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평가 과정의 이해: 역사, 윤리적/전문적 문제, 진단, 평가 보고서
01 검사와 평가의 역사 3
검사와 평가의 구분 4 평가의 역사 5
고대사 5
현대적 검사 개발의 선구자들 5
능력 검사의 등장(인지 영역의 검사) 7 성격 검사의 등장(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
사) 12
비형식적 평가의 등장 14 현대의 평가 활용 14
개인의 평가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문제 17
요약 17 | 복습문제 18 | 참고문헌 18
02 평가에 관한 윤리적, 법적, 전문적 인 문제 21
평가의 윤리적 문제 22
ACA와 APA 윤리 규정의 평가 부분 개관 22
책임 있는 검사 활용의 기준 25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26
평가의 법적인 문제 28
가족 교육 권리 및 사생활 보호법 (FERPA) 28
건강보험 양도와 책임 법령(HIPAA) 29 특권적 의사소통 29
정보자유법 30
시민권리법(1964년 및 그 수정판) 30 장애인 보호법(ADA, PL 101-336) 30
장애인 교육법(IDEA) 31
재활법 504호 32
칼 퍼킨스 진로와 기술교육진흥법 32
전문적 문제 33
전문 학회 33
전문 학회에서 제시하는 인증 기준 34 법정 평가 34
총체적인 과정으로서의 평가 35 평가의 다문화 이슈 35
검사와 평가 절차 받아들이기 37
요약 38 | 복습문제 39 | 참고문헌 39
03 평가 과정에서의 진단 42
진단의 중요성 43
진단 및 통계 편람(DSM): 개관 45 DSM-5 45
단축 진단과 다축 진단 46 진단 및 보고 46
구체적인 진단 범주들 49 그 밖의 의학적 고려 53
심리사회적 및 환경적 고려 53 문화적인 고려사항 54
평가 과정의 DSM-5에 대한 최종 마무리 54
요약 56 | 복습문제 56 | 연습문제 해답 57 |
참고문헌 57
04 평가 보고 과정: 내담자와 면담하기 및 보고서 작성하기 59
평가 보고서의 목적 60
보고서를 위한 정보 수집하기: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 기가 나온다 61
구조화, 비구조화, 반구조화 면접 61
컴퓨터 기반 평가 64
적절한 평가 도구 선택하기 64
보고서 작성하기 65
인구학적 정보 66
호소 문제 혹은 의뢰사유 66 가족적 배경 67
중요한 의학적/상담 과거력 68 약물 사용 및 남용 68
교육 및 직업적 과거력 69 기타 관련 있는 정보 69 정신 상태 69
평가 결과 73
진단 75
요약 및 결론 75 제언 76
평가 보고서 작성 요약 77
요약 78 | 복습문제 79 | 참고문헌 80
2부 검사 양호Th와 검사 자료에 대한 통계학
05 검사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 다문 화 공정성, 실용성 83
상관계수 84
결정계수(공유된 분산) 86
타당도 87
내용 타당도 88
준거 관련 타당도 90 구인 타당도 92
타당도 유형에 대한 시각적 제시 94
신뢰도 95
검사-재검사 신뢰도 96 동형 검사 신뢰도 97 내적 일관성 97
그림을 통한 신뢰도 유형 제시 99 문항반응이론: 신뢰도를 보는 또 다른
방법 99
다문화 공정성 101
실용성 104
시간 104
비용 104
검사 형식 104
검사 가독성 105
실시 편의성, 채점 방법, 해석 용이성 105
양호한 검사의 선택과 시행 105
1단계: 검사 수요자의 목적을 확정하라 105
2단계: 검사 수요자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검사 유형을 선택하라 106
3단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검사 도구들에 대 한 정보를 파악하라 106
4단계: 선택 가능한 여러 검사 도구의 타당도, 신 뢰도, 다문화 공정성, 실용성을 조사하라 107
5단계: 현명하게 검사 도구를 선택하라 108
요약 108 | 복습문제 109 | 참고문헌 109
06 통계적 개념들: 원점수로부터 의미 도출하기 112
원점수 113
빈도분포 114
히스토그램과 빈도 절선도표 115
누적분포 116
정규분포와 편포 117
정규분포 곡선 117
편포 119
집중경향치 119
평균 119
중앙치 119
최빈치 120
분산도 121
범위 121
사분위 간 범위 122 표준편차 123
피험자를 기억하기 125
요약 126 | 복습문제 127 | 복습문제 해답 127 |
참고문헌 127
07 통계적 개념들: 검사 자료를 해석하 기 위한 변환 점수 만들기 128
