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어방언지리학

한어방언지리학

  • 샹멍빙
  • |
  • 한국문화사
  • |
  • 2017-06-30 출간
  • |
  • 544페이지
  • |
  • 162 X 234 X 33 mm /913g
  • |
  • ISBN 9788968175169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속으로 추가]

[머리말] : 옮긴이 서평

중국은 역대로 다양성과 역동성을 함께 지닌 경이적인 나라이다. 여러 민족과 다양한 언어문화가 뒤섞이고 혼합되면서 새로운 역사의 물길을 열어가고 있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자 자본 중심의 새로운 국가 지향점을 찾아내면서 정치와 문화의 통합적인 힘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양쯔 강 유역의 전통 한족들 중심으로 나라를 수립하거나 제패한 시간은 결코 잦거나 길지 않았다. 늘 외방의 민족, 곧 그들 스스로 문화적 성숙도가 낮았다고 생각하던 동이(東夷), 북적(北狄), 서융(西戎)과 같은 이동성이 뛰어났던 종족들에게 그들이 이루어낸 찬란한 문화와 영토를 양도하면서 그들을 황하 문명의 품으로 다시 껴안는 통합적 역동성을 바탕으로 유구한 역사 문명과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왔다.
무질서한 것 같아 보이지만 엄연한 질서가 내재되어 있는 그들에게 마치 외국어와 같이 다양한 방언들이 존재하는 중국의 언어 분립 문제는 매우 심각해 보일 듯하다. 그러나 어떤 통제적 수단이 아닌 다양한 소수민족의 문화와 제도 및 그들의 언어를 모두 존중하는 입장에서 그들은 큰 갈등이나 사달이 없이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서서히 그들만의 새로운 중국 문명의 질서를 이끌어내는 탁월함을 읽을 수 있다.
내가 국립국어원장으로 중국 조선족연변자치주인 연길(연변)을 방문하였을 때 제일 먼저 시가지 도로 표지판에 한자와 한글 표지가 함께 쓰인 것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옌벤’이 아닌 ‘연길’로 ‘투먼’이 아닌 ‘도문’으로 한글 표기가 병기되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보다 한 발 더 앞선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연변’은 ‘옌볜’으로, ‘발해만’은 ‘보하이 만’으로 ‘도문’은 ‘투먼’으로 교화를 하고 있다. 한국의 어문정책과 비교해 보면 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의 전혀 서로 다른 눈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늘 한자와 영어가 내 민족의 말과 글보다 왜 더 당당하게 존숭(尊崇)되어야 하는지, 자발적인 옹졸함을 모르고 표준화라는 교조적 언어정책의 강제적 질서에 우리는 오랫동안 길들여 있다. 언어의 다양성을 존중할 줄 아는 관대한 중국, 그래서 7~8개 방언이 마치 외국어처럼 잘 소통되지 않아도 하나가 된 보통화(普通話)로 거대한 중국의 찬란한 문화를 축적해온 것이다. 중국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들이 소통하는 언어의 창틀을 통해 읽어낼 수 있으며, 그 다양한 방언 속에서 그들의 풍요로운 문화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
30여년 줄곧 대학 교단에서 방언학 교과목을 강의하면서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출판된 세계적으로 유명한 체임버스(J. K. Chambers)와 트루질(P. Trudgill)이 지은 ?방언학(DIALECTOLOGY)?이라는 책을 번역도 해보고 ?한국어방언학?이라는 교재도 집필하였다. 그러나 한동안 방언학이란 이론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언 분화형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기술할 것인가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에서 보다 철저한 자료 조사와 분석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게으른 탓으로 한참 이 방면 연구에 손을 놓고 있었다.
이 책은 중국의 방언학 개론서 가운데 매우 독특하게도 내가 생각한 바와 매우 유사한 관점에서 만든 책이다. 곧 언어지리학의 궁극적 목표인 언어의 다양한 지리적 분화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언어지도 제작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매우 뚜렷한 지향성을 목표로 한 방언학 개설서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지난 2003년도 일본 동경대학교 초빙 연구 교수로 1년간 동경에 머물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지도 제작 시스템 제작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을 할애하였다. 그동안 일본의 후쿠시마(Fukushima) 교수의 지도제작 시스템 Seal을 비롯한 GIS를 활용한 언어지도 제작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 제작 연구에 골몰한 적이 있다. 그러한 성과물은 출판을 하지 못하고 내 연구실 책장에서 먼지가 쌓여 있다. 최근에는 연구실 제자들이 모여 내가 2003년 개발했던 언어지도 제작 프로그램인 맵 메이커(Map-maker)로 한국방언어휘 분화를 언어지도로 그리고 거기에다가 약간의 해석을 겸한 책 출판을 준비하고 있다.
나는 평소 방언학 연구가 국경의 내부에만 머물지 말고 넓게는 한자 문화권인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예컨대 입성자의 동아시아 전역의 분포 상황의 해석과 같은 언어의 분포와 변화 추이를 연구해야 한다고 믿고 있었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이룰 수 없는 꿈이 되었다.
이 책은 한어와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통로 역할을 할 것이다. 문화권은 언어 소통 권역과 매우 밀접하기 때문에 중국의 다양한 방언지역이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지 그러한 구분의 근거가 무엇인지 잘 설명되어 있다. 한어에 능하지 않은 저자의 자력으로는 이 책의 번역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내 연구실에 중국에서 유학 온 박사과정의 짱 쩐 교수와 왕 민 군과 천명희 선생이 각자 초벌 번역을 마친 후, 이를 통합하여 짱쩐 교수의 교열을 거쳤다. 특히 언어지도 해설부분은 중국인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한 박규정 교수가 맡았다. 김덕호 교수와 김경숙 박사의 교열과 함께 박사과정 한송이 군의 교정 도움도 있었다.
이제 대학 강단에 머물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제자들이 내 이름을 선뜻 옮긴이의 명단 머리에 올린 이유를 되새겨본다. 공동 번역에 참여한 모든 제자들에게 이 자릴 빌려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 무궁한 학문의 정진이 있기를 기대한다. 조만간 동아시아 방언학을 정리하여 학습자 중심의 방언학 연습 교과서를 구상하고 있다. 내 연구실 식구들과 함께 훌륭한 교재를 만들어 여러 독자들에게 보답하고자 한다.
중국 문명의 시대가 점점 더 다가오고 있다. 중국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의 언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이 좀 어렵기는 하지만, 마치 외국어와 같은 다양한 중국 방언을 이해하는데 훌륭한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전공자들은 꼼꼼히 읽고 교양인들은 건성건성 읽어도 될 흥미로운 책이다. 함께 널리 읽히기를 기대하면서 장마바람이 불어오는 삼복더위에 땀을 식히며 교정을 보던 것이 어언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다. 2016년 중국사회과학원 초청으로 25일간 중국에 머물면서 베이징에 들러 샹몽빙 교수를 만나지 못하고 돌아와 무척 아쉽다. 여진 문자 비석을 탐사한다고 변방 오지를 다니느라 무척 지친 상태로 귀국하기가 바빴다. 동아시아 방언 연구를 위한 자리에서 만날 것을 기약해 본다. 이 책의 초판 번역이 완성되어 갈 무렵 증보 재판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샹몽빙 교수에게 요청하여 증보판과 지도 파일을 전달 받고 전면 새롭게 번역 대조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지났다. 그동안 출판사의 협조와 도움이 없이는 이 번역서의 출간은 불가능하였을지도 모른다. 원저자께 감사드리며 함께 번역하면서 논의해온 내 연구실의 여러 제자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와 은혜로움을 함께 나누며 오랫동안 기리고자 한다.

