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 가와사키 케이고
  • |
  • 신구문화사
  • |
  • 2017-10-20 출간
  • |
  • 432페이지
  • |
  • 161 X 233 X 28 mm /759g
  • |
  • ISBN 9788976682338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중세한국어 “감동법”은 현대어에서는 “~하도다”, “~하것다”, “~하렷다” 등 일부 어미들에 화석처럼 남아 있는 문법이다. 중세어 시기에는 이것이 더 체계적으로 활발하게 사용되면서, 단순한 “감탄”이나 “영탄”과 같은 말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그 “감동법”의 정체를 찾고자 하는 연구서이다.
필자는 일본 동경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한국어사를 배우러 서울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을 왔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정부초청 외국인대학원장학생으로 선정되어 경제적 어려움 없이 박사과정을 다니는 혜택을 입었고, 지난 2016년 2월에는 박사학위논문 ?중세한국어 감동법 연구 ― ‘깨달음’과 ‘복수성’?을 제출하며 무사히 졸업하게 되었는데, 감사하게도 부족함이 많은 이 논문이 일석학술재단으로부터 2017년 제8회 일석국어학학위논문상으로 선정되는 분에 넘치는 영광을 얻게 되었다. 이 책은 그 박사학위논문의 문장을 다듬고 기존의 견해나 용어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
글을 집필하는 동안 필자는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의 일본어 교사였다. 활기찬 학생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그들의 젊은 에너지를 받아 그대로 연구실로 가져가는 일상 속에서 이 연구는 진행되었다. 악센트까지 까다롭게 따지는 수업을 반겨 들어 주고 모자란 선생님을 항상 밝게 대해 준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마지막으로 부족하나마 필자의 힘을 다한 이 책을 한국 유학생활의 한 매듭으로서 학계에 바치며, 다시 한 번 따뜻하게 응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2017년 8월
가와사키 케이고(河崎啓剛)

이 책에서는 "감동법"이란 결국 "깨달음 표지"이며, 감동법체계란 유형론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본래적이며 꽉 짜인 "mirativity system"임이 밝혀진다. 이는 중세한국어 감동법 체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기술하는 일 자체가, DeLancey(1997) 이래로 비교적 최근에 논의도기 시작하여, 아직 연구의 초기단계에 있는 세계 언어유형론 분야의 mirativity 연구에 대해 큰 이바지를 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현대한국어 mirativity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임은 물론이다. 이에 본서는, 자료의 수집과 분류·정리를 중심에 두어 논의를 구성하여, 이 귀중한 mirativity system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정리·기술함으로써, mirativity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연구가 되는 것을 제2의 목표로 삼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 4

1. 서론 … 15
1.1. 연구 목적과 대상 … 15
1.2. 주요논의 및 방법론 … 16
1.3. 선행연구와 본서의 방향 … 20
1.3.1. 감동법 … 20
1.3.2. evidentiality, mirativity … 23
1.3.3. 감동법 ‘?것다’와 비존칭의 ‘?거시니’ … 25
1.4. 인용 자료 … 26

2. 복수표지 ‘?ㅅ/옷²?’ … 31
2.1. ‘?ㅅ?’의 복수성 … 31
2.1.1. 의문형 ‘??다’ … 32
2.1.2. 명령형 ‘?아/어?라’, ‘?거?라’ … 36
2.1.3. 1인칭 ‘?소?’[?ㅅ?오?] … 38
2.1.4.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45
2.1.5. 일부 청유형들과의 관계 … 48
2.1.5.1. ‘?쟈?라’ … 48
2.1.5.2. ‘?사?다’ … 50
2.2. 1인칭 ‘?오소?’[?옷?오?]의 복수성 … 51
2.2.1. ‘?다소?’ … 53
2.2.1.1. 한글 자료 … 53
2.2.1.2. 음독구결 자료 … 57
2.2.1.3. 直指寺 소장 법화경의 특수성 … 63
2.2.2. ‘?과소?’, ‘?아소?’ … 67
2.2.3. ‘?노소?’[???옷?오?] … 70
2.2.3.1. 음독구결 자료 … 71
2.2.3.2. 한글 자료 … 80
2.3. “도소”의 이질성 … 85
2.4. 소결: “감동법” 체계 다시 정리 … 93

