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법원직 민사소송법(2018)

법원직 민사소송법(2018)

  • 이종훈
  • |
  • 학연
  • |
  • 2017-07-07 출간
  • |
  • 703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58241957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총 론
제1장 민사소송 3
제1절 민사소송의 목적과 개념 3
제2절 민사소송과 다른 소송제도와의 관계 6
제3절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 9
제4절 민사소송의 이상과 신의칙 9
Ⅰ. 민사소송의 4대이상 9
Ⅱ. 민사소송과 신의칙 9
제5절 민사소송절차의 분류 13
제2장 민사소송법 15
제1절 민사소송법의 의의와 성격 15
제2절 민사소송법규의 종류 15
제3절 민사소송법의 적용범위 17
제4절 개정민사소송법의 주요내용 17
제2편 소송의 주체
제1장 법 원 23
제1절 민사재판권 23
Ⅰ. 재판권일반 23
Ⅱ. 민사재판권의 범위 23
제2절 민사법원의 종류와 구성 27
Ⅰ. 민사법원의 종류 27
Ⅱ. 법원의 구성 28
Ⅲ. 기타의 사법기관 29
제3절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34
Ⅰ. 법관의 제척 34
Ⅱ. 법관의 기피 36
Ⅲ. 법관의 회피 40
Ⅳ. 법원사무관 등에 대한 제척·기피·회피 41
제4절 관 할 41
Ⅰ. 총 설 41
Ⅱ. 직분관할 42
Ⅲ. 사물관할 43
Ⅳ. 토지관할 47
Ⅴ. 지정(재정)관할 55
Ⅵ. 합의관할 57
Ⅶ. 변론관할 61
Ⅷ. 관할권의 조사 62
Ⅸ. 소송의 이송 64
제2장 당사자 71
제1절 총 설 71
Ⅰ. 당사자의 의의 71
Ⅱ. 당사자대립주의 71
제2절 당사자의 확정 72
Ⅰ. 서 설 72
Ⅱ. 당사자확정의 기준 73
Ⅲ. 당사자확정 후 당사자의 표시를 바로잡는 방법 73
Ⅳ. 성명모용소송 76
Ⅴ. 법인격부인론 78
Ⅵ. 제소전 피고가 사망한 경우 79
제3절 당사자의 자격 82
제1관 당사자능력 82
Ⅰ. 서 설 82
Ⅱ. 당사자능력자 82
Ⅲ. 당사자능력의 조사와 흠결의 효과 85
제2관 당사자적격 87
Ⅰ. 서 설 87
Ⅱ. 당사자적격을 갖는 자 87
Ⅲ. 당사자적격 흠결의 효과 93
제3관 소송능력 94
Ⅰ. 서 설 94
Ⅱ. 소송능력의 기준 95
Ⅲ. 소송능력의 조사와 흠결의 효과 96
제4관 변론능력 98
Ⅰ. 서 설 98
Ⅱ. 변론능력이 없는 자 99
Ⅲ. 변론능력 흠결의 효과 100
제4절 소송상의 대리인 102
제1관 총 설 102
Ⅰ. 소송상 대리인의 의의 102
Ⅱ. 대리인의 구분 102
제2관 소송상 대리인의 종류 103
Ⅰ. 법정대리인의 종류 103
Ⅱ. 임의대리인의 종류 107
제3관 소송상대리인의 권한 110
Ⅰ. 법정대리인의 권한 110
Ⅱ. 임의대리인의 권한 111
제4관 소송상대리인의 지위 114
Ⅰ. 법정대리인의 지위 114
Ⅱ. 임의대리인의 지위 114
제5관 대리권의 소멸 115
Ⅰ. 법정대리권의 소멸 115
Ⅱ. 임의대리권의 소멸 116
제6관 무권대리인 117
Ⅰ. 의 의 117
Ⅱ. 소송상 취급 117
Ⅲ. 쌍방대리의 금지 118
Ⅳ. 표현대리의 법리 적용여부 119
Ⅴ. 비변호사의 대리행위에 대한 취급 119
제3편 제1심의 소송절차
제1장 소송의 개시 123
제1절 소의 의의 123
Ⅰ. 서 설 123
Ⅱ. 소의 종류 123