2017년 5월
여수서재(如水書齋) 이상규(李相揆)

1. 방언과 방언학
방언(Dialect)이란 무엇인가? 통상적으로 방언은 각 지역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중국은 방언이 매우 복잡한 나라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중국 사람들은 방언에 대해 낯설어 하지 않는다. 민시((?西), 푸?(福建)성 서쪽의 하카(客家, Hakka) 지역에서는 “하나의 산이 하나의 소리를 일으킨다(一重山就一重音).”라는 속담이 있는데, 곧 지역에 따라 말과 어투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방언의 언어학적 의미는 한 언어의 각 지역별 변이형이다.
사람들은 아주 일찍부터 언어 내부가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현상을 깨닫고 있었다. 예를 들면 ?구약? 성서에 한 방언을 관찰한 가장 오래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구약(<사사기>(11: 30-40)의 ‘사사기 시대(Age of judges)’, 곧 이스라엘의 <사사기>에서 전해 온다. 사사(士師) 입다(Jephthah)가 길르앗(Gilead) 사람을 이끌고 에브라임(Ephraim) 사람과 전쟁을 하던 중 요단(Jordan) 강가를 지키며, 에브라임 사람들이 강을 건너 도망오지 못하게 하였다. 강을 건너 도망 오는 에브라임 사람을 체포할 때마다 에브라임 사람이냐고 묻고는 아니라고 대답하면 ‘Shibboleth’ ([??b?le?] 옥수수 수염을 뜻함)라는 낱말을 말하게 하였다. “에브라임 사람이 능숙하게 구음을 발음하지 못하고 ‘Sibboleth’이라고 말하면 길르앗 사람은 그런 에브라임 사람들을 체포하여 요단강가에서 죽였다.”(<사사기> 12-6) ‘Shibboleth’라는 단어는 이미 영어와 기타 많은 언어에 전파되어 들어와 ‘암호구령’, ‘시험용 단어’라는 뜻을 의미하거나 한층 더 일반적인 의미인 ‘특색’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중국 서한(西漢) 말년에 양웅(揚雄)이 지은 ?방언?(원명: ?사신들의 각국 별 방언 어석?)은 일종의 비교 방언 어휘 전문서이다. 대부분의 기록은 한어방언이지만, 일부 소수민족 언어도 기록되어 있다. 그 체제는 먼저 방언 어휘를 열거한 뒤에 공통어로 해석하고 다시 두루 쓰이는 상황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제1권 제1조에 ‘깨닫다’라는 뜻으로 “각(覺), 효(?), 철(哲), 지(知)가 있는데, 초(楚) 나라 때에는 ‘각(覺)’, 또는 ‘효(?)’라고 하는데 비해, 제(?)와 송(宋) 나라 시대 사이에서는 ‘철(哲)’이라고 하였다.”
방언학은 방언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갈래이다. 사람들은 일찍부터 방언 차이에 주목하였지만 현대적 의미의 방언연구-방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19세기 후반에 와서야 비로소 시작되었다.