3. 감동법 ‘?돗/옷¹?’의 용법 … 97
3.1. mirativity marker로서의 감동법 … 98
3.1.1. 종래의 문제점 … 98
3.1.2. 핵심적 의미·기능 … 99
3.1.3. 증거성과의 관계 … 104
3.1.4. 현대어의 mirativity 표현들 … 106
3.2. ? 내적 감각 … 109
3.2.1. 기본적인 용법 … 109
3.2.2. ‘알리로소녀’, ‘엇더?도소뇨’ … 111
3.2.3. ‘? ?리로다’ … 116
3.3. ?′ 일치·식별·同定·평가 … 120
3.3.1. ?′?1 원했던 대상을 찾아냄 … 120
3.3.2. ?′?2 식별, 同定 … 126
3.3.3. ?′?3 평가 … 131
3.3.3.1. 품평·인물평 … 132
3.3.3.2. 사건·상황에 대한 평가 … 136
3.3.3.3. ‘(어루) ~라 니?리로다’ … 138
3.4. ? 지각 경험에 수반된 깨달음 … 140
3.4.1. 기본적인 용법 … 140
3.4.2. 뛰어난 지각 능력 … 143
3.5. ?′ 추리/추론과 인식 양태 … 145
3.5.1. 기본적인 용법 … 145
3.5.2. 뛰어난 추리 능력 … 148
3.5.3. ?′?1 확실성 ‘(?다?/반?기) ?돗/옷¹?’ … 151
3.5.4. ?′?2 가능성 ‘(시혹) ?리롯?’ … 155
3.5.5. ?′?3 과거의 가능성 ― 反實假想 ‘V/A?리랏다’ … 159
3.6. ? 주관적·개인적 감각 … 165
3.6.1.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167
3.6.2. ??2 인정과 양보 … 169
3.6.3. ??3 확인과 의문 … 171
3.6.4. ??4 잘 몰랐던 척 ― “정보 관할권”과의 상호작용 … 174
3.6.4.1. 책임 회피 … 176
3.6.4.2. 정보 강자에 대한 공손성 … 180
3.6.4.3. 떨어지는 신빙성 … 182
3.7. ?′ 객관적·논리적 도출 … 184
3.7.1. 수량의 계산 … 185
3.7.2. “?ㄴ 셈이다” … 187
3.7.3. “?ㄹ 터이다” … 191
3.7.4. ?′?1 “(이맘때면/그때쯤엔) ?ㄹ 터이다” … 194
3.7.5. ‘~?(?오?) 알리로다’ … 195
3.8. ? 이해·해석·납득과 내재화 … 199
3.8.1. 기본적인 용법 … 201
3.8.1.1. 항구적인 본질·원리·원칙의 이해 … 201
3.8.1.2. 인과관계를 해석함 … 202
3.8.1.3. 진의를 해석함 … 205
3.8.1.4. 하나의 줄거리로 해석함 … 207
3.8.2. 과거에 대한 깨달음 ‘V/A?닷다’ … 209
3.8.2.1. ‘?닷다’, ‘?다??다’ … 209
3.8.2.2. ‘?다?니’ … 213
3.9. ‘V?돗더라’와 ‘V?돗던고’ … 214
3.9.1. 과거의 지각 경험 ‘V?돗더라’ … 215
3.9.1.1. 기본적인 용법 … 216
3.9.1.2. 1인칭의 대상화 … 219
3.9.1.3. 제삼자의 깨달음 … 220
3.9.1.4. ?두시언해?와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222
3.9.2. 의아스러워 함 ‘V?돗던고’ … 230
3.9.2.1. ‘V?던고’ … 230
3.9.2.2. ‘V?돗던고’ … 233
3.10. 1인칭 주어의 감동법 … 238
3.10.1. [?돗?오?]의 可否 … 239
3.10.2. 의미적 특수성 … 240
3.10.3. 자료의 검증 … 242
3.10.4. ‘?돗/옷¹?’과 ‘?오?’의 계열관계 … 251