제2절 소송요건 127
제1관 총 설 127
Ⅰ. 소송요건의 의의 127
Ⅱ. 소송요건의 종류 127
Ⅲ. 소송요건의 모습 128
Ⅳ. 소송요건의 조사 128
Ⅴ. 소송요건의 조사결과 129
제2관 소의 이익 130
Ⅰ. 서 설 130
Ⅱ. 권리보호의 자격(공통적인 소의 이익) 131
Ⅲ. 권리보호의 이익 내지 필요 134
Ⅳ. 소송상의 취급 146
제3절 소송물 147
Ⅰ. 서 설 147
Ⅱ. 소송물에 관한 견해 147
Ⅲ. 判例의 입장 148
Ⅳ. 각종의 소에 있어서의 소송물의 특정 150
제4절 소의 제기 154
Ⅰ. 서 설 154
Ⅱ. 소제기의 방식 155
Ⅲ. 소장의 기재사항 156
제5절 재판장의 소장심사와 소제기후의 조치 160
Ⅰ. 재판장의 소장심사 160
Ⅱ. 소장부본의 송달 및 답변서제출의무의 고지 163
Ⅲ. 피고의 답변서제출의무 164
Ⅳ. 바로 제1회 변론기일의 지정 167
제6절 소송구조 167
Ⅰ. 서 설 167
Ⅱ. 소송구조의 요건 167
Ⅲ. 소송구조의 절차 168
Ⅳ. 소송구조의 효과 170
제7절 소제기의 효과 172
제1관 소송계속 172
제2관 중복 소제기의 금지 173
Ⅰ. 서 설 173
Ⅱ. 중복제소에 해당요건 173
Ⅲ. 효 과 177
제3관 실체법상의 효과 178
제8절 소제기의 특수한 방식 - 배상명령신청 181
제2장 변 론 182
제1절 변론의 의의와 종류 182
Ⅰ. 총 설 182
Ⅱ. 변론의 종류 182
제2절 審理에 관한 제원칙 185
제1관 공개심리주의 185
제2관 쌍방심리주의 186
제3관 구술심리주의 186
제4관 직접심리주의 187
제5관 처분권주의 188
Ⅰ. 서 설 188
Ⅱ. 절차의 개시 189
Ⅲ. 심판의 대상과 범위 189
Ⅳ. 절차의 종결 193
Ⅴ. 처분권주의 위배의 효과 194
제6관 변론주의 194
Ⅰ. 서 설 194
Ⅱ. 변론주의의 내용 194
Ⅲ. 변론주의의 한계 201
Ⅳ. 변론주의의 보완·수정 201
Ⅴ. 변론주의의 예외(제한) 203
Ⅵ. 석명권 206
제7관 적시제출주의 216
Ⅰ. 서 설 216
Ⅱ. 적시제출주의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 217
Ⅲ. 적시제출주의의 예외 221
제8관 집중심리주의 221
Ⅰ. 서 설 221
Ⅱ. 집중심리주의의 목적과 전제조건 222
Ⅲ. 집중심리를 위한 현행법규의 내용 222
Ⅳ. 결 어 : 2008년 개정법률하의 집중심리 223
제9관 직권진행주의와 소송지휘권 223
Ⅰ. 직권진행주의의 의의 223
Ⅱ. 소송지휘권 224
Ⅲ.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 225
제3절 변론의 준비(기일전의 절차) 227
제1관 준비서면 227
Ⅰ. 서 설 227
Ⅱ. 준비서면의 기재사항 229
Ⅲ. 준비서면의 제출 (교환) 229
Ⅳ. 준비서면 제출·부제출의 효과 230
제2관 변론준비절차 232
Ⅰ. 서 설 232
Ⅱ. 변론준비절차의 대상과 회부 233
Ⅲ. 변론준비절차의 진행 234
Ⅳ. 변론준비절차의 종결 238
Ⅴ. 변론준비절차 뒤의 변론의 운영 239
Ⅵ. 예외적인 조기변론기일제의 폐지 240
제4절 변론의 내용 240
Ⅰ. 변론에서의 당사자의 소송행위 240
Ⅱ. 소송행위 일반 247
Ⅲ. 단독소송행위의 특질 250
제5절 변론의 실시 252
Ⅰ. 변론의 경과 252
Ⅱ. 변론의 정리-변론의 제한·분리·병합 253
Ⅲ. 변론의 재개 254
Ⅳ. 변론의 일체성 256
Ⅴ. 변론조서 256
제6절 변론기일에 있어서 당사자의 결석 263
Ⅰ. 총 설 263
