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델파이 분석, 텍스트 마이닝 분석 네 가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디지털 경제의 산업, 기술 및 사회의 현황과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디지털경제의 핵심 기술요소를 선정하고,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분석하며, 한국사회 미디어 이용 행태의 장기 전망을 수행하고, 디지털경제 핵심 기술들이 산업, 기술 및 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며, 핵심기술 및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인터넷에서의 발생빈도와 관련어를 추적, 우리 사회에서의 논의 양상을 분석하고 추론하였다.
기술수용모형 연구결과, 호환성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이점과 접근성의 경우 인지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시뮬레이션 연구결과, 고령화 중심의 인구구조변화는 SNS 등 ICT 신기술의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델파이분석 결과, 디지털 경제 확산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산업은 스마트카, 인공지능로봇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핀테크로 나타났다. 미래사회와 관련된 이슈로는 2025년까지는 ‘사이버 범죄/안전’이 가장 큰 이슈로 꼽혔고, 2030년에는 ‘인간과 기계(기술) 간 경계 모호’가 가장 큰 이슈로 선정되었다.
텍스트의미망 분석 결과, ‘로봇’,‘드론’, ‘가상현실’이 많이 언급되며, 관심도 증가하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IoT’는 ‘정보’, ‘모바일’, ‘빅데이터’ 등의 단어들과 주로 연결되어 있고, ‘빅데이터’는 ‘축적’, ‘IoT’, ‘전문인력’ 등의 단어들과 관련이 높았으며, 로봇에 대해서는 논의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디지털 기기 이용 패턴에 대한 변화, 고령화의 추세, 사이버 범죄와 안전 및 기계에 의한 일자리의 위협 등이 주요 의제로 부각될 것임을 예측하면서 향후 이를 반영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