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실학자에서 엔지니어로, 저술가에서 실천가로
J의 직업은 무엇일까
정말로 거중기 덕분이었나
정약용은 스스로를 실학자라 생각했을까
엔지니어 정약용이라 부르기 어색한 까닭은
2. 도시 공학자 정약용, 신도시 화성을 설계하다
정약용의 화성 설계도는 어디에 있을까
신도시 화성 건설 지침 「성설」
옹성도 막지 못한 경제의 길
화성을 동서로 가르는 물길
3. 건축 공학자 정약용,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다
만들어서 옮긴 후 조립하는 PC 공법
시공 과정에서 수정·보완된 정약용의 설계
정약용의 설계, 시공 과정에서 무시되다
4. 기계 공학자 정약용, 거중기와 녹로를 개량 발명하다
거중기는 무엇에 쓰는 기계인가
복합 도르래의 동시 발견 현상
시제품 기중소가와 완제품 거중기
조선의 지브 크레인 녹로
테렌츠 대신 라멜리의 도면을 참조했다면
5. 자동차공학자 정약용, 유형거를 발명하다
좁은 폭과 높은 무게 중심, 수레의 상식을 뒤집다
크레인과 수레의 기능을 통합한 다목적 장비
소는 끌고 사람은 흔들고, 유형차인가 유형거인가
수레가 받을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태를 변형하다
펌핑으로 보조 추진력을 얻다
6. 조선 공학자 정약용, 배다리를 설계하다
한강 배다리 건설 지침 『주교지남』
흘수와 건현을 측정하여 설계한 배다리 하부 구조
정약용의 부판 다리와 군산의 부잔교
7. 토목 공학자 정약용, 거더교를 설계하다
거더교로 설계한 배다리 상부 구조
어느 위치에서 어떻게 보를 결합했을까
맞춤보다 묶음이 더 효율적인 까닭은
엔지니어 정약용의 내진 설계 철학
8. 조선 후기 근대 공학의 성립과 엔지니어 집단의 형성
열심히 일하게 만드는 법
엔지니어와 테크니션 집단의 형성
엔지니어 정약용과 테크니션 장영실
배다리와 신도시 건설 현장에서 싹튼 조선의 근대 공학
엔지니어 정약용의 공학적 사고
부록
부록 01 _ 정약용의 자찬묘지명 중 공학 관련 내용
부록 02 _ 「성설」 국역본
부록 03 _ 「옹성도설」 국역본
부록 04 _ 「포루도설」 국역본
부록 05 _ 「현안도설」 국역본
부록 06 _ 「누조도설」 국역본
부록 07 _ 「기중가도설」 국역본
부록 08 _ 「주교절목」 논변 국역본
부록 09 _ 『주교지남』 국역본
부록 10 _ 「주교사개정절목」 국역본
부록 11 _ 『만기요람』, 재용편 5, 주교 편 국역본
부록 12 _ 『일성록』 1792년 윤4월 6일 기사 국역본
부록 13 _ 『각사등록』 충청 감영 장계 국역본
부록 14 _ 모형 제작 사례
부록 15 _ 거중기와 녹로를 개량한 창작 모형 사례
참고 문헌
도판 목록
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