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장하다와 왕수재, 흥선 대원군의 시종이 되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145년 만에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
ㆍ강화도 근대 역사의 현장
제2장 허영심과 곽두기, 조선의 개항을 목격하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최익현은 왜 개항에 반대했을까?
ㆍ새로운 세상에 눈뜬 보빙사
제3장 장하다와 허영심, 정변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인천 차이나타운과 개항장
ㆍ양무운동과 메이지 유신
제4장 나선애, 동학 농민군과 함께 새 세상을 꿈꾸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영국의 거문도 점령 사건
ㆍ동학 농민 운동 이후의 동학, 영학당
제5장 허영심, 왕비 민씨의 첩보원이 되다
● 교과서 핵심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선생님을 만드는 학교, 한성 사범 학교
ㆍ명성 황후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제6장 나선애, 만민 공동회에서 개혁을 외치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고종을 어떻게 봐야 할까?
ㆍ덕수궁, 대한 제국 역사의 현장
제7장 용선생, 고종의 특사를 따라 네덜란드에 가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독도는 왜 우리의 땅일까?
ㆍ이방인이 바라본 한국
제8장 곽두기 기자, 나라를 지키려는 노력을 취재하다
● 교과서 핵심 보기
● 용선생의 역사 교실
ㆍ이승훈과 오산 학교
ㆍ안중근의 동양 평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