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부 세월호 이전과 이후의 한국연극, 정치성과 공공성
1장―우리 시대의 작가와 연출가, 생체 기억의 생존자들
거세된 아버지의 자식들-정복근 작가론
시대와 개인의 ‘슬픈 인연’-김광림 작가론
생체 기억의 생존자들, 비국민 혹은 호모 사케르-배삼식 작가론
야생 연극인의 현장 예술론-이상우 연출론
연극성의 다른 가능성-윤시중 연출론
2장―국공립 제작극장 시대와 대학로 연극의 공공성
정치성의 회복과 공공성의 화두-2000년대 연극
광복의 ‘추억’과 한국연극-광복 70주년과 연극
서울연극제와 ‘대학로 연극’의 위기-2015 서울연극제
제작극장의 제작능력과 인문 고전
2부 한국연극의 새로운 문턱, 미학적 정치극의 부활
1장―국가와 역사, 광장과 황무지와 상복을 입은 연극
피의 여왕과 정의의 여신-〈오레스테스 삼부작〉
쉽고 깊어진 이윤택, 역사와의 대화-〈혜경궁 홍씨〉
아버지(들)의 역사, 아들(들)의 증언-〈알리바이 연대기〉
광화문 광장에서 김수영의 시를 외치다-〈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직설화법으로 말하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배수의 고도〉
서사의 회복을 보여주는 새로운 글쓰기-〈데모크라시〉
세상에 넘치는 분노들!-〈미국아버지〉
엘리엇의 황무지와 최치언의 잔인한 4월-〈소뿔자르고주인오기전에도망가선생〉
상복을 입은 마리나-〈마리나 츠베타예바의 초상〉
흰 돌과 검은 돌, 백석우화와 윤택우화-〈백석우화〉
백조와 흑조, 저주받은 공주와 작가-〈백조의 호수〉
2장―자본주의와 일상, 자본주의의 뒷골목과 노동자의 맨몸
금룡반점, 세계화의 뒷골목-〈황금용〉
‘벗는 연극’ 혹은 벌거벗은 자본주의-〈헤르메스〉
미국식 자본주의와 정신적 파산 상태의 인물들-〈베키 쇼〉
실업률 제로의 완전한 세상, 노동천국의 불안-〈히에론, 완전한 세상〉
노동자의 자본주의-〈게공선〉
3부 고전과 새로운 글쓰기의 자극
1장―제작극장의 명작 레퍼토리와 고전의 낯설게 읽기
나는 자유다-〈라오지앙후 최막심〉
촛불과 달빛의 냉정한 비극의 세계-〈유리동물원〉
“심심한데 목이나 매달까?” 구원의 밤과 부활-〈고도를 기다리며〉
캐주얼과 모던함-〈페리클레스〉
가장 낯선 방식으로 말하는 ‘인간’-〈1984〉
체호프와 나와 공포-〈공포〉(재)
한태숙의 창극 실험이 남긴 것들-〈장화홍련〉
꼭두각시극, 현대극의 가능성-〈돌아온 박첨지〉(재)
2장―젊은 세대의 일상감각 혹은 새로운 글쓰기
1930년대, 체호프, 갈매기-〈가모메〉
순정과 비린내-〈이인실〉
일상의 중독자들-〈2014년 여름〉
맵고 서늘하다-〈먼 데서 오는 여자〉(재)
매운 이야기꾼이 등장했다-〈여자는 울지 않는다〉
영국 극작가의 새로운 글쓰기의 자극, 인간과 기억-〈인코그니토〉
학전 어린이청소년극의 저력-〈유령놀이〉
4부 한국연극을 바라보는 또다른 시선, 드라마투르그 작업노트
1장―창작극 : 이강백, 윤영선
“그이를 꺼내주세요!”-〈즐거운 복희〉
이강백의 수수께끼, 돌멩이 하나-〈날아다니는 돌〉
한여름 밤의 악몽-〈죽음의 집 2〉
2장―번역극 : 스트린드베리, 체호프, 핀터, 청소년극
사랑은 끝났다, 계산은 남았다-〈채권자들〉
권총과 몰핀과 눈물-〈바냐 아저씨〉
친밀했던 세계와의 결별, 나의 세계로의 귀향-〈귀향〉
고백할 용기, 고통을 견디는 용기, 기다릴 줄 아는 용기-〈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1
누가 사랑을 두려워하는가?-〈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2
빨간 시라노를 줄까, 파란 크리스티앙을 줄까?-〈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3
초출일람 378
찾아보기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