규준참조와 준거참조 129
규준적 비교와 변환 점수 130
백분위 131
표준 점수 131
발달 규준 139
종합적 검토 140
측정의 표준오차 141
추정의 표준오차 143
측정의 척도 145
요약 146 | 복습문제 147 | 복습문제 해답 148 |
참고문헌 148
3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기법
08 교육적 능력에 대한 평가: 총집형 학업성취도 검사, 진단 검사, 준비도 검사, 인지 능력 검사 155
교육적 능력에 대한 평가의 정의 156
총집형 학업성취도 검사 157 전국 수준 교육 평가 158 스탠퍼드 성취도 검사 159
아이오와 기본 기능 검사 162 메트로폴리탄 성취도 검사 163
진단 검사 163
WRAT4 164
웩슬러 개인 성취도 검사 제3판 165 피바디 개인 성취도 검사 166 우드콕-존슨? III 168
KeyMath3™ 진단 평가 168
준비도 검사 169
유치원 준비도 검사(Anderhalter & Perney) 170
유치원 준비도 검사(Larson & Vitali) 170 메트로폴리탄 준비도 검사 171
게젤 발달 관찰 검사 171
인지 능력 검사 173
오티스-레논 학교 능력 검사 제8판 173 CogAT 175
대학 및 대학원 진학 시험 177
교육 능력 평가에서 조력자의 역할 181
교육 능력 평가에 대한 최종 마무리 181
요약 182 | 복습문제 184 | 참고문헌 184
09 지적 기능 및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 지능 검사와 신경심리학적 평가 188
지능 검사의 간략한 역사 189
지능 검사의 정의 189
지능 모형 190
스피어만의 두 요인 접근법 190 서스톤의 다중 요인 접근법 191 버넌의 지능 계층 모형 191
길퍼드의 다중 요인/다차원 모형 191 커텔의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19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94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95
스턴버그의 성공지능을 위한 삼원이론 196 커텔-호른-캐럴(CHC)의 지능 통합 모형 197 지능이론 요약 199
지능 검사 200
스탠퍼드-비네 제5판 200
웩슬러 검사 203
어린이를 위한 코프먼 검사 207 비언어적 지능 검사 207
신경심리학적 검사 208 신경심리학적 검사의 개요 209 신경심리학적 검사의 정의 209 신경심리학적 검사의 방법 210
지적 기능과 인지 기능 검사에서 조력자의 역할 213
지적 기능과 인지 기능 검사에 대한 최종 마무리 214
요약 214 | 복습문제 216 | 참고문헌 216
10 진로 및 직업 평가: 흥미 검사, 다중 적성 및 특수 적성 검사 219
COPSystem 227
O*NET과 진로 탐색 도구 229
이 외에 흔히 쓰이는 진로 흥미 검사 231
다중 적성 검사 232
요인 분석과 다중 적성 검사 232
미군 직업 적성 검사와 진로 탐색 프로그 램 232
차별적 적성 검사 236
특수 적성 검사 237
사무 적성 검사 238
기계 적성 검사 238
예술 적성 검사 239
음악 적성 검사 239
진로 및 직업 평가에서 조력자의 역할 241 진로 및 직업 평가에 대한 최종 마무리 241
요약 242 | 복습문제 243 | 참고문헌 244
11 임상 평가: 객관적 및 투사적 성격 검사 246
임상 평가의 정의 247
객관적 성격 검사 247
자주 쓰이는 객관적 성격 검사 248
투사적 검사 267
자주 쓰이는 투사적 검사 267
임상 평가에서 조력자의 역할 275
임상 평가에 대한 최종 마무리 275
요약 276 | 복습문제 278 | 참고문헌 278
12 비공식 평가: 관찰, 평정 척도, 분류 기법, 환경 평가, 기록과 개인 문서, 수행 기반 평가 282
비공식 평가에 대한 정의 283
환경 평가 291
기록과 개인 문서 294 수행 기반 평가 299
비공식 평가의 검사 양호도 301
타당도 301
신뢰도 302
다문화 공정성 303
실용성 304
비공식 평가의 활용에서 조력자의 역할 304
비공식 평가에 대한 최종 마무리 305
요약 305 | 복습문제 306 | 참고문헌 307
부록 A 정신건강 전문가 단체의 윤리 규정이 제시되어 있는 웹사이트 309
부록 B 미국 상담학회와 심리학회의 평가에 관 한 윤리 규정 311
부록 C 교육에서의 공정한 검사를 위한 규정 316
부록 D 평가 보고서 예시 323
부록 E 통계 공식 329
부록 F z점수를 백분위로 환산하기 331
용어 해설 333
찾아보기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