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경영, 예술을 닮다!
제1부 경영예술: 뉴 노멀 패러다임
제1장 왜 경영예술인가
제2장 경영예술이란 무엇인가
1. 경영예술의 개념과 배경 2. 모방형 양적 성장에서 창조형 질적 성장으로!
3. 경영예술, 예술가로서 사업하기! 4. 경영예술,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제3장 뉴 노멀 패러다임의 필요성: 두 가지 대탈출
1. 우리의 현실과 고민 2. 첫 번째 문제, 과학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
3. 두 번째 문제, 기업 구성원의 불행한 직장 생활
4. 새로운 경영의 패러다임, 경영예술
제2부 예술, 예술가, 그리고 예술력
제4장 예술이란 무엇인가
1. ‘예술’ 개념의 사전적 정의 2. 예술에 관한 다양한 관점
3. ‘생명 충동’으로서의 예술 개념
제5장 예술가의 DNA: 정체성, 감수성과 창의성
1. 예술가의 특징 2. 예술가의 시작과 끝, 정체성
3. 리프레임과 통찰을 향한 극한의 감수성 4. 상상력이 창의성을 낳는다!
제6장 예술력과 경영예술력
1. 경영예술력은 어디에서 출발할까 2. 예술력의 개념과 응용
3. 과학적 사고와 예술적 사고의 균형: 과학예술적 사고
4. 경영예술력의 개념과 응용
제3부 경영예술
제7장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명작의 비밀
1. 혁신은 첨단 기술이 아니다.
2. 감동이란 무엇인가 3. 감동이 위계적으로 일어난다
4. 감동 요소와 미적 판단, 도덕적 판단 5. 감동의 강도와 진화 방향
6. 감동 위계 피라미드를 통한 생산과 소비의 공진화
7. 감동 체크블록(감동-산업 MAP)
제8장 경영예술의 철학적 존재론 변화
1. 새로운 경영 존재론으로서의 경영예술
2. ‘사업(경영)은 생존 전쟁’ vs. ‘사업(경영)은 예술 창작’
3. ‘산출물은 제품 및 서비스’ vs. ‘산출물은 작품’
4. ‘소비자/고객’ vs. ‘현존재/생활자’ 5. ‘이윤 추구 기업’ vs. ‘행복 추구 기업’
6. ‘일은 노동’ vs. ‘일은 작품 활동’ 7. “우리는 예술가다”
제9장 경영예술 기업의 부문별 미래상
1. 전사적 감지 체계 고도화 2. 신제품 개발 3.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4. 생산 품질 관리 변혁 5. 사후관리 체계 변혁
6. 구성원 커뮤니케이션과 지식 경영 구조 및 관계 변화
제10장 경영예술 현황 진단과 분석
1. 추진 준비 2. 진단: 우리의 현 상태는 어떠한가
3. 분석: 원인 분석과 체질 정의
제4부 경영예술 방법론
제11장 경영예술 방법론 개관
제12장 Pre-Stage: 예술가 마인드 심기: 경영예술가로서의 마음가짐을 다지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
제13장 Stage I IDENTITY: 사업예술가로서의 정체성 정립
제14장 Stage II SENSE & INSIGHT: 통찰을 향한 전존재적 감지
제15장 Stage III IMAGINE: 극한의 상상을 현실로!
제5부 경영예술 성공 사례
제16장 경영예술 사례: 제품과 서비스 융합 중심
1. 예술가 정신과 감동 디즈니랜드 / 애플의 아이폰 / 블루 보틀
2.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킨 사례 와비 파커 / 스티치 픽스 /
제너럴 일렉트릭 / 지멘스
제17장 경영예술 사례: 제조업 중심
1. 예술가 정신과 감동 디오르 / 판도라
2. 벤처 스타트업 슬롭프루프 / 이원의 브래들리 타임피스 / 엑시
제18장 경영예술 사례: 서비스 중심
메이요 클리닉 /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 / 아마존 고
경영예술 사례를 정리하며
맺음말
‘경영예술운동’ 선언문A Declaration of Business Art Movement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