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좋아한다.‘달리고, 던지고, 외치고, 규칙과 스포츠맨십을 지키고, 경기방법을 이해하고’수많은 움직임이 뇌의 명령에 따라 아름다운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완벽하고 숙련된 동작보다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하고 배우고 느끼는 활동자체가 교육이며, 자기성장이다.
2015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은 ‘건강’,‘도전’,‘경쟁’,‘표현’,‘안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학습영역을 통해 건강관리 능력, 신체수련 능력, 경기수행 능력, 신체표현 능력의 핵심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건강하고 튼튼한 학생으로의 성장...
더보기 대부분의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좋아한다.‘달리고, 던지고, 외치고, 규칙과 스포츠맨십을 지키고, 경기방법을 이해하고’수많은 움직임이 뇌의 명령에 따라 아름다운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완벽하고 숙련된 동작보다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하고 배우고 느끼는 활동자체가 교육이며, 자기성장이다.
2015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은 ‘건강’,‘도전’,‘경쟁’,‘표현’,‘안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학습영역을 통해 건강관리 능력, 신체수련 능력, 경기수행 능력, 신체표현 능력의 핵심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건강하고 튼튼한 학생으로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의하면 84%의 초 중등학생들이 체육수업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으나, 84%의 학생 중 11.5%의 학생들만이 초 ? 중등학교에서 동작도전 수업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66.1%의 교사는 동작도전 수업운영 및 지도에 매우 부담을 느낀다고 하였으며, 61.7%의 교사는 동작도전 수업을 전혀 운영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많은 교사들이 5개의 학습영역 중 교수학습지도방법 및 안전사고 그리고 학생들의 낮은 선호 등의 이유로 동작도전 수업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바로 초등교사의 열정과 전문성 개발이라고 생각한다. 초등학교 현장의 어려움과 함께 초등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특별한 교재 연구 없이도 동작도전 영역의 수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방법, PPT학습자료, 교수학습지도안, 단원별 동영상, 학생 보조방법 그리고 교수학습자료를 수록하였다.
부족하지만 이 교재가 초등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담당하는 선생님들에게 동작도전에 대한 이론과 실기에 대한 지도방법을 개선하여 마음껏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길 기대한다.
‘학생들에게 최고의 교재는 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