목차

●재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文版序
●역자 서문
●방언지도 목록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 방언과 방언학
2. 방언지리학의 등장
3. 한어방언학의 출현과 그 학술적 전통
4. 방언지리학과 방언지도의 소개와 탐색
4.1 외국 서적의 유입, 번역, 평론
4.2 방언지리학 및 한어방언지리학의 소개와 탐구
4.3 방언지도의 소개와 탐색
5. 한어방언지리학의 실천

제2장 방언지도
1. 방언지도의 형식
1.1 점상(点狀)분포지도
1.2 등어선지도
1.3 면상(面狀)분포지도
2. 방언지도의 분포지점
3. 방언지도의 제작

제3장 언어 특징의 지리분포 유형과 등어선 이론
1. 언어 특징의 지리 분포 유형
1.1 언어 특징의 지리 분포 유형
1.2 불연속분포의 형성 원인
1.3 바르톨리(Matteo B?rtoli)의 ‘구역모형’ 가설
2. 등어선 이론
2.1 등어선은 무엇인가?
2.2 등어선 그리는 두 가지 방법
2.3 방언 분포 구역에 작용하는 등어선의 방식
2.4 등어선과 언어 특징 분포와의 관계
2.5 등어선의 유형
2.6 등어선 간의 공간 관계
2.7 등어선속
2.8 등어선 또는 등어선속의 등급
2.9 등어선의 지리와 문화와의 관련성
3. 개신과 고음 유지
3.1 개신과 고음 유지, 공동 개신과 평행 개신의 구분
3.2 방언 분류상 개신과 고음 유지 특징의 효능
4. 방언 분류의 모형

제4장 한어방언구획도
1. 최초 한어방언구획도
2.『신보지도(申報地圖)』에서의 언어구역도
3. 고교 교재에서의 한어방언구역 설명도
4. 백과전서 및 학술 저서에서의 한어방언구획도
5.『중국언어지도집』에서의 한어방언지도
6. 관화 구획도
7. 타이완성(臺灣省)의 언어방언지도
8. 한어방언구획

제5장 전제연구
1. 한어방언의 거시적 구획
1.1 남북 대립과 관화(만다린)의 정의
1.2 진어(晋語)의 지위
1.3 남방 방언의 구획
1.4 하카-간(客?) 방언의 분합
1.5 후이저우(徽州) 방언의 귀속
1.6 핑화(平話)의 귀속
1.7 한어방언구획의 일반적인 원칙
2. 한어방언의 미시적 구획
2.1 유어어의 제1단계 하위 구분
2.2 하카말 중심 지역의 제1단계 하위 구분
2.3 하카말 후이저우 지역의 문제
3. 고음 미(微) 모자의 현재음을 통해 본 유어어에 대한 하카말 영향
4. 민시(?西) 하카 말에서의 “인(寅)”자 발음

●이 책의 자료 출처
●참고문헌
●후기
●한어방언 링크집
●부록 / 방언지도

저자소개

저자 샹멍빙은 푸(福健) 출신, 베이징대학교 중문과 교수, 저서로『롄청 하카어 문법연구』(어문출판사, 1997)등 다수

도서소개

중국 문명의 시대가 점점 더 다가오고 있다. 중국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의 언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이 좀 어렵기는 하지만, 한어와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통로 역할을 할 것이며, 마치 외국어와 같은 다양한 중국 방언을 이해하는데 훌륭한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권은 언어 소통 권역과 매우 밀접하기 때문에 중국의 다양한 방언지역이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지 그러한 구분의 근거가 무엇인지 잘 설명하고 있다. 중국어 전공자들은 꼼꼼히 읽고 교양인들은 건성건성 읽어도 될 흥미로운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