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韓民族은 왜 수난당해야 했던가
제1장 기존의 한민족 수난 이유에 대한 비판
제1절 반도국의 지리적 숙명론
1. 반도적 숙명론의 배경
1) 침략의 유형
2)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양상(樣相)
3) 반도적 숙명론의 논지
2. 반도적 숙명론
1) 자연환경의 역사적 의미
2) 세계의 반도국은 모두 수난만을 당하고 살아왔는가
3) 지리적 숙명론이 창출해낸 인간 부재의 역사는 일본 열도와 일본 역사를 팔아먹는 이론이다
4) 지리적 숙명론이 만든 한국사의 주변성(周邊性), 부수성(附隨性), 사대성(事大性)은 일본사의 특징
제2절 부정적인 민족성론
1. 민족성의 고찰
2. 당파성, 의뢰성, 뇌동성, 사대성의 문제와 그 본질
1) 당파성의 문제와 그 본질
2) 의뢰성의 문제와 그 본질
3) 뇌동성(雷同性)의 문제와 그 본질
4) 사대성의 문제와 그 본질
제2장 한민족사의 조명(照明)
제1절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歷史觀)
제2절 한민족사의 개관(槪觀)
1. 삼국통일 이전의 한민족 웅비의 역사
1) 중국의 수문제(隋文帝)와 고구려의 투쟁
2) 고구려와 수양제(隋陽帝)의 113만 대군의 결전(決戰)
3) 수양제의 2차 침입과 패전
4) 수양제의 3차 침입과 수의 멸망
5) 당태종의 침략과 고구려의 승리
2.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한민족 수난의 역사
제3장 국력론(國力論)
제1절 국력이란 무엇인가
1. 국력이란 무엇인가
1) 국력평가의 상대성(相對性)
2) 국력의 신축성(伸縮性)및 과학성
3) 4대력(정신력, 경제력, 군사력, 외교력)의 상호유기적 연관성
제2절 정신력이란 무엇인가
1. 정신력이란 무엇인가
제2편 한민족을 무엇이 지켜왔던가
제1장 건국 이념에 어린 한민족의 뿌리
제1절 건국 신화에 대한 바른 이해
제2절 건국 신화를 대하는 기본 태도
제3절 건국 이념에 어린 인간주의
제2장 무엇이 고구려를 강하게 만들었던가
제1절 고구려 강성의 원인
제2절 선인집단에 대한 고찰
제3절 무엇이 선인정신인가
제3장 무엇이 삼국통일을 가져오게 하였는가
제1절 화랑집단의 연원
제2절 화랑집단에 대한 고찰
제3절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초
제4장 고려의 항몽정신
제1절 항몽전쟁의 역사적 배경
제2절 항몽전쟁의 정신적 근거
제5장 임진왜란 의병운동
제1절 임진왜란 발발의 역사적 배경
제2절 의병의 봉기
제3절 의병정신의 근거
제6장 동학농민혁명
제1절 동학혁명의 역사적 배경
제2절 동학혁명군의 봉기
제3절 동학혁명의 사상적 근거
제7장 한말 의병정신
제1절 한말 의병봉기의 역사적 배경
제2절 한말 의병의 봉기
1. 을미의병
2. 병오의병
3. 정미의병
제3절 한말 의병정신의 근거
제3편 한민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제1장 정신력과 민족 사상
제1절 민족 사상과 민족 운명
제2절 한민족사와 정신혁명
1. 사상면에서의 정신혁명
2. 정신혁명에 수반되는 제도상의 혁명
3. 의식혁명(意識革命)
4. 문화면에서의 영속성(永續性) 보장
5. 정신혁명의 실천으로서의 민족운동
제2장 한민족 문화상의 문제점
제1절 창조적 문화발전의 저해(沮害)
제2절 민족 단결매체(團結媒體)의 빈곤
제3장 왜 일본은 저토록 강성한가
제1절 일본에 대한 기본인식
제2절 신도(神道)와 천황제
제3절 무사도(武士道)
1. 하가꾸레(葉隱)의 일화(逸話)
2. 가무기(歌舞伎:고전연극) 충신장(忠臣藏,쭈우신구라)
제4장 한민족 사상 정립에 요하는 기본 구상
제1절 인생 안에서의 보장
1. 이순신 장군
2. 안중근 의사
3. 윤봉길 의사
4. 최익현 선생
5. 백범 김구 선생
제2절 현세주의의 극복
제3절 세계적 보편성과 민족적 특수성
제4절 사상의 논리, 보급, 신화
제5절 목적의식의 배제와 사실적 근거
제4편 한민족 웅비의 철학
제1장 한민족 웅비의 기초로서의 인생 철학
제1절 무엇이 인간 존재인가
제2절 무엇이 산 것이며 무엇이 죽은 것인가
1. 살아있다는 증거가 있는가
2. 삶과 죽음의 정체
1) 생사의 시한성(時限性)
2) 생사의 상대성(相對性)
3) 생사의 자연성(自然性)
제3절 생사의 유형
1. 죽음 속의 삶(死中生)
1) 소크라테스
2) 안중근 의사
3) 이봉창 의사, 면암 최익현, 단재 신채호
2. 죽음 속의 죽음(死中死)
3. 삶 속의 삶(生中生)
4. 삶 속의 죽음(生中死)
제4절 어떠한 인생이 있는가(인생의 유형)
1. 허겁지겁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
2. 이럭저럭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
3. 오락가락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
4. 오로지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
제5절 왜 나는 한민족인가(韓民族의 民族觀)
1. “나” 의 육신의 정체
2. “나”의 정신의 정체
제6절 왜 나는 한국인인가(韓民族의 國家觀)
제2장 한민족 존재의 좌표(인생의 길=민족의 길=세계에의 길)
제1절 왜 나는 존립하고 있는가(自我存立의 根據)
제2절 무엇 때문에 사는가(存在理由)
제3절 무엇 위해 살 것인가(存在目的)
제4절 어떻게 살 것인가(存在方式)
1. 한민족 개아(個我)의 존재 방식
1) 직업을 통한 정신의 생명
2) 능력과 소질을 통한 정신의 생명
3) 생명과 재산을 다 바친 정신의 생명
2. 한민족 전아(全我)의 존재 방식
제5절 무슨 보람에 살 것인가(存在價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