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  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 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7-11-23 출간
  • |
  • 682페이지
  • |
  • A4
  • |
  • ISBN 9791158620653
판매가

350,000원

즉시할인가

31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편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해외진출전략

1장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 시장동향

1. 스마트시티의 개념 및 발전과정

1) 도입 배경

(1) 도시문제

(2) 도시정비의 문제점

2) 국내외 스마트시티 개념

3) 스마트시티 발전과정

4)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5) 스마트시티와 일반도시와의 차별성

2. 국내외 스마트시티 정책동향

1)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현황

(1)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현황

(2) 스마트시티 관련법의 제정 및 변화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

. U-City 건설법 →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법전면 개편

(3) 스마트시티 향후 정책방향

2) 글로벌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동향

(1) 미국

. 스마트시티 핵심 전략

. 주요 정부사업

. 주요 민간사업

(2) 중국

(3) 일본

(4) 유럽

3.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동향 및 발전전망

1) 시장동향 및 전망

2) 스마트시티 발전 전망

(1) 보편적 도시발전모델을 위한 3대 발전과제

. 객관적 효과 검증과 모델 정립

. 구축비용 절감

. 신뢰성 확보

(2) 스마트시티 발전단계

. 1단계 : 기반구축 단계 (Infrastructure)

. 2단계 : 수직적 구축 단계 (Vertical Grid)

. 3단계 : 수평적 구축 단계 (Horizontal Grid)

. 4단계 : 도시플랫폼 단계 (City Platform)

. 5단계 : 미래도시 단계 (Future City)

3) 국내 스마트시티 투자현황

2장 국내외 스마트시티사업 개발현황

1. 국내 분야별 스마트시티 개발현황과 사업분석

1)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현황

(1)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2) u-서비스지원 사업 (안전행정부, 미래창조과학부)

(3) 행정자치부 관련 사업

(4) 미래창조과학부 관련 사업

(5) 산업통상자원부 관련 사업

2) 국내 스마트시티 개발현황

(1) 세종시 구축사례

(2) 인천시 송도 구축사례

(3) 서울시 구축사례

(4) 부산시 실증단지 조성

.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

. 운영체계기반 조성

. 도시유망서비스

(5) 고양시 실증단지 조성

. 추진배경

. 사업 목적

. 사업 내용

3) 국내 통신사들의 스마트시티 사업현황

(1) KT, 대전시와 NB -IoT IoT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2) 송도 트리플 스트리트에 다양한 IC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빌딩

(3) 통신사와 지자체간 스마트시티 협력 확대 움직임

. LGU+

. SKT

2. 해외 스마트시티 개발현황과 전략분석

1) 미국

(1) 스마트시티 전략

(2) 미국 스마트시티 관련 프로젝트

. GCTC 프로젝트

. 사이드워크랩 프로젝트

A) [LinkNYC] 뉴욕시 전체에 24시간 무료 와이파이 제공 추진

B) [Urban Engines] 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및 자율운전 기술 적용

C) [Building Architecture] 블록처럼 해체이동 가능한 건축 구조 개발

D) [Renewable Energy]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스마트시티와 연계

E) ‘Sidewalk Labs' 프로젝트가 스마트시티에 미치는 영향

F) 시사점

. Smart City Challenge 프로젝트 및 개발현황

A) 추진과정

B) 제안서의 주요 내용

C) 콜롬버스시의 ‘SMARTCOLUMBUS’

2) 중국

(1) 중국 스마트시티 투자계획

(2) 중국 스마트시티 주요 시범사업

(3) 중국 스마트시티 산업발전 및 한중간의 합작방안

. 중국이 스마트시티 산업발전을 추진하는 목적

. 중국의 도시 클라우드 시장현황

. 한중간 합작방안

(4) 부처간 다양한 교류

(5) 자금 조달

3) 일본

(1) 일본 스마트시티 전략

(2) 해외시장 진출

(3) 도쿄의 2020년 스마트 도시화 사업

4) 유럽연합(EU)

(1) 유럽연합(EU)의 스마트시티 전략

(2) 스페인 바르셀로나

. 7가지 스마트시티 솔루션

. 기업참여 현황

. 22@Barcelona 프로젝트

. 스페인 내 주요 스마트시티 구축 현황

(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프로젝트 추진

. 개방형 프로세스를 통한 공공-민간-시민 협력 유도

(4) 프랑스

. 니스

. 리옹

(5) 이탈리아

. 이탈리아 스마트시티 사업전망

. 스마트시티 밀라노

. 이탈리아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목표

A) 북부와 남부의 균형 발전

B) 스마트 시티즌, 시민이 힘이다

C) 10년 후를 내다보는 장기적 접근 필요

. 한국과의 협력사업

(6) 오스트리아 비엔나

. 비엔나 프레임워크 전략

. 참여 기업

. 오스트리아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2016)

