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연경세시기

연경세시기

  • 부찰돈숭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7-10-27 출간
  • |
  • 366페이지
  • |
  • 130 X 190 X 28 mm /383g
  • |
  • ISBN 9791128824852
판매가

22,800원

즉시할인가

20,5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5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연경세시기≫는 과거로부터 만청(晩淸)에 이르기까지 북경의 연중 세시 풍속과 명승지, 고적 등을 기록했으며 1906년 간행 이후 급속도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정월 원단부터 제석까지의 세시 풍속을 날짜별로 기술했는데 사계절의 풍취와 풍속 및 북경의 물산과 기예 등을 기존의 세시기를 본받아 선인(先人)들의 다양한 기록에 자신의 견문을 보태서 유람(遊覽)에 도움이 되도록 저술했다. 그러므로 ≪연경세시기≫는 중국 세시 풍속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저작 동기는 발문(跋文)에 따르면, “세시에 따라 유람해 기록했는데 전례에 속하지 않는 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처의 볼거리는 대부분 기일이 정해져 있어 또한 세시와 서로 일치했다. 그 볼거리에서 정해진 기일이 없는 것은 대개 기록하지 않음으로써 구별했다. 광서 26년 경자(庚子) 3월 16일에 돈숭 스스로 적다. 다시, 이 기록은 모두 사실을 따라 쓴 것이어서 자잘한 일들이 많아 번잡스럽고 거칠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 주요 뜻을 살펴보면 풍속·유람·물산·기예 네 부분 아닌 것이 없을뿐더러 또한 ≪일하구문고≫의 대요(大要)다. 또 적는다” 했다.
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서술 체재는 세시에 따라 기술하되, 날짜가 정해진 것은 명확하게 밝히고 있으며 선인들의 기록을 인용했으나 오류를 바로잡고 작자의 견문도 보태어 창의성이 돋보인다. 저술 시기는 1900년이며 ≪일하구문고≫의 대요로 한 해의 세시 풍속을 월별로 다양하게 소개했다. 특히 청대 상업 경제의 발달을 반영하듯 각 달에 지내는 묘시(廟市)에 대한 기록이 비교적 상세하다.
≪연경세시기≫에 나타난 풍속·민간 신앙·제사·제수품(祭需品)·의복·장식품·기호품·절식(節食)·명승고적·잡기·유희·잡기·폭죽·장난감·벌레·새·화훼, 사람의 관심사 등은 모두 해당 절기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세시 풍속 행사는 주로 부녀자와 아이들이 주체가 되며 추구하는 바는 진경벽사·초복제액(招福除厄)·무병장수로 빈부귀천 모두 기복하고 액막이·액풀이에 목적을 둔다. 그러나 변화 발전 과정에서 점차 지역적 민족적 유대감을 형성하며 오락적 축제의 성격이 강조되는 한편 숭배신의 공능 또한 단일(單一)에서 만능(萬能)으로 확대된다.

목차

연경세시기서(燕京歲時記序)

정월(正月)
원단(元旦)
팔보하포(八寶荷包)
제재신(祭財神)
파오(破五)
인일(人日)
순성(順星)
타춘(打春)
등절(燈節)
연구(筵九)
개인(開印)
타귀(打鬼)
전창(塡倉)
대종사(大鐘寺)
백운관(白雲觀)
조노공관아(曹老公觀兒)
창전아(廠甸兒)
동서묘(東西廟)
토지묘(土地廟)
화아시(花兒市)
소약왕묘(小藥王廟)·북약왕묘(北藥王廟)
사모자(?耗子)·사후아(??兒)·사구리자(?苟利子)·포한선(?旱船)

2월(二月)
태양고(太陽?)
용대두(龍擡頭)
춘분(春分)
청명(淸明)
매소유계(賣小油?)·소압자(小鴨子)

3월(三月)
삼월삼(三月三)
반도궁(蟠桃宮)
동악묘(東嶽廟)
담자사(潭?寺)
계대(戒台)
천태산(天台山)
환계(換季)
황화어(黃花魚)·대두어(大頭魚)

4월(四月)
사연두(捨緣豆)
만수사(萬壽寺)
서정(西頂)
묘봉산(妙峯山)
아계산(
?
?
?山)
북정(北頂) 동정부(東頂附)
유전고(楡錢?)
황리(黃?)
노순(蘆筍)·앵도(櫻桃)
양초면(凉炒?)
매괴화(??花)·작약화(芍藥花)

5월(五月)
단양(端陽)
웅황주(雄黃酒)
천사부(天師符)
창포(菖蒲)·애자(艾子)
채사계호(綵絲繫虎)
전채위호로(剪綵爲葫蘆)
사갈(賜葛)
성황출순(城隍出巡)
과회(過會)
도성황묘(都城隍廟)
남정(南頂)
십리하(十里河)
요대(瑤台)
마도우(磨刀雨)
분룡병(分龍兵)
악월(惡月)
석류(石榴)·협죽도(夾竹桃)
5월 선아(五月先兒)
첨과(甛果)
염지갑(染指甲)