Ⅱ. 기일의 해태의 요건 263
Ⅲ. 양쪽 당사자의 불출석에 따른 효과(취하간주) 264
Ⅳ. 한쪽 당사자의 불출석에 따른 효과(진술간주, 자백간주 등) 266
제7절 기일·기간 및 송달 268
제1관 기 일 268
Ⅰ. 의 의 268
Ⅱ. 기일의 지정 268
Ⅲ. 기일지정신청 269
Ⅳ. 기일의 변경 269
Ⅴ. 기일의 통지와 실시 270
제2관 기 간 271
Ⅰ. 기간의 종류 271
Ⅱ. 기간의 계산·진행·신축 273
Ⅲ. 기간의 부준수 274
제3관 송 달 278
Ⅰ. 서 설 278
Ⅱ. 송달기관 279
Ⅲ. 송달서류 281
Ⅳ. 송달받을 사람 281
Ⅴ. 송달일시와 장소 283
Ⅵ. 송달실시의 방법 286
Ⅶ. 송달의 하자 292
제8절 소송절차의 정지 293
Ⅰ. 총 설 293
Ⅱ. 소송절차의 중단 294
Ⅲ. 소송절차의 중지 302
Ⅳ. 소송절차 정지의 효과 303
Ⅴ. 관련문제 304
제3장 증 거 306
제1절 총 설 306
Ⅰ. 증거의 필요성과 의의 306
Ⅱ. 증거능력과 증거력 306
Ⅲ. 증거의 종류 307
Ⅳ. 증명과 소명 307
제2절 증명의 대상 308
Ⅰ. 사 실 308
Ⅱ. 경험법칙 309
Ⅲ. 법 규 310
제3절 불요증사실 310
Ⅰ. 서 설 310
Ⅱ. 재판상 자백 311
Ⅲ. 자백간주 315
Ⅳ. 현저한 사실 317
제4절 증거조사의 개시와 실시 318
제1관 증거조사의 개시 318
Ⅰ. 증거신청 318
Ⅱ. 증거의 채부 결정 321
Ⅲ. 직권증거조사 323
제2관 증거조사의 실시 323
Ⅰ. 개 설 323
Ⅱ. 증인신문 325
Ⅲ. 감 정 338
Ⅳ. 서 증 342
Ⅴ. 검 증 356
Ⅵ. 당사자신문 357
Ⅶ. 그 밖의 증거조사 359
Ⅷ. 조사·송부의 촉탁 360
Ⅸ. 증거보전 362
제5절 자유심증주의 364
Ⅰ. 서 설 364
Ⅱ. 증거원인 364
Ⅲ. 자유심증의 내용 366
Ⅳ. 사실인정의 위법과 상고 368
Ⅴ.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369
제6절 증명책임 370
Ⅰ. 서 설 370
Ⅱ. 증명책임의 분배 371
Ⅲ. 현대형 소송에서의 증거의 구조적 편재 극복방안 372
Ⅳ. 증명책임의 전환 372
Ⅴ. 증명책임의 완화 373
Ⅵ. 주장책임 377
제4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총 설 381
Ⅰ. 소송종료사유 381
Ⅱ. 소송종료선언 381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소송의 종료 384
제1절 소의 취하 385
Ⅰ. 서 설 385
Ⅱ. 소취하의 요건 385
Ⅲ. 소취하의 효과 387
Ⅳ. 소의 취하간주 390
Ⅴ. 소취하의 효력에 관한 다툼(하자를 다투는 방법) 390
제2절 청구의 포기·인낙 391
Ⅰ. 서 설 391
Ⅱ. 요 건 392
Ⅲ. 절 차 392
Ⅳ. 효 과 393
제3절 재판상 화해 394
Ⅰ. 서 설 394
Ⅱ. 소송상 화해 394
Ⅲ. 제소전 화해 399
Ⅳ. 재판상 화해와 동일하게 보는 경우 401
Ⅴ. 화해권고결정 401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소송의 종료 404
제1절 총 설 404
Ⅰ. 재판의 의의 404
Ⅱ. 재판의 종류 404
제2절 판 결 405
제1관 판결의 종류 405
Ⅰ. 중간판결 405
Ⅱ. 종국판결 406
제2관 판결의 성립 409
Ⅰ. 판결내용의 확정 409
Ⅱ. 판결서(판결원본) 410
Ⅲ. 판결의 선고 413
Ⅳ. 판결의 송달 414
제3관 판결의 효력 414
