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서문
- 아무도 가지 않은 길
헤이리 만들기, 언제 시작되었나
서화촌(書畵村)
왜 파주 통일동산인가
헤이리라는 이름
아이엠에프의 파고를 넘어
누가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했는가
누구에게서 토지를 매입하였나
하늘로 날아간 단지계획안
회원필지는 어떻게 정하였나
묘지 확장이 발목을 잡다
부지를 바꾸다
홍보비는 얼마가들었나
개별 건축가 선정
건축법 위에 군사시설법?
토지사용허가라는 복병
돈은 어떻게 마련하였나
도시가스를 끌어오기까지
공공시설물 무상귀속을 둘러싼 논란
지방세를 감면받다
천 번이 넘는 회의를 개최하다
- 헤이리는 어떤 마을인가
헤이리의 모델
외국 언론에 비친 헤이리
파주출판도시와 다른 점
열린 토론마당 ‘헤이리 초대석’
헤이리의 가능성을 일깨워준 해외 문화탐방
우리 꽃, 우리 건축과의 만남
작은 다리 하나에도 문화의 옷을 입히다
건축설계지침, 그리고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한국 건축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비어 있는 헤이리의 중심, 갈대광장
지울 수 없는 예순 개의 단어
헤이리 제일경(第一景) ‘노을동산의 낙조’
헤이리 공동체의 상징, 커뮤니티하우스
헤이리는 생태마을인가
자연형 하천 만들기
느티마당의 헤이리 큰나무
작고 아름다운 간판
헤이리만의 음식문화를 만들자
「미래를 여는 헤이리 선언」
헤이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 헤이리를 만든 사람들
누가 회원이 되었나
헤이리 조직의 성격
백다섯 명의 임원, 다섯 명의 이사장
헤이리 건설의 싱크탱크-건설위원회
문화예술의 밑그림을 그리다-기획위원회
친교를 넘어 정체성의 모색까지-회원위원회
문화 매거진 발간을 위한 모색-홍보위원회
십시일반 기금을 모아 축제를 치르다
사무국은 무슨 일을 하였나
헤이리 페스티벌의 숨은 주역, 헤이리어즈
젊은 그룹
더스텝은 어떻게 탄생하였나
헤이리 로고는 누가 제작하였나
누가 단지를 설계하였나
도시설계의 새로운 실험, 디자인 커미티
헤이리 참여 건축가
건축 코디네이터
토목 시공사
시엠기법이 도입된 것은 우연이었다
정부는 무엇을 도와주었나
- 헤이리 풍경, 예술가들이 만드는 일상과 우연
마을 속 마을
최초 입주 회원, 그리고 주민회
헤이리 봄 풍속도-정원 가꾸기
한 집 건너 작가가 사는 마을
갤러리들이 빚어내는 ‘따로 또 같이 문화’
살롱음악회의 산실
헤이리는 박물관촌이다
책마을의 가능성을 열어가다
현대도예의 중심을 꿈꾸다
한국영화계의 대표선수들
헤이리를 소재로 한 최초의 시
귀향자 황인용의 카메라타
정한숙기념관과 시 낭송회
쌈지미술창고에서 논밭예술학교까지
세계로 열린 문화예술의 창
- 천년의 마을을 꿈꾸다
자유로 문화예술 벨트
문화예술 행위로 알린 헤이리의 출범
한국예술종합학교와 함께한 노을 음악회
세상과 소통하는 창구-헤이리 페스티벌
헤이리를 사랑한 마에스트로 정명훈
디엠지 2005 국제현대미술전
국제문학포럼과 서울평화선언
헤이리 예술상
현대음악의 거장 윤이상을 기리며
헤이리 아시아 프로젝트
헤이리의 대표 축제, 헤이리 판페스티벌
작은 마을에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헤이리의 건축철학과 성과
헤이리 문화아카데미와 문화예술강좌
문화지구로 지정되다
저자의 후기
간추린 헤이리 연대기
찾아보기
An Int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