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정 교육 상담 포럼 세트

교정 교육 상담 포럼 세트

  • 이명숙
  • |
  • 솔과학
  • |
  • 2017-06-01 출간
  • |
  • 856페이지
  • |
  • 208 X 265 X 64 mm /2668g
  • |
  • ISBN 9791187124214
판매가

57,000원

즉시할인가

5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그들을 고독 속에 빠뜨려야 할 방법을 진지하게 생각할 때가 되었습니다.
범죄로 보는 행위 속에서 그들을 단독으로 배치하면 그들은 그것을 싫어하는 법을 배울 테고, 그들의 영혼이 아직 사회의 나쁜 것들에 대해 물들지 않았음을 느낄 때까지 완전한 고독은 양심의 가책을 습격할 것입니다.
고독은 게으름을 근면하게, 또 고독은 희망하는 종교를 얻게 해주며, 진짜 후회와 참회를 통해 자신의 오류에 대해 깨달음을 주는 유일한 방법은 고독뿐입니다.
- 벤자민

◆『교정의 심리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1)』
이제는,
“범죄”가 아니라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해서 탐구하는 실천학문이 필요하다.
추상적인 두려움이나 범죄발생 양상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각자가 개인적 삶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자신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범죄인”을 연구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범죄자를 삶을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바라보고,
이들의 심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변화시키려 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실체가 없는 두려움에서 벗어나서 상처와 결핍을 안고 있는 한 인간으로 바라보면서 전문적인 이해와 교정적 대안을 제시한다.

(전략) 이번에 한국교정교육교육상담 포럼의 총서 중 제1권으로 발간되는 「교정의 심리학은: 범죄자를 삶을 살아가는“인간”으로서 바라보고, 이들의 심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건강한 사 회인으로 변화시키려 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실체가 없는 두려움에서 벗어나서 상처와 결핍을 안고 있는 한 인간으로 바라보면서 전문적인 이해와 교정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은 범죄인에 대한 것이다. 범죄원인으로서 유전과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범죄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내분비계와 신경계, 인지 특성 등 최근 연구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2편은 범죄행위에 대한 것이다. 범죄행위의 결과로서 형벌의 고통과 우리나라의 현행 치료적 교정보호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폭력범죄, 성범죄, 약물 범죄 등 주요 범죄유형별로 범죄자의 심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후략)

◆ 『교정의 심사평가론(교정 교육 상담 포럼 +2)』
성범죄자나 폭력범죄와 같이 특정 범죄 행동에 대해 임상적 도구를 사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고 치료프로그램을 제공!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에서는 교정기관과 협력하여 범죄인이 더 만족스러운 삶을 통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주기 위해 활동하면서 총서 3권을 발간!
제 1권은 「교정의 심리학」, 제 2권은 「교정의 심사평가론」, 제 3권은 「교정의 복지학」 으로 이 책은 제 1권에 이은 두 번째 발간서!

(전략) 범죄인의 재범방지와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교정 분야에서의 대처는 일반적으로 판결 이후 과정으로 범죄인에 대한 교정교화와 분류심사 및 재범위험성 예측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즉, 비행 또는 범죄를 하게 되는 심리상태, 인성, 행동특성 등을 과학적으로 조사, 측정, 평가하여 개별 처우 계획을 수립하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 및 재사회화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특히, 성범죄자나 폭력범죄와 같이 특정 범죄 행동에 대해 임상적 도구를 사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고 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후략)

◆ 『교정의 복지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3)』
시설 내 처우 및 소년보호 나아가 보호관찰영역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별 처우를 복지적 차원에서 재해석!
교정단계에 있는 이들에게 어떻게 교정복지를 실현해 갈 것인가에 대한 안내서로서의 역할!
각 분야별 이론과 실무경험이 풍부한 저자들의 명쾌한 해석과 정리로 교정복지에 대한 필수 안내서이자 교정복지학 발전의 초석!

(전략) 본 교재는 먼저 시설 내 처우 및 소년보호 나아가 보호관찰영역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별 처우를 복지적 차원에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교정단계에 있는 이들에게 어떻게 교정복지를 실현해 갈 것인가에 대한 안내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또 다른 의미라 하겠다.
교재의 구성은 범죄자 처우와 복지, 시설 내 교정복지, 교정복지와 사례관리, 소년보호기관의 교정복지, 보호관찰과 교정복지, 교정복지의 국제기준과 실제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후략)

목차

◆ 『교정의 심리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1)』 목차
제1부 범죄인CRIMINAL MAN
서 장

1. 치료적 사법의 이념 ·······················································································8

범죄 원죄론
제1장 유전과 범죄 ·····················································································19
1. 롬브로소의 범죄인류학 ? 19
2. 현대의 범죄생물학 : 변연계 기능 ? 27
3. 유전과 범죄의 관계 ? 29
제2장 환경과 범죄 ·····················································································39
1. 환경과 인간발달의 관계 ? 39
2. 치료적 사법의 이념 역기능적 가족환경 ? 42
3. 빈곤 환경과 발달적 위기 ? 47 | 4. 건강한 환경의 회복 ? 50

교정심리학 기초이론
제3장 학습이론 계열 ·················································································57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 57 |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 59
3. 사회학습이론 ? 63
제4장 정신분석이론 계열 ··········································································67
1. 프로이드 이론 ? 67 | 2. 아이호른의 정신분석적 범죄이론 ? 70
3. 볼비의 애착이론 ? 74
제5장 인지 및 정보처리이론 계열 ····························································77
1.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 77 | 2. 인지적 신연합주의 ? 81
3. 습관화 가설 ? 84
제6장 범죄적 성격이론 계열 ·····································································86
1. 성격 신경과학(Personality Neuroscience)의 출현 ? 86
2. 아이젠크 성격이론 ? 89 | 3. 그레이의 충동성 동기 이론 ? 93

