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후 아 코리안즈(Who are Koreans)

후 아 코리안즈(Who are Koreans)

  • 홍사명
  • |
  • 아롬주니어
  • |
  • 2017-11-20 출간
  • |
  • 296페이지
  • |
  • 189 X 259 X 20 mm /642g
  • |
  • ISBN 9791196223700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3,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선행 연구는 역사 또는 정치, 경제와 관련하여 정체성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예가 많았다. 역사에 치중할 경우 한국인의 정체성이 과거의 한 시점에 고착되는 경향이 있다. 정치 경제는 가치 의식과 결연되어 현재를 기점으로 하는 현상의 기술에 불과하다. 한국의 정체성을 다룬 저서 중 Gregory Henderson의 [The Vortex of Politics]는 서양인의 민주주의 경험에 비추어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서양의 시각에서 보는 전형적 패턴이라 할 것이다. Michael Green이 쓴 [한국인의 정체성]은 그가 영국 특파원으로서 한국에 체류하며 느낀 바에 대한 즉흥적 반응을 피력한 것으로, 일천한 한국 경험에서 오는 편견이 반영되어 있다. 김재은 교수의 [한국인의 심리와 행동 성향 (1991)]은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처음으로 다루었으나, 현재의 정체성에 고착되어 가치관의 변화를 간과하였다. 최봉영의 [한국인의 의식 구조 (1994)]는 유교 사상에 기반한 한국인의 전통 의식 구조를 다루었으니, 과거에 머물러 있다고 하겠다. 즉 행동의 기점이 되는 의식 주조와 가치관의 변화를 보지 못 했다.

저자의 연구에 결정적 동기를 부여한 연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마사오 미아모오의 [획일적 사회(일본인의 의식 구조)], Jeromy Paxman의 <영국인>은 자국민의 의식 구조와 행동 성향을 다루고 있어, 본 저자의 연구에 기여한 바가 크다.
본 저서의 특징: 본 저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한국인의 의식 구조가 어떻게 구체적 행동 성향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유기적 관계를 설명해 나가는 데에 있다. 또한 문화와 가치관을 정체성보다는 유동성의 관점에서 다루어,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조망한다. 제4장과 제6장에 이 저서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제1장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개념화하고, 종교관을 개관하면서 지정학적 특성과 세계화가 의식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역사적 특수성을 도출, 한국인의 동족 의식, 왕조의 계속성과 민족의 분단을 살펴 보았다. 제3장은 전통 가치관에 입각한 행동 성향을 과거와 현재를 연계해 설명하였다. 제4장은 한국인의 행동 성향의 요인이 되는 것들을 분석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 저서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장이다. 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 한국인의 집단주의와 수직적 질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모든 행동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여기에 망라된 행동 요인들로는 가족주의, 민족주의, 권위주의, 도덕성, 정서적 편향, 지역주의, 교육열, 입양 문제, 고향, 여성의 위치, 신분 상승과 중산층, 급변하는 사회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행동 성향을 엿볼 수 있다. 제5장은 한국을 이념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유일한 섬으로 가정하면서, 이념적으로 편향된 정치 구도 속에서 학생들이 벌여온 정치적 참여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참여로 혼돈에 빠졌던 80년대의 정치적 현실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한국인의 청년 문화는 독특한 유형을 갖고 있다. 제6장은 한국인의 행동 성향 변화를 가치관의 충돌과 대립, 즉 특수주의와 보편주의의 충돌과 대립으로 설명하였다. 가치관의 대립은 개인주의와 창의성, 자연의 연속성, 이성과 세속화, 신용 사회와 비신용 사회, 가족주의의 위기, 다양한 문화와 새로운 정체성 등과 연계하여 설명하였다.

최종적으로 특수주의와 보편주의의 대립이 자유 민주주의 실현에 미칠 영향을 추론하였다. 여기에서 민주주의의 요건을 설명하고, 가치관의 유동성, 평등에 대한 과신,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권위주위와 민주주의, 디지털 문화, 지역주의, 문화적 동질성의 제약 및 좌경화가 민주주의 요건과 어떻게 부합하는지 논의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가치관과 행동 성향을 유동적으로 기술, 한국인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관하였다.

목차

Preface and Acknowledgements 2
What is it about the Koreans? 5
Introduction 12

CHAPTER ONE
Who Are Koreans? 15
National Identity 16
Culture, Social Behavior, Value and Institutions 16
Self-Centered Microcosm 16
Identical Beings 18
Ecological Influence 20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actors 20
Communitarian Spirit 22
Nature Worship 24
Urbanization 25
Emotion Outweighs Reason 26
Religious Pluralism 27
Primitive Religions 27
Buddhism 29
Confucianism 31
Roman Catholics and Protestantism 33
Geo-political Characterization 34
The Paradox of Globalization 39

