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차탕조선

차탕조선

  • 주채혁
  • |
  • 혜안
  • |
  • 2017-08-30 출간
  • |
  • 652페이지
  • |
  • 154 X 224 X 34 mm /939g
  • |
  • ISBN 978898494589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朝鮮)’은 중국말 한자가 아닌, ‘순록치기의 나라’란 토박이 한글이름이다!
이 책의 저자 주채혁 박사는 ‘朝鮮(Chao xian)’은 흔히 알려진 대로 ‘아침의 나라(Zhao xian)’란 의미가 아니고 ‘순록치기(Chaatang)의 나라’라는 나름의 견해를 밝히는 책과 논문들을 그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조선’ 명칭은 ‘Chaabog(순록)’을 치는 ‘Chaatang(순록치기)’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란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이 책은 1990년 북방 유라사아권 개방이후 20여 년간 주로 몽골-시베리아 순록·기마 양유목 유적 현지답사를 하면서 수집해온 비교적 방대한 자료를 정리한 위에, 2011년 말부터 ‘주채혁 닷컴(chuchaehyok.com)’ 월요유목몽골사칼럼에 4년간 연재된 글들의 모음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 한(韓)민족은 기존 견해처럼 농경공동체가 아니라, 순록·양 유목태반 겨레인, 북방몽골로이드 주도 공동체였음을 논증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동북아사의 흐름은 중국 한족 중심의 농경문명사가 아닌, 13~14세기 팍스몽골리카 체제의 구축을 지향해 치달려온 유목문명사이며, 그 흐름은 현대에도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곧 이 책은 중국과 시베리아·몽골·만주 등지를 수시로 문헌 및 현장답사 연구를 하며 40여 년을 ‘조선 겨레’ 연구에 매달려온 저자가 내놓은 ‘조선’ 겨레의 시원과 문명 연구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우선 몽골족의 직계선조 선비(鮮卑)의 기원 동굴로 유명해진 가셴둥이 바로 곰과 호랑이가 마주칠 수밖에 없는 생태권역에 있어, 웅녀와 호녀가 환웅(桓雄)과의 동침권을 놓고 치열하게 겨룬 단군신화 속의 동굴 무대가 아닐까라는 데 주목한다. 또한 선비의 ‘卑’는 선족(鮮族)의 허리띠라는 뜻이고 보면, 조선(朝鮮)겨레도 선비족처럼 선족이어서 조선과 몽골은 단군신화를 그 태반으로 공유할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저자는 고구려의 동명-주몽은 몽골어 투멘(T’umen)의 한자음으로 볼 수 있으며, 다물도(多勿都)는 ‘되물림’이라는 뜻의 이름을 갖는 오늘날의 훌룬부이르 스텝 소재 에르구네 시라고 주장한다. 주몽이 고리국(槁離國) 터로 추정되는 껀허(根河)에서 남하해 엄리대수로 추정되는 ‘이민’하를 건너 홀본(忽本)으로 볼 수 있는 ‘할힌골’ 천연요새에 입성한 후에 활의 나라-고올리칸국-고구려를 창업하는 과정을 담은 동명성왕 전설은 결국 ‘코리족(弓族)’의 순록유목→ 기마 양유목 발전과정과 똑 같은 역사적 실체를 담고 있어, 몽골과 고구려가 주몽설화를 공유하는 궁족의 분족(分族)이라고 본다. 여기에 몽골 부이르 호반의 고올리칸(弓王) 석인상과 제주도 돌하르방을 연계시켜 하르방을 ‘활의 왕(弓王:арва+vang)’으로 상정해본다.
또한 고구려 벽화에 등장하는 사신도 중 ‘현무’에 주목하면서, ‘현무신주신앙’의 핵심 내용은 암거북이가 숫거북이가 아닌 뱀을 수컷으로 삼아 서방질하고, 따라서 숫거북이는 뱀에게 마누라를 뺏긴 놈(王八蛋)이 된다는 불륜 짝짓기 사랑의 표상화로 파악한다. 그런데 현무도에서는, 거북이머리(龜頭)와 뱀머리(蛇頭)가 동일하게 표현하니, 뱀은 바로 거북이의 머리와 꼬리다. 이런 현무도의 의미는 거북이머리(龜頭)→ 용머리(龍頭)-거북꼬리(龜尾)로 표상되는 남근이 거북이 몸(龜身=龜甲)인 여근을 꿰뚫고 치솟아 오르는 황홀경의 극치를 회화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해석은 다시 곧 인간생명 창조과정의 생리 및 심정을 표상화한 짝짓기-거북놀이의 주술가(巫歌)의 가사를 낳게 되는바,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라는 수로왕조의 구지가(龜旨歌)나 수로부인조의 해가사(海歌詞)의 노랫말과도 직결되는 것이다.
거북신앙에 대한 고찰에서 나아가 저자는 남녀들의 짝짓기 사랑을 통해 인간은 개체생명으로 태어나며, 인간 개체생명의 창조과정인 남녀간의 사랑을 지키는 것이 발전되어, 호국(護國)이란 ‘집단생명의 보위’로 이어진다는 데서 ‘호국룡 신앙’은 ‘거북신앙’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본다. 그 예로 저자는 숫거북이가 ‘마누라 뺏긴 놈’이라 해서 [처용가]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고, 결국은 거북(龜)과 동해용(東海龍)의 아들 처용랑이 하나가 된다는 사실 곧 동해구=동해용이 된다는 사실에서 역신(뱀)에게 암거북이를 뺏긴 숫거북이를 표상화해 그려낸 현무신주신앙의 이어짐임을 밝힌다.
또한 저자는 차탕조선의 기원을 불함(不咸)-붉은 버드나무(紅柳)신앙과도 연결한다. 고구려 주몽의 어머니 유화 성모(柳花 聖母)는 용왕의 딸 하백녀(河伯女)인데, 그 설화의 무대인 눈강·송화강·흑룡강·두만강 물들은 다 동해로 흐른다. 때문에 하백녀 유화는 동해용왕의 딸이며, 그녀가 조선(朝鮮)의 여인이어서 조선류(朝鮮柳)인 ‘붉은가지 버드나무(紅柳)’로 상징된다. 최남선의 ‘불함문화’로도 익숙한 불함(不咸)-부르칸 신앙은 스키토·시베리안 원주민 사회에 보편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분포돼 왔는데, 투르크-몽골어로 하느님을 지칭하며, 이후에는 부처님도 그렇게 불렸다. 황금빛 햇살을 받아 타오르는 홍류(붉은가지 버드나무) 떼를 인격신화한 것이 부르칸-유화이다. 또한 ‘유화’는 ‘버들꽃’이라는 뜻의 이름 그대로 만주인들의 ‘보드마마(柳母)’ 모태회귀신앙과도 직결되는 등 동북아 초원에서 숱하게 발견된 ‘붉은가지 버드나무’의 존재에서 저자는 몽골과 고구려-고려-한민족의 ‘활겨레 분족론’을 다시금 확인한다.
저자는 몽골·고려관계에서도, 원나라 주자학을 완성시킨 북경 ‘만권당’의 기획자이자 주역인 고려 충선왕의 위상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더욱이 원나라 소속의 고려계 군벌로 성장하여 결국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 가문과 같은 고려계 군벌로 성장하다 몰락한 홍복원 가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 등 지금까지의 시각으로서는 낯설고 불편한 내용도 담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역사태반’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보면, 기존의 시각으로 해석된 사실들은 당연히 불편하게 재해석될 수밖에 없으며 이런 과정을 거쳐 비로소 우리 민족이 잃어버린 ‘본래의 역사태반’의 존재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역사해석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자가 제기한 우리 겨레와 역사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은 아직 미완의 현재진행형이다. 저자가 제시한 역사상에 동의하건 하지 않건, 이런 작업들 자체가 한민족 역사 지평의 씨줄과 날줄을 더욱 풍성하게 하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발제칼럼: 가셴(仙) 화강암 동굴, 선족 단군(鮮族 檀君) 생가 성지 제단일지도!
들어가는 말

