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자가 쓴 박사학위논문인 보험모집규제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증보ㆍ수정 가필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보험업법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보험거래법인 보험계약법에 비하여 활발하지 못하였다. 보험업법은 보험사업의 주체인 보험회사, 보험모집종사자, 각종의 감독제도, 보험협회 및 관련단체 등 보험 산업의 기본체제와 질서를 규율하는 보험사업의 기본법이다. 그러므로 보험사업에 종사하는 분들이 다른 법률보다도 우선하여 알아야 하고 중요 시 해야 할 법규라고 볼 수 있다. 보험업법의 주요내용은 보험회사의 허가, 보험회사, 모집, 자산운용, 계산, 감독, 해산과 청산, 조사 등에 관한 것이다. 이 중에서 보험모집은 보험거래법인 보험계약의 체결과 관련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분야이다. 보험모집은 보험계약의 당사자인 보험자와 보험계약자 사이에서 보험계약의 체결의 대리 또는 중개를 하는 업무를 말하고, 이러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모집종사자는 보험설계사, 보험대리점, 보험중개사, 금융기관보험대리점 등 그 종류가 다양하고 이에 종사하는 사람도 다수가 있다. 또한 보험모집은 보험업법의 주요 핵심 규제 중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보험소비자 보호와 직접 관련되는 규제이기 때문에 오늘날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보험업법의 규정 중 모집에 관한 부분의 상세한 해설서의 발간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 책을 서술함에 있어 그간의 논의를 반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논의의 장을 최대한 펼치려고 하였으나 저자의 능력부족으로 제대로 되지 못하였다.
이 책에서는 보험모집에 관한 규제의 역사 및 내용뿐만 아니라 관련된 이론적 배경 및 법적 쟁점들을 망라하여 논의하였고, 보험의 초학자뿐만 아니라 보험업 종사자, 보험법의 실무에서 각종의 자문을 수행하는 사내 변호사 및 법률사무소나 로펌의 변호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