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 박정자
  • |
  • 기파랑
  • |
  • 2017-07-31 출간
  • |
  • 292페이지
  • |
  • 142 X 205 X 17 mm
  • |
  • ISBN 9788965236863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잉여, 금수저, 동성애, 청년 실업, 시위, 탄핵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2014년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동아일보에 실렸던 칼럼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칼럼이란 매수(枚數)가 한정되어 있어서 흔히 개념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 수도 있는데, 그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자는 예컨대 키치, 상호텍스트성, 그레마스 기호 사각형 등의 인문학적 개념들을 보충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의 가독성을 높였다.

게다가 글 전체를 플라뇌르의 시각으로 통합함으로써 책은 칼럼들의 단순 나열이 아니라 미학과 사회비판을 넘나드는 고급 인문학 입문서가 되었다. 원래 ‘산책자’라는 뜻의 플라뇌르는, 보들레르가 이 단어를 미학적으로 사용한 이래 도시의 거리를 천천히 걸으며 익명의 군중 속에서 시대의 징후를 읽어내는 예술가 혹은 지식인을 뜻하게 되었다. 저자는 자신이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무한한 호기심으로 관찰의 촉수를 늦추지 않았던 도시의 산책자였다고 스스로를 평한다. 도시 산책자로서 그는 신문을 꼼꼼히 읽으며 서울 한국 세계의 보편적 삶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또 한편 소셜 미디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실시간 정보를 흡수하는 디지털 플라뇌르이기도 했다. 이 책은 플라뇌르로서의 저자가 그렇게 관찰하고 사유한 단편적인 조각들을 한데 묶어 그려낸 이 시대의 징후이다.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라는 제목 이야기
‘정치’의 그리스어 어원인 Politika가 ‘도시들의 직무(affairs of the cities)’라는 뜻을 갖고 있듯이, 정치란 한 공동체 안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사안을 결정하는 과정, 또는 그 공동체 안에서 자원과 권력을 배분하는 실천적 행위이다. 겉보기에 정치와 상관이 없는 듯한 모든 사회 문화적 일이 실은 정치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이 책에 실린 모든 글도 정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당파성의 경향을 띤 이야기는 아니므로 역시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다루어진 주제들
저자는 사르트르나 플로베르도 ‘잉여’였다고 말하며 젊은이 특유의 소외감은 현대 사회 고유의 현상도 아니고, 신자유주의 때문만도 아니라고 얘기한다. 그는 “모든 시대, 모든 사회의 청춘은 언제나 잉여였다. 아니 모든 인간은 언제나 잉여였다”라고 주장하며 오히려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과감히 나와 자연의 물성(物性)과 접촉하는 일이 더 건강한 힐링이라며 접속이 아니라 접촉을 제안한다.

한편 비상식적이고 그로테스크한 그림을 그리는 화가 프란시스 베이컨이 우파라는 것에 저자는 놀라움을 표한다. 좌파 사상을 가져야만 고상하고 지적으로 보이며, 특히 예술가는 당연히 좌파적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팽배한 지금 여기 한국 사회에서 베이컨의 철두철미한 예술가 정신과 인생의 통찰이 우리의 마음을 한없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해 준다고 말한다. 호통 치며 군림하는 좌파 이상주의에 대한 피로감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헬 조선’을 말하는 현상에 대해, ‘헬(hell)’이란 국가가 자기 국민을 먹여 살리지 못하고 보호하지 못할 때나 쓰는 말이지, 우리 젊은이들이 한국을 비하하며 ‘헬 조선’이라는 말을 즐겨 쓴다는 것은 결국 바깥 세상에 대한 무지의 소산이라고 개탄한다.
대한항공 조현아 사건을 통해 부자와 권력자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정당한 폭력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천박한 노예근성이라고 질타하기도 한다. 가난한 사람이 법 앞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하듯이 부자도 똑같이 법 앞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또 김영란법은 인간의 원초적 성질을 거스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자연을 거스르면 활기가 없어지고, 활기가 사라지면 사회의 발전도 정체될 것이라 우려한다.
이외에도 청년 실업, 복면 시위, 지방대 시간 강사 문제, 금수저론, 편향적 역사 교육, 대통령 탄핵 등 2014~2017년 한국에서 일어났던 상황들을 저자는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비판하고 그 오류를 경계하였다.

[책 속으로 추가]
며칠 전 한 사진작가는 부처님 얼굴에 가면을 씌운 합성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그리고는 “무섭다. 사람은 마스크를 쓰면 뭐든지 할 수 있는, 이중(二重) 거짓말 능력을 가진 직립 보행 동물이다”라고 썼다. 재미있는 생각이다.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가면을 쓴 부처, 또는 가면을 쓴 예수를 떠올려본다. 인디아나 존스 같은 분위기 혹은 쾌걸 조로나 산적 로빈 후드 같은 이미지가 나올 뿐 인류 전체를 품는 자애로운 성인의 이미지는 사라지고 만다.
가면은 역시 예술과 엔터테인먼트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좋겠다. - 162쪽 ‘가면의 미학과 정치학’ 중에서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면서 노동이 가진 힘을 알게 됐습니다. 노동에는, 모든 사람의 삶에 공감하게 만들어주는, 타인의 입장에서 사유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건강한 힘이 있더군요.”
세상의 모든 지식과 정의를 독점한 듯 사회를 마구 조롱하고 호령하던 대학 사회의 알량한 ‘지식’이 하찮고 비루한 ‘현실’ 앞에서 얼마나 위선적이고 무기력한 것인지, 그의 글은 생생한 몸의 언어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가 그어 놓은 사소한 한 줄의 금은 아마도 우리 사회를 한 단계 성숙시키는, 작지만 힘 있는 탈주선이 될 것 같다. - 168쪽 ‘지방시 김민섭의 건강한 탈주’ 중에서