Ⅰ. 기속력 415
Ⅱ. 형식적 확정력 417
Ⅲ. 기판력 일반 419
Ⅳ. 기판력의 작용 422
Ⅴ. 기판력의 범위 425
Ⅵ. 기판력에 저촉하는 경우 법원의 조치 442
Ⅶ. 기타 판결의 효력 444
제4관 판결의 하자 445
Ⅰ. 판결의 부존재(비판결) 445
Ⅱ. 당연무효의 판결 445
Ⅲ. 판결의 편취(사위판결) 445
제5편 병합소송
제1장 병합청구소송 451
제1절 소의 객관적 병합 452
Ⅰ. 서 설 452
Ⅱ. 병합요건 453
Ⅲ. 병합의 모습 454
Ⅳ. 병합청구의 심리 458
Ⅴ. 종국판결 459
제2절 청구의 변경 463
Ⅰ. 총 설 463
Ⅱ. 청구변경의 형식 463
Ⅲ. 청구변경의 모습 465
Ⅳ. 청구변경의 요건 466
Ⅴ. 청구변경의 절차 470
Ⅵ. 청구변경을 간과한 경우 471
제3절 중간확인의 소 472
Ⅰ. 서 설 472
Ⅱ. 요 건 472
Ⅲ. 절차와 심판 473
제4절 반 소 474
Ⅰ. 서 설 474
Ⅱ. 반소의 모습 476
Ⅲ. 반소의 요건 477
Ⅳ. 반소의 제기 479
Ⅴ. 반소에 대한 심판 480
제2장 다수당사자소송(당사자의 복수) 481
제1절 공동소송(소의 주관적 병합) 482
제1항 총 설 482
Ⅰ. 서 설 482
Ⅱ. 발생원인과 소멸원인 482
제2항 공동소송의 요건 482
Ⅰ. 주관적 요건 : 항변사항 482
Ⅱ. 객관적 요건 : 직권조사사항 483
제3항 공동소송의 유형 483
Ⅰ. 통상공동소송(단순공동소송) 483
Ⅱ. 필수적 공동소송(합일확정공동소송) 485
제4항 특수한 형태의 공동소송 492
Ⅰ.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소의 주관적 예비적·선택적 병합) 492
Ⅱ. 추가적 공동소송(주관적·추가적 병합) 498
제2절 선정당사자 499
Ⅰ. 서 설 499
Ⅱ. 요 건 499
Ⅲ. 선정의 성질 및 방법 501
Ⅳ. 선정의 효과 502
Ⅴ. 선정당사자의 자격흠결의 효과 505
제3절 소송참가 506
제1항 총 설 506
제2항 (단순)보조참가 506
Ⅰ. 서 설 506
Ⅱ. 보조참가 요건 507
Ⅲ. 참가절차 509
Ⅳ. 보조참가인의 소송상 지위 510
Ⅴ. 참가인에 대한 재판의 효력(참가적 효력) 512
제3항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514
Ⅰ. 서 설 514
Ⅱ. 공동소송적 보조참가가 성립되는 경우 515
Ⅲ. 참가인의 소송상 지위 516
Ⅳ. 참가인에 미치는 판결의 효력 517
제4항 소송고지 517
Ⅰ. 서 설 517
Ⅱ. 소송고지의 요건 517
Ⅲ. 소송고지의 방식 518
Ⅳ. 소송고지의 효과 519
제5항 독립당사자참가 520
Ⅰ. 서 설 520
Ⅱ. 구 조 521
Ⅲ. 독립당사자참가의 요건 521
Ⅳ. 참가신청 526
Ⅴ. 독립당사자참가소송의 심판 527
Ⅵ. 3면소송의 붕괴(2면소송으로의 환원) 529
제6항 공동소송참가 531
Ⅰ. 의 의 531
Ⅱ. 요 건 531
Ⅲ. 참가절차와 효과 533
제4절 당사자의 변경 534
제1항 총 설 534
Ⅰ. 의 의 534
Ⅱ. 유 형 534
제2항 임의적 당사자변경 534
Ⅰ. 의 의 534
Ⅱ. 임의적 당사자변경의 허용여부 및 개정입법의 태도 534
Ⅲ. 민사소송법상의 임의적 당사자변경 535
제3항 소송승계 540
Ⅰ. 서 설 540
Ⅱ. 당연승계 540
Ⅲ. 소송물의 양도(특정승계) 543
Ⅳ. 참가승계 543
Ⅴ. 인수승계 545
Ⅵ. 前主의 지위와 소송탈퇴 547
제6편 상소심절차
제1장 총 설 551
Ⅰ. 상소의 의의 551
Ⅱ. 상소의 자유 551