범죄인의 특성
제7장 내분비계와 신경계 ··········································································99
1. 범죄인의 내분비계 이상 ? 99 | 2. 범죄인의 신경계 이상 ? 101
3. 미래 교정과 신경생물학(Neuro-Biology) ? 105
제8장 성격과 정서 ··················································································112
1. 성격을 보는 관점 ? 112 | 2. 충동성 ? 113
3. 감각추구 성향 ? 115 | 4. 분노와 증오 ? 117
제9장 인지와 사고 ··················································································123
1. 사회적 역능의 결핍 ? 123 | 2. 범죄적 사고양식 ? 124
3. 폭력범의 분노와 인지 왜곡 ? 128 | 4. 성폭력범의 인지 왜곡 ? 129
제10장 정신장애 ······················································································136
1. 정신장애 정의 및 분류 ? 136 | 2. 정신장애와 범죄와의 관계 ? 141
3. 범죄관련 주요 정신장애 ? 146

(후략)

◆ 『교정의 심사평가론(교정 교육 상담 포럼 +2)』 목차
제 1장. 범죄인 심리평가 및 측정 (집필 이명숙)
제1절. 심리측정과 평가 10
1. 심리측정의 정의 10
2. 심리검사 11

제2절. 과학적 교정처우의 이념 14
1. 분류의 과학화 15
2. 처우의 개별화 20

제3절. 과학적 교정처우와 심리평가 26
1. 재범위험성 평가의 시대적 변천 26
2. 교정적 심리평가의 R-N-R모델 31
3. 비행청소년의 위험성 평가 34

제4절. 우리나라 위험성 심사평가의 실제 42
1. 학교의 위기학생 평가 42
2. 경찰의 청소년 비행위험성 평가 49
3. 검찰 및 법원의 조사 54
4. 소년보호기관의 진단 및 평가 64
5. 교정시설의 심사 평가 79

참고 문헌 82

제 2장.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 특성 및 치유 (집필 김설희)
제1절. 성폭력의 정의 90
1. 성폭력과 피해자 개념 90
2. 성폭력의 유형 91
3. 성폭력 피해 실태 95

제2절.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 특성 106
1. 피해자의 심리 단계 106
2. 피해자의 후유증 111

제3절. 성폭력 피해자의 치유 113
1. 성폭력과 치유 113
2. 피해자 치유의 이론적 배경 114
3. 피해자 치유·회복 과정 116
4. 피해자 치유·회복 상담 118

제4절. 정책적 제언 132

참고 문헌 135

(후략)

◆ 『교정의 복지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3)』 목차
제1장 교정복지의 이해
제1절. 교정복지의 이해 14
1. 교정복지의 의의 14
2. 교정복지 대상자 14
3. 교정복지 종사자 15
4. 교정조직의 이해 19

제2절. 수용자 범죄원인 모델 23
1. 생물학적 원인 23
2. 심리학적 원인 24
3. 사회학적 원인 27

제3절. 형사사법제도의 이해 30
1. 형사사법제도의 발전 30
2. 우리나라 형사사법 체계와 형벌 31

제4절. 교정시설의 교정복지 실제 37
1. 수용자의 처우원리 37
2. 범죄인 처우의 유형과 종류 39
3. 모든 수용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처우 40
4. 수용자별 처우 43
5. 수용의 종료와 사회복귀 준비 46
6. 수용자의 법적지위와 권리구제 48

제5절. 수용자 교육과 교화프로그램 52
1. 교육프로그램 52
2. 교화프로그램 56

제6절. 교정복지의 새로운 동향 66
1. 미국의 리엔트리(Re-entry) 전략 66
2. 회복적 사법의 교정단계 도입 72
3. 유엔의 최근 교정 전략 73

참고 문헌 75

제2장 교정복지와 사례관리
제1절. 교정복지의 개념 78
1. 교정복지의 정의 78
2. 교정복지에 사례관리의 적용 79

제2절. 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82
1. 사례관리의 정의 82
2. 사례관리 등장 배경 84
3. 사례관리의 이론적 관점 86
4. 사례관리의 주요 구성요소 87
5. 사례관리의 기능 및 기본 원칙 88

제3절. 사례관리의 실천 및 예시 89
1. 사례관리 모델 89
2. 사례관리 실천 과정 95
3. 실천과정 예시 100

제4절. 소년원 청소년 부모-자녀 사례관리 실천사례 107
1. 프로그램 개요 107
2. 각종 기록양식 108

제5절. 소년원생의 TSL부모-자녀 공동개입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120
1. 양적 분석 : 자기통제력 120
2. 질적 분석 :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정적 정서 해소 121
참고 문헌 124

(후략)

저자소개

저자 이명숙은
연세대학교 심리학 박사 I University of Michigan 사회복지학 석사 | 서울대학교 심리학 석사 | 서울대학교 과학교육 학사 | 현 경기대학교 교정보호학과 교수 | 현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 회장 |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9대 원장 | 국부총리실 청소년육성위원회 전문위원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위원 | 방송위원회 심의위원

도서소개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에서는 교정기관과 협력하여 범죄인이 더 만족스러운 삶을 통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주기 위해 활동하면서 총서 3권을 발간하였으며 제1권은 「교정의 심리학」, 제2권은 「교정의 심사평가론」, 제3권은 「교정의 복지학」 을 묶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