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 윤해동
  • |
  • 역사비평사
  • |
  • 2006-11-15 출간
  • |
  • 590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7696523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ㅡ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1. '인식' 대 '재인식' ㅡ 낡은 진영 대립을 넘어서
2. 차이와 반복 ㅡ 대립의 논리적 한계
3. 한국 근대에 대한 새로운 시선
4.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 낡은 근대, 젊은 비판
식민지 경험과 국민국가 형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탈근대 역사학은 가능한가
5. 인문학의 근대를 넘어

1부 식민지 근대라는 문제의식 ㅡ 모든 근대는 식민지 근대이다
1부를 묶으며 / 윤해동

식민지인식의 ‘회색지대’ / 윤해동 29
1. 문제제기 ㅡ 왜 회색지대인가 29
2. 저항과 협력의 변증법 ㅡ 식민지적 공공성의 의미 32
3. 근대화와 규율권력 43
4. 결론에 대신하여

한국 의례담론의 형성 / 장석만 55
1. 문제제기 ㅡ 우리에게 의례란 무엇인가 55
2. 유교 허례허식 비판 58
진보적이지 못한 보수성 60
자연스런 감정을 억압하는 것 61
내면의 진정성에 어긋나는 허위와 가식 63
그 밖의 이유 ㅡ 비경제성과 사대주의 65
3. 개신교의 반反의례성 담론 67
4. 문명적 의례의 필요성 70
5. 결론 73

조회의 내력 / 오성철 77
1. 서론 77
2. 일본 근대교육과 조회 82
조회의 탄생 82
국가적 행사에 관한 의식 88
파시즘의 전개와 학교 규율 90
3. 식민지 조선 교육과 조회 95
조회의 도입 95
황국신민화 정책과 학교 규율 104
4. 일본 교육과 식민지 조선 교육의 연속성 108
5. 결론을 대신하여 113

식민지의 우울 / 이타가키 류타 117
1. 들어가는 말 117
2. 일기와 그 배경 120
S씨의 궤적 120
일기의 특징 121
3. 농촌의 우울과 ‘민족’ 123
4. ‘일본’은 어디에 있는가 130
‘일본’이라는 존재 130
행정과의 거리 133
5. ‘중견인물’이 된다는 것 136
6. 맺음말 138

------------------------------

2부 ‘친일’의 논리 ㅡ ‘협력’은 사상이다
2부를 묶으며 /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 윤대석 149
1. ‘국민문학’ 논의의 수위 149
2. 차이와 반복(0) ㅡ 뒤틀림(ひねくれ) 152
3. 반복과 차이(1) ㅡ 김사량 157
4. 반복과 차이(2) ㅡ 최재서?김종한 163
5. 반복과 차이(3) ㅡ 이석훈 166
6. 반복과 차이(4) ㅡ 식민지 본국인 작가 170
7. 모순과 균열의 봉합 175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 되기 / 권명아 181
1. 스파이 담론, ‘좋은 일본인 되기’의 엔진 181
2.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 ㅡ ‘대동아’의 신체와 여성 184
3. 국민방첩과 스파이 담론 ㅡ 잠재된 적과 현실의 가상화 190
4. 스파이 담론과 ‘좋은 일본인 되기’ ㅡ 가상의 현실화 196
5. 좋은 일본인 되기 ㅡ 좋은 일본인으로 죽거나 나쁜 일본인으로 죽거나 204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 / 이승엽 209
1. 머리말 209
2. 정세 인식과 전망 211
조선독립의 가능성 211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인식 212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213
3. 자기부정과 제국으로의 동화 215
자기부정의 출발점 ㅡ ‘조선적(朝鮮籍)의 개인’ 215
자기부정 ㅡ 역사 전통과 조선인 사회의 부정 217
제국으로의 동화 219
4.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및 내선평등의 촉구 224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224
내선평등의 촉구 228
호적법 개정문제 ㅡ 내선일체 실현의 최종단계 232
5. 맺음말 234

해방을 전후한 주체 형성의 기도 / 홍종욱 237
1. 들어가며 237
2. 1930년대 중반 ― 식민지하 주체형성의 곤란 238
사회운동의 쇠퇴와 ‘비식민지화’ 238
조선연구?반제민족통일전선의 아포리아 241
사회성격논쟁과 식민지 문제 243
3. 전시기 ― 주체형성 기도로서의 전향 245
중일전쟁과 대량 전향 245
‘협화적 내선일체론’이라는 기투 247
굴절된 ‘공동전선’으로서의 전향 249
4. 해방 이후 ― 주체의 굴절과 변용 253
해방을 전후한 연속과 단절 253
냉전체제의 형성과 주체의 변용 254
5. 나오며 256