6월(六月)
유월육(六月六)
세상(洗象)
제마왕(祭馬王)
제관제(祭關帝)
사빙(賜?)
환갈사(換葛紗)
중정(中頂)
십찰해(十刹海)
소청낭(掃晴娘)
빙호아(?胡兒)
산매탕(酸梅湯)
서과(西瓜)

7월(七月)
주침(?針)
작전교(鵲塡橋)
중원(中元)
하엽등·호자등·연화등(荷葉燈·蒿子燈·蓮花燈)
법선(法船)
우란회(盂蘭會)
방하등(放河燈)
강남 성황묘(江南城隍廟)
금종아(金鐘兒)
능각·계두(菱角·?頭)
조아·포도(棗兒·葡萄)

8월(八月)
중추(中秋)
월광마아(月光馬兒)
구절우(九節藕)
연판서과(蓮瓣西瓜)
월병(月餠)
토아야 탄자(兎兒爺?子)
조군묘(?君廟)

9월(九月)
구월구(九月九)
조어대(釣魚臺)
화고(花?)
구화산자(九花山子)
조해·양향주·압아광·시자·산리홍(糟蟹·良鄕酒·鴨兒廣·?子·山裏紅)
재신묘(財神廟)

10월(十月)
시월일(十月一)
첨화(添火)
앙산와(仰山?)
매헌서(賣憲書)
?쟁·건아·유리 나팔·포포등·태평고·공종(風箏·?兒·琉璃喇叭·???·太平鼓·空鐘)
주마등(走馬燈)
척구(?球)
곡곡아·괄괄아·유호로(??兒·??兒·油壺盧)
율자·백서·중과·남당·살제마·부용고·빙당호로·온박(栗子·白薯·中果·南糖·薩齊瑪·芙蓉?·?糖壺盧·溫朴)
수오타·내오타(水烏他·?烏他)
적포아·투고낭·해당목과·구박(赤包兒·?姑娘·海棠木瓜·?朴)
오동·교취·축정홍·노서아·연교아(梧桐·交嘴·祝頂紅·老西兒·燕巧兒)
동순·은어(冬筍·銀魚)

11월(十一月)
번괘자(??子)
월당두(月當頭)
동지(冬至)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
타상(拖牀)
유빙혜(溜?鞋)
타빙(打?)
사초(賜貂)

12월(十二月)
납팔죽(臘八粥)
대백채(大白菜)
옹화궁 오죽(雍和宮熬粥)
포록상(?鹿賞)
봉인(封印)
봉대(封臺)
방년학(放年學)
제조(祭?)
춘련(春聯)
문신(門神)
화아붕자(畵兒棚子)
제석(除夕)
선세(?歲)
연반(年飯)
당화(唐花)
장향(藏香)
요전수(搖錢樹)
압세전(壓歲錢)
홍표아(紅票兒)
괘천(掛千)
천지탁(天地?)
사세(辭歲)
영희신(迎喜神)

발(跋)

부록
참고문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부찰돈숭(富察敦崇, 1855∼1922)은 만주 귀족의 후예로 자는 예신(禮臣), 호는 철사도인(鐵獅道人)이다. 그는 대대로 돈혜백(敦惠伯)의 지위를 세습해 온 승간당공(承簡堂公)의 둘째 아들이며 만주 세가(世家)인 태부대학사(太傅大學士) 마문목공(馬文穆公)의 먼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났으나 족인(族人)으로 회피(廻避)당해 우도(牛刀)를 시험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 관례에 따라 관직을 받아 동삼성(東三省)의 도원(都員)을 지냈다. 퇴청 후에는 서사(書史)를 읽으며 마음을 달래어 국조[國朝, 청조(淸朝)]의 옛 역사 제도의 전고(典故)에 관해 그 본원(本源)을 깊게 탐구했다. 일찍이 육군부낭중(陸軍部郞中)·광서사은부지부(廣西思恩府知府) 등을 거쳐 선통(宣統) 2년 조정의 명을 받들어 북경·찰합이(察哈爾)·하북(河北)·호북(湖北)·강소(江蘇)·절강(浙江) 등지의 군대·학교·공장 등을 조사하는 사무를 보았다. 이듬해 7월 병가를 얻어 북경으로 돌아와 혁명을 피해 두문불출했다. 그는 평생 문사를 좋아해 풍부한 저술을 남겼는데 ≪융유황태후대사기(隆裕皇太后大事記)≫·≪남행시초(南行詩草)≫·≪자등관시초(紫藤館詩草)≫·≪예창쇄기(藝??記)≫·≪화호집문초(畵虎集文抄)≫·≪(경자)도문기변삼십수절구[(庚子)都門紀變三十首?句]≫·≪황실견문록(皇室見聞錄)≫·≪부찰유문록(富察遺聞錄)≫ 등이 전한다.

도서소개

청나라 시기 북경 지역의 세시 풍속을 월별로 정리한 책이다. 주요 내용은 풍속·유람·물산·기예, 묘시 등으로 음력 정월부터 12월까지 총 145조를 다루었다. 설과 단오는 물론, 봉숭아물 들이기, 제기 차기, 썰매 타기 등 우리에게도 친숙한 풍속도 보인다. 한중 양국의 세시 풍속 비교 연구 발전에 초석이 될 작품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