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머리에
제1부 개화와 독립
개요
우리나라 최초의 운동권 청년
근대와의 만남, 배재학당
몰락한 왕족
배재에서 배운 자유와 평등 사상
개화의 스승, 서재필
우리나라 최초의 현장기자
만민공동회의 지도자
옥중에서 받아들인 기독교
최초의 저서 ‘독립정신’
감옥에서 만난 평생 동지들
출옥 그리고 고종의 개인밀사
하와이의 한인들
미국본토에 첫발을 딛다
한국인 최초로 미국대통령을 만나다
루즈벨트 집무실의 한국 나전칠기
이승만 외교실패의 원인은 따로 있었다
미국유학의 첫발, 조지워싱턴 대학
강연과 설교로 한국이 독립국임을 알리다
외아들 태산의 죽음
미국최고의 명문, 하버드대학을 가다
미주 한인사회의 지도자로 부상
스티븐스 암살사건의 통역 거절
한국인 최초의 미국박사
6년만의 귀국
두번째 도미 그리고 망명
옥중동지 박용만
독립운동의 둥지, 하와이
하와이에서의 독립운동(1) · 교육
하와이에서의 독립운동(2) · 출판사업
대립 그리고 분열
1차대전 종전과 3.1운동
3.1운동의 기획자, 이승만
독립운동의 최고 지도자
외교독립운동의 교두보, 구미위원부
상해임정의 대통령 이승만
하와이의 지지세력, 동지회
국내 지지세력, 흥업구락부
독립자금 마련을 위한 사업, 동지식산회사
독립 청원을 위한 국제연맹 외교
평생의 반려, 프란체스카와의 만남
일본, 그 가면의 실체 집필
임정승인 획득외교
2차세계대전 종전과 카이로 회담
이승만 신화의 동인(動因), 단파방송 사건
이승만의 무장투쟁, OSS계획 참여
해방, 그리고 귀국
에필로그
편찬위원
제2부 건국과 분단
33년만의 귀국
소련군의 북한진주
미국이 그은 38선
미군의 남한진주
건국준비위원회의 발족
좌익의 최고지도자 이승만
우익의 최고지도자 이승만
귀국과 이승만 신화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좌익과의 결별
건국의 시작,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김구의 귀국
해방정국을 뒤흔든 쓰나미, 신탁통치
김구의 무리수
반탁과 찬탁사이
좌익의 돌변, 찬탁
김구의 반격, 비상국민회의
해방정국의 주도권 회복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이승만의 남선순행
단독정부론의 출발, 정읍발언
정읍발언 보다 9개월 빠른 북한의 임시인민위원회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하지의 비밀병기, 중간파 육성계획
과도입법의원 출범
이승만의 정치가적 기질
이승만의 승부수, 도미외교
도미중 국내상황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제3의 선택, 서재필
신탁통치안의 실패
한국문제의 유엔이양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설치
미소공위의 결렬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입국
실패로 끝난 우익의 통합노력
역사의 비극, 4.3사건
두김의 선택, 남북협상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선거, 5.10 총선
제헌국회의 개원
대한민국 정부수립
에필로그
편찬위원
제3부 6.25와 4.19
초대내각 구성
이승만의 승부수, 농지개혁
반민특위와 친일파 청산의 과제
이승만과 해병대
민족의 비극, 김구 암살
한국전쟁 발발과 북진통일 의지
서울함락과 초기대응 미숙
전시 작전권 이양
최후의 방어선, 낙동강 전투
작전명 크로마이트(Chromite), 인천상륙작전
이승만의 북진명령, 38선을 돌파하라
평양탈환의 감격
중공군의 개입
휴전회담의 시작과 이승만의 결사반대
이승만제거작전, 에버레디
반공포로를 석방하라
휴전협정의 체결
전후복구, 소비재보다 산업재를 달라
비료공장과 시멘트공장을 건설하라
부족한 전력, 원자력이 해법이다
외교의 귀재 이승만
일본외교의 시작, 평화선 제정
교육대통령, 이승만
이승만과 인하대학교
자유당의 무리수, 3선 개헌
신 국가보안법 제정
경향신문 폐간조치
조봉암 사건과 반공주의
몰락의 시작
3.15 부정선거는 자유당 강경파의 작품
교수들의 시위대 합류
국민이 원한다면 물러나겠다
85세에 다시 떠난 망명길
독립운동의 고향, 하와이
이승만의 공(功)과 과(過)
에필로그
편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