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인종적·민족적·종교적·언어적 차이에 의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배제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한국 다문화 교과교육 연구동향을 보면, 다문화 교과교육의 방향성 연구, 다문화 교육과 교과교육과의 연계성 모색, 각급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교과의 단원 구성 및 내용구성, 다문화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한국 교과교육학계는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다문화교육을 위한 범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 교과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사회적 다양성의 이해와 상호 존중, 새로운 문화의 창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역사교육학계에서도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역사교육을 위한 교재개발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금번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과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가 공동 기획하여 추진한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 역사 교재인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다문화 한국사 이야기』도 하나의 사례입니다.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다문화 한국사 이야기』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으며, 어린이를 위한 역사 부교재 및 역사학습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본 도서는 2016년 1학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소통교육 전공 대학원생들과 다문화를 연구하고 계신 대학 및 연구원의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집필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사를 전근대와 근현대로 구분하여 통사적으로 목차를 구성하였습니다. 내용구성은 사진, 그림, 지도, 삽화, 통계자료 등 다양한 보조 자료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본문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책을 내면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