4. ‘?것다’, ‘?거시니’, ‘?거시?다’ … 255
4.1. ‘?거?’의 의미·기능 … 259
4.2. ‘?것다’[?거?옷¹?다] … 266
4.2.1. ‘?거다’와의 대비 … 266
4.2.2.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74
4.2.3. 상황의 자연발생적 변화에 대한 깨달음 … 278
4.2.4.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 283
4.2.5.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284
4.3. ‘?거시니’[?거?옷¹?니] … 287
4.3.1. ‘?것다’ 및 ‘?돗/옷¹?’과의 동질성 … 288
4.3.1.1.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88
4.3.1.2. ? 내적 감각 … 289
4.3.1.3. ?′(?) 식별 … 290
4.3.1.4. ?′ 객관적·논리적 도출 … 291
4.3.1.5. ?′?1 “(이맘때면/그때쯤엔) ?게 됐을 터이다” … 295
4.3.2. ‘?거니’와의 대비 … 297
4.3.2.1. ‘?거니, [수사의문문]’ … 299
4.3.2.2.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 … 305
4.3.2.3.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감사) … 317
4.3.2.4. ??3a 사실의 확인과 그것에 대한 의문 … 319
4.3.2.5. ??3d 따짐과 힐문 … 321
4.4. ‘?거시?다’[?거?옷¹???다] … 329
4.5. 소곡본 ?능엄경?의 ‘?????(것이니)’ 표기 … 332
4.6. ‘?거시며’[?거?옷¹?며]의 존재 … 336
4.7. ‘?거샷?’[?거?시?옷¹?]과 그 誤記 … 342
4.8. ‘?앗?’[?아?옷¹?], ‘?아샷?’[?아?시?옷¹?] … 350
4.8.1. ‘?앗다’, ‘?아샷다’ … 351
4.8.2. ‘*?아?니’, ‘?아샤?니’ … 354
4.8.3. ‘?아??다’ … 356
4.9. “?거?(H!) + ?옷¹?(H) → ?것?(H)”의 성조 변화 … 358
4.10. ‘?거시니’와 ‘?가시니’의 교체 … 362
4.11. ?번역노걸대?의 ‘?거니’와 ‘?거시니’ … 365
4.11.1. ‘?거니’ … 365
4.11.2. ‘?거시니’ … 371

5. 특수화와 변화 … 375
5.1. ‘?샤소?’의 특수성 … 375
5.2. ‘?놋도다’, ‘???다’, ‘???다’, ‘??도다’ … 380

6. 결론 … 385

참고문헌 … 398
<부록 1> 형태별 정리 및 본서에서의 참조 위치 … 409
<부록 2> 본서의 개요와 전체 흐름 소개 … 412
찾아보기 … 415

저자소개

저자 가와사키 케이고는 일본 동경에서 태어났다. 일본 동경대학 교양학부 초역문화과학과 언어정보과학분과를 졸업하고(200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2010년) 및 문학박사(2016년)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2012년~).
저서로《韓國 書誌學{의 先鞭 : 마에마 교사쿠의 작업을 중심으로》(공저, 2015년)가 있으며, 논문으로는〈“어기설”과 중세한국어 동사활용〉(2011년), 〈中期朝鮮語「하다」 「만?다」の意味的?係〉(2017년)

도서소개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에서는 "감동법"이란 결국 "깨달음 표지"이며, 감동법체계란 유형론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본래적이며 꽉 짜인 "mirativity system"임이 밝혀진다. 이는 중세한국어 감동법 체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기술하는 일 자체가, DeLancey(1997) 이래로 비교적 최근에 논의도기 시작하여, 아직 연구의 초기단계에 있는 세계 언어유형론 분야의 mirativity 연구에 대해 큰 이바지를 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현대한국어 mirativity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임은 물론이다. 이에 본서는, 자료의 수집과 분류·정리를 중심에 두어 논의를 구성하여, 이 귀중한 mirativity system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정리·기술함으로써, mirativity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연구가 되는 것을 제2의 목표로 삼고자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