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 ANDRE ECKARDT
  • |
  • 열화당
  • |
  • 2003-11-20 출간
  • |
  • 390페이지
  • |
  • 200 X 265 mm
  • |
  • ISBN 978893010056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929년, 독일인 안드레 에카르트(Andre Eckardt, 1884-1971)가 조선미술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집필한 ‘최초의 한국미술 통사(通史)’. 저자는 편년에 치중하는 고고학적 관점이라든가, 문헌을 중심으로 역사와의 결부에 주력하는 역사주의적 입장에서 벗어나, 미적 특성과 양식 국면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한국미술을 서술하고 있다. 우리 미술사의 고전(古典)이라 할 이 책은 이 분야의 연구자는 물론, 한국미술에 관심을 갖는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미술학도들에게 우리 미술사 연구에 새로운 기반이 되어 출 것이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안드레 에카르트(Andre Eckardt, 1884-1974)
뮌헨에서 태어나고 성장했다. 1909년 독일 카톨릭 베네딕트 교단의 신부로 한국에 파송된 이래, 이십 년 동안 체류하면서 서울 수도회가 설립한 교사양성소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경성제국대학 강사로 언어와 미술사 강의를 했다. 1928년에 독일로 돌아가, 한국 체류시의 답사를 통한 실견과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미술사』(1929)를 출간했다. 이후 브라운슈바이크 대학, 뮌헨 대학(한국학과) 교수를 지내며, 이차대전 이후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한국학과 관련한 백삼십여 편의 논문과 서평을 발표했다. 저서로 『조선어 문법』(1923), 『중국, 그 역사와 문화』(1959), 『일본, 그 역사와 문화』(1960), 『한국, 그 역사와 문화』(1960), 『한국의 음악, 가곡, 무용』(1968), 『한국 문학사』(1968), 『한국의 도자기』(1968) 등이 있다.

역자 권영필(權寧弼)
194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 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파리 3대학에서 미술사를 수학하고 쾰른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아시아학회와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제5회 월간미술 대상 학술부문을 수상했다. 영남대, 고려대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실크로드 미술』(1997), 『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2000), 『렌투스 양식의 미술』(2002)이 있고, 역서로 『중앙아시아 회화』(1978),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1979), 『돈황. 명사산 석굴』(1995) 등이 있다.

목차

한국미술을 세계미술로 본 최초의 저술 - 역자 해제

서문
서론 조선미술

제1부 건축建築
1. 총론
2. 가옥(家屋)
3. 누각(樓閣)
4. 성벽(城壁), 문(門), 다리〔橋〕
5. 왕궁(王宮)
6. 사당(祠堂)과 불교사원
7. 건축구조(建築構造)와 그 세부
8. 분묘구조(墳墓構造)
9. 석굴사원(石窟寺院)

제2부 조각彫刻과 불탑미술佛塔美術
1. 총론
2. 석탑(石塔)
3. 다층탑(多層塔)
4. 금속탑(金屬塔)
5. 기념탑(記念塔)
6. 불교묘비(佛敎墓碑)
7. 석등(石燈)
8. 기념석비(記念石碑)
9. 왕릉(王陵)의 석상(石像)
10. 동물주제

제3부 불교조각佛敎彫刻
1. 총론
2. 불교 신계(神界)의 분류
3. 붓다〔佛〕
4.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5. 보살(菩薩)
6. 붓다의 배치
7. 불교의 성령(聖靈)
8. 석굴암(石窟庵)
9. 요약

제4부 회화繪畵
1. 총론
2.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
3. 고구려시대의 고분 장식
4. 고구려 고분의 동물화
5. 고구려 고분의 인물화 및 성령화(聖靈畵)
6. 후대의 장식
7. 한자(漢字)
8. 먹과 색채의 비종교적 회화
9. 종교화(宗敎畵)
10. 의궤도와 목판조각

제5부 도자기陶磁器
1. 총론
2. 기와
3. 장식전(裝飾塼)
4. 신라시대의 도자기
5. 고려시대(918-1392)의 도자기
6. 투조작품(透彫作品):인물상과 동물상
7. 분청사기(粉靑沙器) 및 짙은 색 문양 자기
8. 조선왕조시대의 조선 도자기 쇠퇴
9. 백자(白磁)
10. 조선 도자기가 일본에 미친 영향

제6부 도자기陶磁器 이외의 수공예품手工藝品
1. 총론
2. 돌, 동석(凍石) 및 크리스털 작품
3. 청동 작품
4. 동경(銅鏡)
5. 범종(梵鐘)
6. 금은세공(金銀細工)
7. 칠세공(漆細工)
8. 목조(木彫)
9. 의복(衣服)과 자수(刺繡)

결론 조선미술의 특질

참고문헌
안드레 에카르트 연보
『조선미술사』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알브레흐트 허베
역자 후기
찾아보기

도서소개

저자는 과장되거나 왜곡된 것이 많은 중국예술이나, 형식이 꽉 짜여진 일본미술과는 달리, 조선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아름답고 고전적인 작품들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이 책은 현존하는 조선미술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조선미술에 관한 통사通史를 저술하여 조선미술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