Ⅲ. 상소의 종류 552
Ⅳ. 상소요건 553
Ⅴ. 상소의 효력 559
Ⅵ. 상소의 제한 561
제2장 항 소 562
제1절 총 설 562
Ⅰ. 항소의 의의 562
Ⅱ. 항소심의 구조 562
Ⅲ. 항소요건 563
Ⅳ. 항소의 당사자 563
제2절 항소의 제기 564
Ⅰ. 항소제기의 방식 564
Ⅱ. 재판장의 항소장심사권 566
Ⅲ. 항소제기의 효력 567
Ⅳ. 항소의 취하 568
Ⅴ. 부대항소 570
제3절 항소심의 심리 572
Ⅰ. 항소의 적법성의 심리 572
Ⅱ. 본안심리 573
제4절 항소심의 종국판결 575
Ⅰ. 총 설 575
Ⅱ. 항소장각하 576
Ⅲ. 항소각하판결 576
Ⅳ. 항소기각판결 576
Ⅴ. 항소인용판결 577
Ⅵ. 항소심판결의 주문 581
제3장 상 고 583
제1절 상고심의 특색 583
제2절 상고이유 584
Ⅰ. 민사소송법상의 상고이유 584
Ⅱ. 소액사건심판법상의 상고이유 587
제3절 상고심의 절차 587
Ⅰ. 상고의 제기 587
Ⅱ. 심리불속행제도 : 심리속행사유의 심사 588
Ⅲ. 상고심의 본안심리 589
Ⅳ. 상고심의 종료 590
제4장 항 고 594
Ⅰ. 항고의 개념과 목적 594
Ⅱ. 항고의 종류 594
Ⅲ. 항고의 적용범위 595
Ⅳ. 항고절차 596
Ⅴ. 재항고 599
Ⅵ. 특별항고 600
제7편 재심 및 간이소송절차
제1장 재심절차 605
Ⅰ. 재심의 개념 605
Ⅱ. 재심의 소의 적법요건 606
Ⅲ. 재심사유 608
Ⅳ. 재심절차 612
Ⅴ. 준재심 615
제2장 간이소송절차 617
제1절 소액사건심판절차 617
Ⅰ. 소액사건의 범위 및 입법 617
Ⅱ. 이행권고제도 618
Ⅲ. 소액사건심판에 있어서 절차상의 특례 619
제2절 독촉절차 621
Ⅰ. 서 설 621
Ⅱ. 지급명령의 신청 및 재판 621
Ⅲ. 지급명령에 대한 채무자의 이의신청 624
제3절 공시최고절차 625
Ⅰ. 서 설 625
Ⅱ. 공시최고의 절차 625
Ⅲ. 제권판결 628
Ⅳ. 증권의 무효선고를 위한 공시최고 629
제8편 종국판결에 부수되는 재판
제1절 가집행선고 635
Ⅰ. 서 설 635
Ⅱ. 가집행선고의 요건 635
Ⅲ. 절차 및 방식 636
Ⅳ. 가집행선고의 효력 637
Ⅴ. 가집행선고의 실효와 원상복원 및 손해배상의무 638
제2절 소송비용의 재판 640
Ⅰ. 소송비용 640
Ⅱ. 소송비용의 부담 643
Ⅲ. 소송비용의 재판 645
Ⅳ. 소송비용액확정절차 646
Ⅴ. 소송비용의 담보 648
제9편 민사조정절차
부록 판례색인 661

저자소개

저자 이종훈은
[약 력]
ㆍ특허청 지식재산연수원 민사소송법 겸임교수
ㆍ베리타스법학원 민사소송법 전임
ㆍ법무법인 우리 자문위원
ㆍ경북대, 고려대, 동아대, 충북대, 한양대 로스쿨 특강강사

[주요저서]
ㆍ민사소송법 Capsule(학연, 2015)
ㆍ민사소송법 핵심정리 OX
ㆍ2017 법원직 민사소송법(학연, 2016)
ㆍ로스쿨 민사소송법(학연, 2016)
ㆍ민사소송법 Blackbox(학연, 2016)
ㆍ법전협 제1차, 2차, 3차 모의시험해설(공편)(학연, 2016)
ㆍ제6회 변호사시험 예상문제(공편)(학연, 2016)
ㆍRainbow 변시기출·모의해설 민소법선택형(학연, 2017)
ㆍRainbow 변시기출·모의해설 민사법사례형(공편)(학연, 2017)
ㆍRainbow 핵심OX 민사소송법(학연, 2017)
ㆍ진도별 변시 사시기출 민사소송법사례연습(학연, 2017)
ㆍ로스쿨 국제법(기본이론 + 사례풀이)(학연, 2017)
ㆍ온라인 법원직 핵심OX 민사소송법(학연, 201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