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국제정치학 2 <이슈편>』은 이론과 외교사를 제외하고 실제 국제정치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제1편은 미국을 비롯한 중국, 러시아, 일본, EU 등 강대국들의 대외정책을, 제2편 국제기구편에서는 UN, WTO를 비롯한 보편기구, ASEAN, OECD, APEC등 지역기구들의 역사와 활동 및 기관 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제3편부터 제5편까지는 분석수준을 국제체제, 지역체제 및 한반도체제로 대별하여 각각 정치이슈와 정치경제 이슈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제3편에서는 국제이슈 중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WMD확산 문제를 비롯하여 세계화, 정보화, 지역주의, 국제금융질서, 국제환경문제, G20정상회의 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제4편 지역이슈에서는 동아시아 이슈로서 북핵문제와 동아시아 공동체론 그리고 동아시아 영토분쟁 및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기술하였습니다. 제5편 한반도이슈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대외정책, 역대 행정부의 대외정책 및 남북한관계론의 주요 쟁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최근 국제정치학 시험의 출제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외무영사직렬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정치학이 국제정치현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상당히 다양한 쟁점이 제기되었고 또한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쟁점들은 모두 시험대상으로도 볼 수 있어 매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슈편은 어느 정도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첫째, 기출이슈가 반복 출제되고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기출이슈와 쟁점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주요국이나 국제기구에서 제시된 문서들을 꼼꼼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NPT, 9.19공동성명, 2.13합의, 6.15선언, 10.4선언, 북핵 관련 안보리결의 등 주요 문서들이 반복해서 출제되고 있습니다. 셋째, 강대국 대외정책이나 강대국 상호관계에 주목해야 합니다. 넷째, 주요 이슈와 관련된 최근 상황도 유력한 출제 영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네 영역을 우선적으로 공략한 다음 다양한 세부 논점들을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자의 출간을 전폭적으로 지원해 주시는 윌비스의 지호남 원장님과 애써주신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본서를 통해 공부하시는 수험생 여러분의 조기합격을 기도합니다.
2017년 10월 17일
편저자 이상구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