(7) 핀란드

. Smart Kalasatama 프로젝트

(8) 스웨덴

. 스마트시티 수립 배경

A) 시장 규모 확대 전망

B) 유럽 전략적 목표 달성

C) 스마트 시티에 적합한 스웨덴 도시 환경 및 요소

. 스마트 도시 달성을 위한 스웨덴 활동 정책

A) 연구 및 혁신 활동

B) 연구 및 혁신 활동지원 및 조율 활동

. 스마트시티 주요 프로젝트

A) E-government

B) Smart traffic System

C) Green IT

D) Open Data

. 말뫼 세부 현황

A) Hack your energy

B) Green public procurement

C) Malmö Initiative / Malmö Panel

D) Local Climate Contracts

(9) 덴마크 코펜하겐

. 코펜하겐의 'Connecting Copenhagen' 프로젝트

. 코펜하겐 시내에 380개의 스마트 교통신호등 설치 (2016)

(10) 체코 프라하

. 스마트 프라하 개요

. 스마트 프라하 6가지 핵심 분야

. 주요 프로젝트

A) 스마트 주차 시스템

B) 스마트 가로등 프로젝트

C) 스마트 벤치 프로젝트

D) 스마트 쓰레기통 및 수거차량 프로젝트

E) 대중교통 통합 결제 시스템(MOS: Multikanálový odbavovací system)

. 스마트 프라하 프로젝트 진행절차

(11) 유럽 내 스마트시티의 시사점

(12) 유럽 스마트시티 성공적 프로젝트 유형 분석(37개 도시 50개 프로젝트 선정·분석)

. 함부르크, BIQ House 빌딩 (2014)

. CityMobil2 : 무인 자동 운행 버스 테스트 (2016년 초)

. 보행자 도시를 위한 슈퍼블록정책 시행 (2017)

. 오픈 글라스고 (스코틀랜드) 개시

5) 영국

(1)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2) 데이터 센터, 통제 센터, 지능화 가로등, 미래 도시 연구소 등 설립

(3) 개인정보 보안

(4) 영국 버밍엄 : 교통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도구개발 및 테스트

6) 싱가포르

(1)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프로젝트

(2)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프로젝트를 통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구현

(3) 싱가포르 Infocomm Media(ICM) 2025 프로젝트 추진

(4) 정부기술 진흥원 및 스마트 국가 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가 디지털 정보 전략 수립

(5) 싱가포르(Virtual Singapore) 프로젝트 추진

(6) 싱가포르 사물인터넷 학교프로그램

(7) 스마트네이션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통한 혁신성 및 인적자원 역량 개발

(8)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 추진

7) 베트남

(1) 추진 배경 및 환경

(2)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 교통

. 환경

. 통신

. 행정

. 서비스

. 상수도

. 스마트 기술

8) 말레이시아

(1) 말레이시아의 도시화와 스마트시티

(2) 말레이시아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개념과 방향

(3) 말레이시아 주요 지역별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

. 사이버자야(Cyberjaya)

. 슬랑오르(Selangor)

. 조호르(Johor)

. 말라카(Melaka)

. 페낭(Penang)

9) 남미

(1) 멕시코

. 마데라스 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 과달라하라 디지털 창조도시(CCD: Ciudad Creativa Digital) 프로젝트

. 데이터 수집 관련 품목 높은 성장세 예상돼

(2) 칠레

(3) 콜롬비아

(4) 브라질

10) 인도

(1) 개요

(2) 인도정부, 스마트도시 지원

(3) 인도정부, 해외투자 유치

(4) 스마트시티 주요 추진체계

(5) 자금조달체계

(6) 인도 스마트 시티의 미래, 팔라바시티

11) 캐나다

(1) 벤쿠버의 그린니스트 시티 2020 액션플랜

12) 홍콩

(1) 홍콩의 E-government 서비스화 사업

13) 쿠웨이트

(1) 쿠웨이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배경

. 쿠웨이트, 주택난 심각

. 인구밀집 및 교통체증 나날이 증가세

(2) 쿠웨이트 ‘South Saad Al-Abdullah City’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 중동 최초의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시티 Saad Al-Abdullah City

.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스마트시티

(3) 쿠웨이트에 한국산 스마트시티 1호 수출

14) 사우디아라비아

(1)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

(2) 국내 기업 해외진출

(3) IoT 네트워크 구축 현황: NB-IoT

. Zain, NokiaMina 지역 NB-IoT 시범 사업 완료

. Zain-Nokia, 스마트시티 및 5G 사업을 위한 포괄적 협약 체결

(4) IoT 네트워크 구축 현황: LoRaWAN

15) 글로벌 통신사들의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1) AT&T, 전략적 제휴 통한 지능형 조명 및 스마트 교통 솔루션 제공

