆍ279
(2) 아나코 생디칼리즘ㆍ287

2) 신화적 폭력과 신적 폭력: 벤야민의 「폭력 비판을 위하여」ㆍ289
3) 비상조치법을 둘러싼 예외상태와 폭력의 관계: 슈미트, 벤야민, 아감벤ㆍ306
4) 법과 욕망/힘 그리고 폭력: 라캉과 데리다ㆍ321
(1) 라캉의 「사드와 함께 칸트를」ㆍ321
(2) 데리다의 『법의 힘』ㆍ326

3. 문학과 법: 카프카ㆍ340
1) 카프카의 「유형지에서」ㆍ340
(1) 원시사회의 법, 폭력, 글쓰기ㆍ340
(2) 현대사회의 법, 폭력, 글쓰기ㆍ350
(3) 억압적 권력에 맞선 차이 差移의 글쓰기와 정의의 힘ㆍ356

2) 카프카의 『소송』ㆍ360
(1) 예외상태와 법ㆍ360
(2) 욕망과 법ㆍ367

제2장 타자와 폭력ㆍ383
1. 개인적 정체성ㆍ383
1) 동일성의 폭력과 타자의 윤리학ㆍ383
(1) 레비나스와 타자의 윤리학ㆍ383
(2) 얼굴의 상실과 타자에 대한 폭력: 브링크만의 『고지라』ㆍ393

2) 인정이론과 윤리적 폭력 비판ㆍ404
(1) 버틀러의 윤리적 폭력 비판ㆍ404
(2) 판결과 이해 사이에서: 슐링크의 『책 읽어 주는 남자』ㆍ409

2. 집단적 정체성ㆍ426
1) 식민주의/포스트식민주의 담론ㆍ426
(1) 근대의 두 얼굴: 유럽적 정체성과 식민주의의 관계ㆍ426
(2) 제국과 포스트식민주의ㆍ432
(3) 프란츠 파농: 민족해방과 폭력투쟁ㆍ440
(4) 호미 바바: 문화적 혼종성의 전복적 성격ㆍ451

2) 문학과 포스트식민주의 담론: 크라흐트ㆍ466
(1) 크라흐트의 『나 여기 있으리. 햇빛 속에 그리고 그늘 속에』ㆍ466
(2) 크라흐트의 『제국』ㆍ483

제3장 생명권력과 폭력ㆍ503
1. 푸코ㆍ503
1) 생명권력: 인체의 해부정치와 인구의 생명정치ㆍ503
2) 통치권력과 생명정치ㆍ521

2. 아감벤ㆍ542
1) 생명정치의 양 축: 주권자와 호모 사케르ㆍ542
2) 예외상태의 구조와 수용소 모델ㆍ548
3) 순수한 폭력과 도래하는 공동체ㆍ556
4) 아감벤의 예외상태 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ㆍ561
|보론 1| 일리야 트로야노브·율리 체: 예외의 일상화: 테러리즘과의 전쟁ㆍ566

3. 네그리·하트ㆍ581
1) 제국의 생명권력과 다중의 생명정치ㆍ581
2) 구성권력의 생명정치와 생명권력의 죽음 정치ㆍ600
|보론 2| 포스트모던 시대의 테러리즘에 대한 성찰ㆍ611

4. 문학과 생명권력: 율리 체의 『범죄의 체소. 어떤 소송』ㆍ618
1) 생명 자체의 정치와 그 위험성ㆍ618
2) 생명정치의 폭력성ㆍ621
3) 테러리즘과 이념적 폭력ㆍ629

제4장 성과사회와 긍정성의 폭력ㆍ639
1. 한병철: 성과사회와 긍정성의 폭력ㆍ639
2. ‘자아-피로’에서 ‘우리-피로’로: 한트케의 『피로에 관한 시론』ㆍ647
1) ‘자아-피로’와 폭력 또는 피로를 모르는 자들의 폭력ㆍ647
2) ‘우리-피로’와 평화ㆍ652

3. 한병철의 피로사회와 긍정성의 폭력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ㆍ658
1) 폭력의 단계이론 비판과 ‘긍정성의 폭력’ 개념의 확장ㆍ658
2) 노동과 놀이 그리고 폭력의 관계ㆍ665
(1) 금욕적 노동에서 자유로운 노동으로: 노동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성찰ㆍ665
(2) 시스템의 폭력과 노동 및 피로의 관계ㆍ676
(3) 놀이와 노동의 관계ㆍ685
(4) ‘우리-피로’의 재해석ㆍ689

참고문헌ㆍ696
찾아보기ㆍ70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