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주역의 발견

주역의 발견

  • 문용직
  • |
  • 부키
  • |
  • 2007-03-30 출간
  • |
  • 384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60510098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주역의 12유파와 양파 6종
주역은 하나라 때의 연산역(連山易), 은나라의 귀장역(歸藏易)에 대비해 주나라의 역(易)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며, ‘경(經)’과 ‘전(傳)’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모두 해서 2만 4천 자 정도로 구성되어 있단다.
그리고 그 유래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해설이 분분했다. 하안과 더불어 위진 현학(玄學)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위나라 학자 왕필에 따르면, 주역은 복희씨가 황하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있는 도형-하도(河圖)-을 보고 계시를 얻어 천문지리를 살피고 만물의 변화를 고찰하여 처음 8괘를 만들고 그것을 보다 발전시켜 64괘를 만들었다고 하고,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에 따르면 주역은 복희씨가 8괘를 만들고, 문왕이 64괘와 괘사(卦辭) 및 효사(爻辭)를 만들었다고 한 반면, 융마라는 이에 따르면 주역은 괘사를 문왕이 만들고, 효사는 주공(周公)이 만들고, 십익(十翼)은 공자가 만들었다고 했다.
그에 따른 해석은 더 복잡했다. 170여 가문, 3천 여 주와 소가 있을 정도니까. 그런 점에서 볼 때 주역을 연구하는 방식에 따라 12유파와 양파 6종으로 구분한 것은 충분히 납득할 만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도저히 정리가 되지 않을 테니까. 그 중 12유파는 송말 원초 정역동(丁易東)이 『역통론(易通論)』에서 역학을 연구하는 방식을 12유파로 분류한 데서 기원한다. 반면 양파 6종은 1772년 청나라 건륭제의 주창으로 사고전서(四庫全書)가 찬집되면서, 역학의 유파를 양파 6종으로 분류한 데서 기원하는데, 두 가지 큰 흐름으로 의리파(義理派)와 상수파(象數派)로 나뉜다.


안이 아닌, 밖에서 본 주역
이쯤 되면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논란이 많다는 칸트나 헤겔이 무색할 지경이다.
주역이 과연 그리도 심오하고 난해한 책인가? 사전적 지식에 따른다면 주역은 역전 ‘계사편’ 등을 통해 음양의 상호 작용을 철학의 범주로 격상시켜 세상 만사만물(萬事萬物)을 통일된 체계로 조성함으로써 진대 혹은 한대 이후의 중국 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그렇다면 결국 주역은 세계관 혹은 세계 체제의 문제 아닌가? 만일 그런 거라면 그리스 시대 이래 숱한 철학자들이 쏟아 놓았고, 이미 그 진위 여부가 가려지거나 아니면 진위가 문제되지 않는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환원되지 않았던가? 그런데 주역만은 어째서 아직도 해석이 구구하며, 심지어는 서양 학자들에게 노장(老莊)과 더불어 3대 현학(玄學)으로 꼽힐 정도로 난해하다고 인정받는 걸까? 주역의 이러한 난해함의 실타래를 푸는 방법에 대해 저자는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보라고 말한다.

- 주역을 알려면, 주역 속에서 헤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 주역 밖에서도 바라보아야만 하는 것이다. 밖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그것은 주역을 아는(within) 것이 아니라 주역에 관해서(about) 이해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메타(meta)-주역의 관점을 지닐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문 53쪽)


현대 인문학과 주역의 만남
도대체 어떻게 해야 주역을 안이 아닌 밖에서 볼 수 있는 걸까?
저자는 현대 인문학의 학문적 성과를 접목시킴으로써 그 문제를 해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고학과 논리학, 기호학, 인지언어학이 이룬 성과를 주역에 접목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우선 고고학과 기호학, 인지언어학의 힘을 빌려 주역을 이루는 두 구성 성분 ‘역경’과 ‘역전’이 서로 다른 성격의 것임을 보여 줄 수 있다.


거짓일 수 없는 주역의 세계
저자에 따르면 8괘의 상징 내용도 설괘전에만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오행이 일관되게 표현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게다가 역경에는 상징이 거의 엿보이지 않으며, 방향도 없다고 한다. 역경은 8상과 같은 상징이 아니라 은유로 세상을 표현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역경 64괘 384효를 나타내는 부호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그냥 거울(mapping)의 역할을 할 뿐이라고 주장한다. 우리가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킬 때의 손가락과 같은 역할을 할 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 손가락에 상징과 의미를 부여하면서 문제는 복잡해진다. 저자는 이에 대해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원용하면서 “거짓인 전제에서 연역된 모든 명제는 참과 거짓을 가릴 수가 없다.”고 밝힌다.