CHAPTER TWO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s 45
The Myth of Ethnic Homogeneity 46
The History of an Ethnic Nation 47
Nationalism and Ideology 49
Dynastic Continuity 53
Two Koreas 57
Ideological Confrontation 57
Division of the Country 59
The Birth of Two Regimes 62
The Korean War 63
Forbidding Gaps 67
Outlook for Unification 71
Can Time Heal? 75
Modernization 76
Historiographical Warfare 80
Legitimacy of the State 81
Textbook Debate 82
The Paradox of Neighborhood 84
Distortions of History 85
Territorial Dispute 88
Comfort Women 89
Expansive View of Chinese History 90

CHAPTER THREE
Intellectual Foundation 97
Native Thoughts and Confucianism 98
Spider’s Web: The Five Binary Relationships 101
Ruler and Subjects 101
Husband and Wife 104
Parents-children 107
Elder-Younger siblings 109
Friend-Friend 110
The Moral Characters of an Awakened Man 111
Encounter with Heretic Beliefs 116
Challenges to Neo-Confucianism 119
Across the Border 122
CHAPTER FOUR
Characterization of Koreans 129
The Value Consciousness of Koreans 130
Hierarchical consciousness 130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132
The Cult of Family and Blood Ties 134
Ancestor Worship and Rites 136
Authoritarianism 139
The Outgrowth of Vertically Arranged Society 139
A New Father-Son Relationship 140
Authoritarianism and Personality Cul 141
Rational Authoritarianism 142
Morality 144
Retrospective of the Past 144
Situational Ethics 145
Criteria for Moral Judgment 146
The Circle of Association 148
Morality vs. Legality 149
Nationalism 152
Ethnic Nationalism 152
Nationalism and Ideology 152
The Radical Turn of Nationalism 154
The Source of Surging Pride 155
Emotional Pendulum 159
Euiri 160
Jeong 162
Han 163
Gut 164
Kibun 164
Dichotomy and Harmony 165
Child Adoption 167
Courtesy and Propriety 170
Collectivism and Factionalism 173
Collective Society 173
To Stay within a Group 176
Group Egotism 177
Factionalism 179
Partisanship in Modern Politics 180
Provincial Favoritism 181
Korean Women in a New Mirror 182
Woman’s Status 182
Sexual Discrimination 183
Breaking New Ground 186
Generation Gap 187
The Status-Conscious Middle Class 188
Kohyang, More Than Hometown 192
Education Mania 196
The Fast-Changing Society 200

CHAPTER FIVE
Youth Culture and Movements 207
The Youth Movement in a Global Perspective 208
Characterization of Korean Youth 210
Ideological Commitment 210
King Maker 213
Democratic Crusaders 214
Anti-Americanism 218
Pragmatism over Ideological 223

CHAPTER SIX
Korean Values in Transition 227
A Mess of Contradictions 228
Particularism and Universalism 231
Affectivity and affectivity neutrality 232
Ascription and achievement 233
Diffuseness and specificity 233
Group egoism and civic-orientation 233
Value Bifurcation and Its Spinoffs 235
Individualism and creativity 236
Ecological Forebodings 238
Natural Continuum 240
Reason and Secularization 241
Low and High Trust Society 243
Family Challenged 245
New Identity in Cultural Diversity 248
Liberal Democracy in a New Mirror 250
Conditions for Liberal Democracy 251
Old Values, Gemstone 253
The Cult of Equality 255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257
Authoritarianism and Democracy 258
Digital Populism 262
Local-Based Partisanship 265
Human Bonds Broken Loose 267
Behavioral Constraints in Cultural Homogeneity 269
Going Left? 272

The Past, Present and Future 281
Bibliographical References 287

저자소개

저자 홍사명은 충남 서산에서 태어났다.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미국 국제 개발청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한국 교육 개발원 국제 협력실장, 한국 학술 진흥 재단 국제 교류 부장 등을 지냈다. 현재 한국 외국어 대학교 초빙 교수이다.

도서소개

한국인은 누구인가? : 한국인의 정체성

연구 배경: 한국인은 한반도에서 수천 년간 살아 오면서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중국은 중화 사상을 통하여, 일본은 군국주의를 추구함으로써 제국주의적 성향을 보여 왔다. 이 두 나라는 민족적 역량을 다른 나라에 과시하였으나 한국인은 자기의 존재를 세계에 내세운 적이 없다. 조용히, 평화롭게 살아 온 결과 세계 시각에서 볼 때 한국인의 정체는 흐려졌고, 식민 지배와 이념 분쟁, 동족 간 전쟁으로 얼룩지면서 정체성은 더욱 굴절되었다. 더욱이 세계화는 우리를 과거로부터 이탈시켜 새로운 다민족적 의식을 형성하는 압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단절된 정체성은 온전한 정체성이라고 볼 수 없다.
한국은 60년대를 기점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세계의 시각은 아직도 중국과 일본이라는 거대 산맥에 가리워 한국의 본래 모습을 보지 못 하고 있다. 한국인은 강한 대륙 국가와 이웃한 관계로 타 민족 어느 나라보다도 민족 의식이 강하다. 하지만 민족 의식은 외세와 싸우면서 사회적 결속을 맺을 수 있으나 자칫 배타적 민족주의로 발전하여 고립을 자초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지정학적 요인이 정체성의 확립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쳤고 하겠다. 다원주의로 이동하는 이 시점에서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이 절실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