백두산 불함 동산과 차탕조선
역사드라마 『무신(武神)』, 홍복원과 이성계
아리랑(阿里嶺) 고개와 가셴둥 동굴, 늘봄 아리랑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구상과 돌하르방
Gooli(高麗), Boka(渤海), 조선(朝鮮)
기황후, 오랑캐, 에벵키, 거서간
알타이산과 일연의 『삼국유사』
‘대원 주자학’과 충선왕, 안향
황금빛 양(羊)유목생산 혁명과 황금마두 순록뿔 탈

기축논문1 돌하르방은 石弓王, 쿠빌라이 대칸의 耽羅都 還生石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
기축논문2 Chaatang朝鮮이유목몽골의뿌리 순록유목에서 기마 양유목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주채혁은
1942년 천안시 동면 모산 시묘막골 출생
1958~1961 대전고등학교 졸업
1962~1985 연세대학교 학·석·박사 과정 졸업
1979~2008 세종대학교 및 강원대학교 교수 역임
1990~1992 초대 한국몽골학회장
1991~현재 국제몽골연구협회(IAMS) 한국대표

논저
『口碑史料 몽골민담』(1984), 『元朝官人層 硏究』(1986), 『몽골사회제도사』(역서, 베.야.불라디미르초프 지음, 1990), 『실용몽골어회화』(공저, 1995), 『몽골구비설화』(역주, 1999), 『순록치기가 본 조선·고구려·몽골』(2007), 『순록유목제국론-고조선·고구려·몽골제국의 기원연구』(2008), 『몽·려전쟁기 살리타이와 홍복원』(2009), 『몽·려 활겨레문화론』(2011) 등

도서소개

『차탕조선』은 1990년 북방 유라사아권 개방이후 20여 년간 주로 몽골-시베리아 순록·기마 양유목 유적 현지답사를 하면서 수집해온 비교적 방대한 자료를 정리한 위에, 2011년 말부터 ‘주채혁 닷컴(chuchaehyok.com)’ 월요유목몽골사칼럼에 4년간 연재된 글들의 모음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