운이 따르지 않아 사회에서 부당하게 취급되고 버림받았다고 느끼는 요즘 젊은이들의 금수저론은 ‘가족 소설’의 역(逆)이미지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사회 문제라는 큰 틀에 넣음으로써 부모에 대한 부정(否定)이라는 죄의식에서는 벗어났지만 결국 부모 잘 못 만나 자신이 괴로움을 당한다고 생각하는 방식은 여전히 또 하나의 ‘가족 소설’이
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 빨리 벗어나는 것만이 개인적으로는 건강한 인격체, 사회적으로는 성숙한 공동체가 되는 길일 것이다. - 178쪽 ‘금수저의 정신분석’ 중에서

목차

서문 : 도시의 산책자 4

1부 여전히 미학이다
사르트르도 플로베르도 잉여였다 17
▣ 기표와 기의 21
새삼 실존주의를 생각하다 22
서양인들이 존경하는 일본 미학 26
와비사비 31
표절이예술이 되려면 35
▣ 상호텍스트성 38
이상(李箱)과 동숭동 41
다산(茶山)과 히치콕 영화 45
마들렌의 추억 51
친부살해적 글쓰기 54
너무 시적(詩的)인 사회 58
작품에 대한 의미 부여를 경계한 프란시스 베이컨 62
▣ 프란시스 베이컨, 그는 드물게도 우파 화가였다 65
쿨한 네덜란드 국민 68
「태평성시도」유감 72
▣ 「태평성시도」 76
▣ 계화 기법 78
SF 영화와 숭고 미학 79
▣ 숭고 미학 82
칸트와 튤립 86
에드워드 호퍼, 데이빗 호크니 그리고 이우환 90

2부 나라 밖 이야기
프랑스 사회당의 친기업 정책 97
▣ 마크롱 이야기 100
유럽행 난민 109
파리가 세계의 수도(首都)가 된 날 113
파리 테러 사태가 보여준 선진국 언론의 모습 ?117
중학교 동창 121

3부 한국 2014~2017
유아적 사회 127
「국제시장」 130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134
1950년 6월 29일, 그리고 「인천 상륙 작전」 141
김구와 이승만을 바라보는 시각의 비대칭성 145
‘좋은 일자리’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불쾌감 149
긍정의 힘 152
가면의 미학과 정치학 156
▣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 159
지방시 김민섭의 건강한 탈주 161
「역사 저널, 그날」 유감 164
▣ 민족의 개념 167
금수저의 정신분석 171
크라잉넛에서 칸트까지 175
한국 좌파 사유의 뿌리 없음 179
가진 자에 대한 폭력은 정당한가? 182
이부진 효과 186
선물의 사회학 190
좌파 운동에 스며든 푸코의 사상 194
누가 누구를 비판하는가? 198
마리 앙투아네트 202
▣ 광장의 추억 206
생-쥐스트(Saint-Just) 208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212
▣ 마네 패러디 215
일상성과 혁명 219

4부 포스트모던의 시대
광화문 광장에 대한 보드리야르적 해석 225
▣ 키치 227
아카이브의 시대는 가고, 지금은 다이어그램의 시대다 230
▣ 다이어그램 232
시간표의 정치학 235
▣ 등교 시간 238
전염병은 언제나 권력 현상 239
안젤리나 졸리 그리고 몸 이야기 243
미모(美貌)에 대하여 247
찢어진 청바지 251
‘영토를 뒤덮은 지도(地圖)’의 우화 255
▣ 가상현실 257
가상현실의 승리 260
얼굴성 264
동성애 268
우정인가, 동성애인가? 272
‘부르주아’, ‘시민’에 대하여 276

5부 필자의 사생활
책 이야기 283
청담동 이야기 287

저자소개

저자 박정자는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 제1권을 『성은 억압되었는가?』(1979)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한국에 푸코를 처음으로 소개했다. 그 후 『비정상인들』,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등 푸코의 저서들과 전기를 번역하여 한국 지성 사회에 푸코를 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 앎-권력이라는 용어를 정착시켰고, ‘권력’이 정치권력만이 아니라 타인에게 가하는 모든 힘의 행사를 의미한다는 푸코적 개념을 널리 알렸다.
『현대세계의 일상성』,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등의 번역서가 있고, 저서로는 『빈센트의 구두』,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시선은 권력이다』, 『마이클 잭슨에서 데리다까지』, 『마네 그림에서 찾은 13개 퍼즐 조각』,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이것은 Apple이 아니다』, 『잉여의 미학』 등이 있다.
이화여고와 서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사르트르의 비현실 미학으로의 회귀: 『집안의 백치』를 중심으로」.
상명대 명예교수. 이화여대 대학원에서의 강의록과 동아일보 칼럼을 모아 놓은 사이트 http://cjpark.pe.kr 이 있다.

도서소개

이 책은 2014년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동아일보에 실렸던 칼럼으로 잉여, 금수저, 동성애, 청년 실업, 시위, 탄핵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키치, 상호텍스트성, 그레마스 기호 사각형 등의 인문학적 개념들을 보충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의 가독성을 높였다. 플라뇌르로서의 저자가 그렇게 관찰하고 사유한 단편적인 조각들을 한데 묶어 그려낸 이 시대의 징후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