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카이스트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

카이스트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

  • 이승섭
  • |
  • 메디치미디어
  • |
  • 2017-06-10 출간
  • |
  • 324페이지
  • |
  • 149 X 213 X 22 mm /522g
  • |
  • ISBN 9791157060887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KAIST 입학처가 직접 저술한 유일한 책!
만들어진 영재는 오래가지 못한다-
“그렇다면 KAIST가 선발하려는 학생은?”

KAIST 입학처장,
“만들어진 영재 대신에 앞으로 잘할 학생 선발하겠다”
KAIST에는 의외로 별난 학생들이 적지 않다. 연예인을 지망하는 등 부모가 봤을 때 엉뚱한 일을 벌이다가 그 열정이 공부로 바뀐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 객관적인 성적이 다소 떨어져도 KAIST는 그 학생을 선발한다. 꿈과 열정이 결국 공부와 연구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학생들은 자기소개서를 통해 그 면면을 잘 드러내면 된다. (부록에 자기소개서 작성 팁과 면접 질문 수록)

의지가 ‘불타오르는’ 학생들은 이 교수가 말하는 가장 중요한 학습 기간인 ‘대학 2학년’을 성공적으로 보내고 이후 연구나 창업에서 성공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므로 KAIST는 면접 문제를 쉽게 내서라도 적극적인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반면에 어렸을 때부터 선행학습으로 ‘만들어진’ 학생들은 뒷심이 너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아무리 글을 잘 써도 자기소개서가 빛날 수 없다.

일반고 학생이
과학고와 영재고 출신보다 멀리 가더라
KAIST에는 일반고 학생 비중이 30%로, 앞으로도 점점 높아질 예정이다. 일반고 중 자사고 비중은 20%로 낮다. 일반고 출신은 수학과 과학 공부가 덜 되어 있으므로 1학년 때는 고전한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상승해서 결국 4학년 때는 과학고와 영재고를 앞선다.(해당 학생들 평균) 그 이유는 첫째, 선배-후배 지원 프로그램(튜터링)이나 지도교수 제도 등 학생 개개인에 대한 밀착 도움이고(3장에 상세 소개), 둘째는 그 학생들의 강렬한 꿈 때문이다.

2017년 입학전형을 실행하고 2장을 서술한 주현규 전 입학사정관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직접 발로 뛰며 학교를 찾아다니다 보면, KAIST에 대해 알려진 게 너무 없다는 것을 느낀다. 특히 일반고에서 그런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그때마다 입학사정관들은 목이 쉬어가며 정성껏 답을 한다. KAIST에서는 일반고 학생들도 잘 버틴다고, 뚜렷한 목표와 공부할 의지만 있다면 조금 못해도 학교에서 얼마든지 잘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학비 걱정 없이 열심히 공부할 수 있다고, 선배가 없어도 불이익은 받지 않는다고 말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은 선생님과 학부모들의 얼굴에는 희망이 꽃핀다. 그 얼굴을 보면서 입학사정관들은 힘을 얻는다.”

KAIST 학생부종합전형(입학사정관 평가)
100%를 공개한다
가능성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려 할 때, 그 중심에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 있다. 부모들은 의혹의 눈길을 보내기도 하지만, 대학은 학종을 통해 학교의 인재상에 맞는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 또한 학종에서 고교 교사의 평가가 중요해지면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효과도 크다. KAIST의 경우, 성적 외에도 다른 학생과의 협력 활동을 중요 척도로 살펴본다. 단지 바람직한 인성 평가가 목적이 아니라, 지금은 연구가 대형화돼서 협력하지 않고는 결과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노벨상만 봐도 공동 수상이 늘고 있다. 학종은 시작부터 KAIST가 깊게 관여되어 있는 입시정책이다.

그렇다면, 입학전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KAIST의 중심 가치는 무엇이며, 그런 추상적인 가치를 실제로는 어떻게 판단할까? 이 책에는 실제 전형을 하는 입학사정관들이 입학 전형 과정의 실제를 풍부한 사례를 곁들어서 상술했다.

한국에서도
구글 알파고 만든 ‘하사비스’가 여럿 나오려면?
KAIST는 한국을 대표하는 연구중심대학이다. ‘연구’ 하면 두꺼운 안경을 쓰고 흰 가운을 입은 채 연구실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범생들이 떠오른다. 그러나 이승섭 교수는, 연구란 “없는 길을 만들어야 하는 콜럼버스의 대항해”와 비슷하며, “공부의 끝이 아니라 사업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KAIST는 학생과 졸업생의 창업을 도와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업가형 인재 육성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인 추세다.