------------------------------

3부 ‘대한민국’과 국민만들기 ㅡ 태초에 전쟁이 있었다
3부를 묶으며 / 황병주

여순‘반란’의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 임종명 269
1. 재현(再現), 국가 / 텍스트(text) 269
2. 대한민국 ㅡ 민족 삶의 수호자 278
3. 대한민국 ㅡ 운명의 주재자 284
4. 대한민국 ㅡ 관념과 실천의 조직자 290
5. 균열하는 텍스트 / 충돌하는 대한민국들 297

해방 직후 정회(町會)를 통해본 도시기층사회의 변화 / 김영미 307
1. 머리말 307
2. 일제시기 정회제와 주민생활 309
3. 해방 직후 주민운동과 정회의 변화 316
주민자치와 정회 개조 316
정연합회의 변화와 정회의 정치세력화 320
‘쌀 요구투쟁’ 324
4. 배급제의 정비와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328
배급제의 정비와 정회 주도세력의 변화 328
동회 개편과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332
5. 맺음말 337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 강인철 341
1. 머리말 341
2. 국민 형성 및 통합의 ‘사회적’ 기초들 346
3. 국민 형성 및 통합의 ‘문화적’ 기초 시민종교의 등장 359
시민종교의 전사前史 361
시민종교의 신념체계 368
시민종교의 성인, 성소, 의례 378
4. 한국적 근대의 형성 384
도시에서 전통의 근대적 변용 384
도시의 근대화와 대중적 문화의 발전 395
농촌의 재전통화 408
5. 독자적인 청년문화의 형성과 4?19 416
6. 맺음말 423

한국전쟁과 여성 / 이임하 427
1. 무엇이 문제인가 427
2. 미망인이라는 용어와 전쟁미망인의 범주 429
3. 전쟁미망인의 실태와 국가의 구호대책 430
전쟁미망인의 수 431
전쟁미망인의 생활실태 434
수산장과 모자원의 운영 435
군경유가족 연금정책 437
4. 전쟁미망인에 대한 사회적 규정 440
보호의 대상 ㅡ ‘무력한’ 미망인의 이미지 440
성적 규제의 대상 ㅡ 도덕적 희생양 또는 깨어진 그릇 442
굶어 죽는 한이 있더라도 정조를 지켜라 445
5. 전쟁미망인의 생활 448
상업 449
전통적으로 여성노동으로 간주되었던 노동 및 일용노동 450
농업노동 451
첩 또는 내연의 관계 452
성매매 454
시댁이나 친정에 의탁 456
6. 전쟁과 여성 457

박정희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 황병주 461
1. 근대화의 덫 461
2. 박정희 정권의 지배담론 ㅡ 평등주의적 압력을 중심으로 465
3. 대중정치와 대중동원 475
새마을운동과 농민 476
‘노동자계급’과 ‘산업전사 / 국민’ 사이에서 487
4. 대중의 국민화와 그 역설 497

박정희 정권기 저항엘리트들의 이중성과 역설 / 김보현 502
1. 머리말 502
2. 또 하나의 민족주의 505
3. 민주주의 회복론 510
4. 성사적(聖事的) 사고와 실천 517
5. 개발주의에 저항한 개발주의 526
5. 맺음말 538

<자료실>
논문이 처음 실린 곳

미주
찾아보기

도서소개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해주는 <근대를 다시 읽는다>. 한국의 근ㆍ현대사와 근대성을 규명하기 위한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는 책이다. 젊고 적극적인 인문학ㆍ사회과학 연구자들의 글 가운데에서 신선하고 새로운 시선으로 낡고 오래된 가치와 학문적 방법을 과감히 넘어서고자 한 글들을 찾아 실었다.

이 책은 1990년대 이후에 누적된 학계의 다양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근대를 재조명하고 있다. 식민지 경험을 해석하는 새로운 시선을 통해 '식민지 근대'라는 개념과 일제에 대한 '협력'을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민지 경험과 해방 후 국민국가 형성과정이 어떻게 연동되어 있으며, 그 특수성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제1권에는 관점과 문제의식에서 근대 인식과 인문학의 새로운 구성에 기여하고자 한 글들을 모아 엮었다. 20세기 한국의 근대를 보는 새로운 시선을 식민지 근대, 대일협력, 국민국가의 형성과 균열이라는 세 가지 문제의식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