(2) BT, Milton Keynes : Smart Data Hub Initiative 동향

(3) Verizon의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4) Singtel의 스마트시티 사업현황

3. 스마트시티 관련 R&D 테스트베드 사업의 운영관리 방향

1) 개요

2) 배경

(1) 국내 R&D사업의 변화

(2) 국내외 R&D 테스트베드사업

. 국내

A) ITS 사업

B) U-Eco City 사업

C) 자율주행자동차 테스트베드 사업

. 해외

A) 미국

B) EU

C) 일본

D) 중국

(3) ·제도 검토

3) 운영관리 필요요소

(1) 운영관리 요소별 운영관리 실태

(2) 운영관리 요소 도출

4) 필요요소별 운영관리 방향

(1) 운영관리 범위

(2) 운영관리체계 : 주체간 역할 분담, 절차 등

(3) 시설물 운영관리

(4) 운영관리계획 : 연계·통합 등

3장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구축과 해외진출 전략

1.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구축과 해외진출 전략

1)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 R&D 추진방향

(1) 도시 인프라의 스마트화

(2) 도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유통체계 확립

2) 한국형 스마트시티 고도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3)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강점 및 약점

(1) 국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강점 및 약점

(2) 건설부문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강점

. 신도시 개발방식의 스마트시티 구축 및 관리·운영 경험 풍부

. 법제도 및 체계적 계획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 해외 개발도상국들의 높은 평가

(3) 건설부문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약점

. 해외 시장에 대한 정보의 부족

.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부족

. 초기 재원 마련의 어려움

. 실효성 있는 스마트시티 지원 체계 필요

(4) 솔루션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강점

. 국내의 우수한 ICT 인프라

. 해외의 우수한 평가

. 정부의 해외수출 지원

(5) 솔루션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약점

. 다양한 서비스 솔루션의 부족

. 핵심요소기술력 부족

. 스마트시티 관련 정보의 구축 및 활용 미흡

. 스마트시티 서비스 솔루션 성과 관리 미흡

. 스마트시티 서비스 비즈니스모델의 다양성 부족

4)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추진과 전략구상

(1)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추진

(2) K-Smart City 수출추진단 향후 추진방안

. 다각적 수주지원 활동 및 체감형 홍보 추진

. 국내 스마트시티 고도화로 모범사례를 축적

. 미래 수출상품군 변화

(3)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기본구상

2. 국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현황

1) 해외도시개발 수출 현황

2) 해외도시 컨설팅 및 마스터플랜 수출현황

3) 스마트시티 관련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1) 교통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2) 환경·에너지 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3) 수자원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4) 행정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5) 방범·방재 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3. Top 5 스마트시티 진입 및 이니셔티브 확보전략

1) 스마트시티 인프라 투자의 의사결정 지원 과정

2) 스마트시티 인프라 성과지표 모델

3) 국내 실정에 적합한 스마트시티 인덱스를 만들기 위한 SWOT 분석

4) 스마트시티 인프라 건설을 위한 성과지표

(1) 기존 스마트시티 관련 성과지표의 문제점

(2) 스마트시티 인프라 건설을 위한 기술 인덱스 분류

 

편 스마트시티 기술요소별 주요동향

1장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중략

통계(도표) 목차

도서소개

본서의 특징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정책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주거, 도시 등 모든 생활공간이 스마트화되는 스마트시티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마켓&마켓은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64246억달러(478조원)에서 202212017억달러(135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24시간 가동되는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 원격으로 교통, 방범, 방재, 환경, 시설물관리, ·복합서비스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도시 모델이다. 자율주행차, 공간정보, 사물인터넷(IoT) 4차 산업기술이 집약된 것이 특징이다.

 

국내의 경우 U-City 사업이 출범 초기 기대만큼 자리를 잡지 못하였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기에 가장 좋은 플랫폼인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보이고 있다.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검증을 할 수 있는 리빙랩(Living Lab) 개념의 실증단지인 스마트 커넥티드 타운을 조성한다고 발표하였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가 될 사업지 두 곳을 선정하기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1000억원의 예산을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정부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육성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한 차원 높은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 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1편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정책/시장동향을 살펴 해외진출 전략을 분석하였고 2편에서는 IOT플랫폼, 빅데이터(공간정보), 도시안전망 연계서비스, 지능형교통시스템, 에너지, ·환경관리, 거버넌스 분야로 세분화하여 각 분야별 주요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