미국에서 페이스북, 구글 같은 성공적인 스타트업이 출현하는 것은 결코 천재적인 개인이 만들어낸 우연이 아니다. 스타트업을 할 환경을 조성해주고, 다수의 스타트업이 등장하다가 그중에 탁월한 기업들이 빛을 발하는 것이다. 그런 환경이 KAIST에 조성되고 있다. KAIST는 ‘앞으로 잘할 인재’를 기다리고 있다.

■ 추천사

오래전부터 KAIST는 자연과학·공학 연구 뿐 아니라 교육에서도 창의적인 시도를 거듭하며 선도해왔다. 입학처장에 새내기학부장까지 거치며 이승섭 교수가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정리한 글을 읽다 보니, KAIST가 우리 교육의 방향에 대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해왔는지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 한규일 (경기과학고 전 진학부장)

“KAIST는 어떻게 해서 발전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만 꼭 집어 선발해 갈까?” 4년 연속 과학고 진학부장으로 일하면서 가졌던 질문이다. 책 속에 담긴 KAIST 입학처와 입학사정관들의 치열한 고민을 따라가다 보니, 비로소 그 답이 보인다. 진학지도 교사들이 꼭 한번은 읽어야 할 필독서로 추천한다.
- 이기춘 (전남과학고 진학부장)

이 책은 KAIST 진학을 목표로 삼았거나 한 번쯤 고려해본 학생들 그리고 학부모에게 왜 KAIST여야 하는지 확신을 준다. 특히, KAIST만의 철학이 담긴 무(無)학과 새내기과정학부 프로그램은 다양한 활동으로 사회성과 리더십을 키워줄뿐더러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안목을 길러준다.
- 안태진 (창녕옥야고등학교 3학년 부장)

[책속으로 추가]
KAIST에 입학한 새내기들은 이렇게 새내기과정학부의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생각의 전환기로 1년(無학과)을 보내고 2학년 때 학과를 선택한다. 이는 새내기들이 대학생활을 즐겁게 하며 다양하게 경험한 후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학과를 스스로 찾아가라는 최소한의 배려다. - 3장, 117쪽

KAIST 학생들이 졸업 후 가장 많이 선택하는 진로는 대학원 진학이다. 2015년에 대학원으로 진학한 학생(전체의 70%가량) 중 대부분은 KAIST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그 이유는 KAIST 대학원이 학생들에게 항상 열려 있는 개방성에서 찾을 수 있다. 특정 분야에 관심과 열정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교수들은 누구에게나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를 주고, 대학원생들은 선배이자 멘토로서 학생들을 지도한다. 미리 이러한 경험을 했던 학부생들이 자신이 했던 연구를 잘 알고 있는 KAIST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 4장, 281쪽

다음은 200만 학부모가 사용하는 국내 최대 모바일 알림장 ‘아이엠스쿨’을 개발해 운영 중인 정인모 학생의 글이다. 학부생인데도 졸업 이후 인생을 다루는 이번 장에 이 글을 싣는 이유는 많은 학생이 졸업 후라도 괜찮으니 마음껏 KAIST 캠퍼스를 이용하며 창업에 도전했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 4장, 287쪽

목차

프롤로그
1장 대학은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
2장 앞으로 잘할 학생을 찾는 사람들 이야기
3장 KAIST는 학생을 어떻게 키우는가
4장 KAIST 졸업 그 이후
부록

저자소개

저자 이승섭은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KAIST 입학처장(2013~2017)과 KAIST 학생처장을 역임(2010~2011)했다. UC Berkeley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책의 발제자로 1장의 교육론을 맡았으며, 학생 자신과 KAIST 그리고 대한민국을 위해서 역동적인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할 방법을 오랜 시간 고민해왔다.

도서소개

KAIST는 ‘앞으로 잘할 인재’를 기다리고 있다!

KAIST 입학사정관들의 선발과정과 그 바탕에 깔린 교육철학을 담아낸 『카이스트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 영재고와 과학고 출신이라도 KAIST와 맞지 않다면 아쉽게도 탈락하는 게 현실이다. 과연 그 철학과 기준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는 KAIST에 호기심은 있지만 엄두를 내지 못했던 학부모와 학생에게, KAIST가 과연 어떤 측면을 중시해 선발하는지, 그리고 무학년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자세하게 소개해 판단의 근거를 제공한다.

입학전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KAIST의 중심 가치는 무엇이며, 그런 추상적인 가치를 실제로는 어떻게 판단할까? 실제 전형을 하는 입학사정관들이 입학 전형 과정의 실제를 풍부한 사례를 곁들어서 이야기한다. ‘졸업생들의 미래’에서는 학생들이 KAIST 진학을 포함한 이공계 진로를 그리는 데 구체적인 도움을 주고, 부록에는 자기소개서 작성 팁과 구술 면접 문제를 실어 KAIST 입학전형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