주역, 철학서가 아닌 점서
최종적으로 저자가 내리는 결론은 주역이 철학서가 아닌 점서(占書)라는 것이다.
과연 그런가? 공자는 위편삼절(韋編三絶)에 이를 정도로 주역에 빠졌다던데…. 우리나라 성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주희 같은 거유도 『역학계몽』을 남겼고, 다산 정약용 같은 실학의 선구자도 『주역사전(周易四箋)』을 남겼는데…. 하지만 그에 대해 저자는 역사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 주역의 텍스트의 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 고대인들의 의식과 행동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 주나라 이후 분산된 권력에서 춘추전국이라는 그 명칭이 말해주듯, 제의의 역할은 감소되고 권력과 생산, 인간의 도전이 일어선다. 소위 백가쟁명이 그 표현 아니겠는가. 점서인 역경을 역전으로 감싸 안아 그들의 정당성을 확인하려 했던 유학도 바로 그 표현 중의 하나 아니겠는가. (본문 337-338쪽)


왜 새삼 주역의 발견인가?
저자의 이 같은 결론에 거부감을 표출할 이는 적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우선 정치학 박사이지, 동양학 전공자가 아니다. 그런데 오경 중 으뜸이라는 주역에 대해 감히 점서(占書)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논리적 반박은 다음이고 우선 감정적으로도 반발이 없을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저자의 대답은 간단하다. 출발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융이 그의 저서 『공시성(synchronicity)』(1973)에서 ‘주역이란 무엇이냐?’고 질문했을 때 구한 답은 ‘고을은 개축해도 우물은 개조하지 않으니, 잃는 것도 얻는 것도 없다. 사람들이 오가면서 물을 길으니, 우물물이 말라버린다. 우물을 파지 않고 항아리를 부수니 흉하다’(본문 56쪽)는 것. 저자는 이것이 참으로 주역에 어울리는 적절한 답이라고 감탄한다. 그에 대한 동양학 전공자들의 의견은 어떨까.

목차

머리말 6

1장 주역이란 무엇인가 1 25
占이란 무엇인가 27 공시성 37 주역의 구조 45 모든 占의 선택과 결과는 서로가 독립적이다 55

2장 서법과 역경의 성립 67
점서법 70 효에 높고 낮음이 없다 83 변괘와 괘변 92 숫자괘의 등장 - 象은 없었다 96 역경의 성립 109
8괘와 8상 - 그 기원에 대해 133 괘의 이름에 대해서 - 괘사와 효사의 관계 153

3장 괘변, 그 모순의 체계 169
매혹적인 판단 방식, 괘변 171 괘변의 정의 186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와 괘변의 본질적 한계 188
계사전과 8괘: 괘변의 연원 209 해석학적 읽기의 자의성 - 무의미에의 의미 개입 219
선후천 8괘, 음양오행 226

4장 역경의 언어 237
역경의 언어와 은유 239 8상의 등장, 관계와 설명 265 논쟁적인 역경 언어의 기준 278
은유와 詩歌 285 古來의 의문들: 元亨, 利貞과 孚 289 나무 은유와 상하 은유, 상형문자와 표의문자 316

5장 주역이란 무엇인가 2 327
점과 언어, 부호 330 텍스트로서의 주역 337 역전은 권위 있는 해석인가 341 역경에 대해서 다시 한 번 347
역경, 어떻게 읽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50 用九와 用六이 만들어 내는 세계의 크기에 대해서 356
점을 쳐도 되는가 359 책 쓰면서: 술과 나, 너 364

후기 370
참고문헌 376
찾아보기 381

저자소개

지은이 문용직 정치학 박사, 한국기원 전문기사 5단.
1959년 경북 김천 출생. 충암고와 서강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83년 전문기사에 입단했다. 1988년 제3기 프로 신왕전에서 우승, 제5기 박카스 배에서 준우승하였으며, 1994년 서울대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국민일보」와「영남일보」에 바둑 칼럼과 관전기를 집필하고 있고, 인터넷 바둑 사이트 사이버오로에서 ‘오로산책’을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 바둑에 대해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최초의 저작『바둑의 발견』(1998)과 『바둑의 발견 2』(2005) 외에『수담과 무언』(2002),『수법의 발견』(전10권, 2005)이 있다.

도서소개

현대 인문학과 주역의 만남

<주역의 발견>은 이성과 논리의 힘으로 주역의 본질을 들여다본 책이다. 오경 중 으뜸으로 꼽히며, 3천여 주(注)와 소(疏)가 있을 정도로 그 해석이 분분한 주역이 철학서가 아닌 점서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역경은 무당의 보고이고 역전은 그 설명인데, 무리하게 역경까지 체계화하려 함으로써 지금까지 오류가 거듭되었다는 입장을 현대 고고학과 기호학, 인지언어학 및 형식 논리학의 성과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현대 인문학이 이룬 학문적 성과를 주역에 접목시킴으로써 주역의 본질을 파헤치고, 주역을 이루는 두 구성 성분인 역경과 역전이 서로 다른 성격의 것임을 보여준다. 현대의 학문적 성과와 체계적인 논리를 수단으로 하여, 그동안 온갖 신비주의와 권위주의로 덧칠되어 온 주역을 완전히 해체한 다음, 주역은 전해 신비하지 않으며 우리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결론 내린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