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1 _김재성 박사(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부총장. 조직신학 교수) 6
추천사 2 _박창훈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8
추천사 3 _피터 버거 박사(보스턴대학교 교수) 11
역자서문 19
도입 _24
제1장
잘못된 고정관념 _______38
1. 왜곡되어져 규격화된 고정관념 _52
2. 고정관념, 시대정신 그리고 현대사회 _55
3. 객체로서의 고정관념 _60
제2장
루터는 악한인가? _______71
1. 고정관념의 근원 _83
제3장
루터-그러면 악한이 아닌가? _______104
1. 질서의 신학적 중요성 _106
2. 두 왕국 _113
3. 루터식의 저항 _127
4. 하나님의 “기적의 사람”과 사탄의 앞잡이 _140
5. 언제 무력적인 저항이 허용되는가? _145
6. 막데부르그 신앙고백 _152
7. 본회퍼가 플라시우스에게 경의를 표하다 _158
제4장
루터에 관한 고정관념의 반론(Ⅰ): 괴르델러의 저항 _______171
1. 독일 군국주의에 관한 고정관념 _202
2. 백악관의 고정관념 _217
3. 시대정신의 희생양 _237
제5장
루터에 관한 고정관념의 반론(Ⅱ): 1989년 라이프치히 운동 _______246
1. 루터의 유산은 유효하다 _250
2. 브뤼제비츠: “신앙고백 선언”(in casu confessionis)의 극한 예 _263
3. 고르바초프는 “기적의 사람”이었는가? _272
에필로그: 두 왕국설의 카이로스 _276
부록 1: 동일한 하나님, 두 왕국: 루터 교리의 역설 _298
부록 2: 우상화된 자아에 대한 루터의 저항(에세이) _302
본문 사진들 _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