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8  일본편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8 일본편

  • 김성혜
  • |
  • 선인
  • |
  • 2017-03-10 출간
  • |
  • 285페이지
  • |
  • 158 X 230 X 24 mm /563g
  • |
  • ISBN 9791160680560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6,19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9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갈등과 분쟁의 역사를 겪어왔던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동아시아 사회는 현재 동아시아 사회에도 영향을 주어 국가 간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상호 소통을 통한 화해와 공존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근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은 현재 동아시아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현재적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다.
근대 한국사회 연구의 기초가 되는 동아시아 각국 자료의 경우, 국가에 따라 수집과 정리의 수준은 다르지만, 국내에서도 아직은 체계적 이용에 한계가 있다. 물론 중국과 일본의 경우 현지에서 발간된 자료집 이용과 개인적 수집을 통한 꾸준한 연구로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각국 자료의 비판적 교차검토를 통해 얻어진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과 보편성은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국사적 자료수집과 역사서술만으로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고려대 역사연구소와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의 이 과제 수행팀은 대상으로 삼는 19세기 후반에서 1910년에 이르는 시기의 러시아, 중국, 일본의 각국 문서보관소의 수많은 한국관계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연구팀이 각국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 국내기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 등 현재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최대한 수집했다. 정리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일일이 참여교수들이 토론을 거친 후 한국관련 주요자료를 선별했다. 그리고 선별된 자료를 각자 전공에 맞게 분담해 맡은 분량을 번역 및 해제했다. 자료의 성격상 개인적 성과에 맡길 수 없어 일차로 번역 해제된 자료는 다시 팀 내부에서 각국의 원문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를 다시 각국 별 자료와 교차하여 검토하고 해제를 작성했다.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러시아·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관련 국가의 자료를 함께 상호 교차 검토하고, 해설적 가공을 거친 해제와 이를 교열 감수한 결과로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려 한 것이다. (책을 펴내면서 中)

목차

Ⅰ. 外務省 外交史料館
1.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177700(임오군란) 3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1. 일반
2.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178000/B03030178200(임오군란) 6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조선사변변리시말
조선변란시말을 요약해서 간편한 문서로 만드는 건 / 서언
3.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178300/B03030178400(임오군란) 8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조선사변변리시말 1 나가사키보변 / 2 시모노세키개국
4.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178500/B03030178600/ B03030178900 25
(임오군란)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2. 조선사변변리시말
3 시모노세키휘보 1 1882년 8월 10일에서 15일 / 2 1882년 8월 16일부터 25일/1 한성 상황 보고
5. 외무성외교사료관(임오군란) 49
B03030179000/B03030179100/B03030179200/B03030179300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2. 조선사변변리시말 2 협상을 명령 받음
1 명령을 받아 협상에 이르는 공신 본문/2 명령을 받아 협상에 이르는 공신 본문 별지 1 / 2 명령을 받아 협상에 이르는 공신 본문 별지 2 / 3 1882년 9월 2일부터 6일까지
6. 외무성외교사료관B03030179600/B03030179700(임오군란) 73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2. 조선사변변리시말 1 사망자 예장 / 2 흉도 형벌 받아 죽음
7. 외무성외교사료관(임오군란)B03030180000/B03030180100/ 87
B03030180200/B03030180300/B03030180400
1882년 조선사변 제 1권 2. 조선사변변리시말
1 귀국복명 2 입궐해 훈장 받음 3 초혼제사 4 영국군함에 치사 5 속약비준
8.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242900(영국의 거문도점령) 108
청일교제사 개요 4. 제4책 제14편에서 16편 3 제15편 뒷수습(善後) 상의
9. 외무성외교사료관(김옥균의 일본 망명) 129
B03030199100/B03030199300/B03030199400/B03030199500
조선망명자 김옥균 동정 관계 잡건(한성와전) 제1권 1. 한성와전 4 1882년 7월 21일부터 1886년 1월 25일 / 2. 일본에 잠복 1 1884년 12월 20일부터 1886년 1월 20일 / 2 1885년 12월 29일부터 1886년 3월 31일 / 3. 한성소변 및 구리노서기관 조선으로 출발 1 1885년 12월 14일부터 12월 21일
10. 외무성외교사료관(김옥균의 일본망명) 176
B03030200600/B03030200900/B03030201300
조선망명자 김옥균의 동정관계잡건(한성와전) 제2권
2. 오오이 겐타로 등 관계 건 1 1885년 8월 19일부터 12월 15일
3. 한인 지운영 관계 건 2 1886년 7월 18일부터 1887년 1월 10일
4. 김옥균 본방 퇴거 건 3 1886년 8월 14일부터 1887년 7월 30일
11. 외무성외교사료관(김옥균의 일본망명) 207
B03030201800/B03030202000/B03030202100
조선망명자 김옥균의 동정관계잡건(한성와전) 제3권
1 한인에 관한 경시청 및 효고현청으로부터의 보고 2 1885년 12월 19일부터 1886년 9월 18일
3 김옥균암살 기도자 도래 풍기 및 김학우 동정
4 오가사와라에서 홋카이도로 이동 이후 동정
12. 외무성외교사료관 B03030202200(김옥균의 일본망명) 227
5. 김옥균암살 및 흉행자 홍종우에 관한 건 /1 1894년 1월 31일에서 4월 4일

Ⅱ. 國立公文書館
1. 국립공문서관 A01100281700/A01100278100/A0110027 245
8200/A01100278700/A03023658600(영국의 거문도점령)
영·러 양국 관계에 관한 순양 시찰을 위해 군함 1척 파견 건 / 러시아 새로이 조선근해 섬 하나 점령 건, 위와 같음(청영동맹 및 조선국 진보 초역 건) / 영·러사건 해결에 이르지 못하는 장애요점 건, 위와 같음(청영동맹 및 조선국 진보 초역 건) / 거문도수병 건, 차이나 오버 랜드 트레이드 리포트 초역 / 인천주재 가이몬함장 마쓰무라 중함대사령관의 보고 대원군귀국 등 풍설 건
2. 국립공문서관 A03023064800/A03023065100/A03023065600 256
오가사와라에 있는 조선국인 김옥균을 홋카이도로 이전시키는 건
조선국인 김옥균 단속에 관한 건
조선국인 김옥균 취급에 관한 건

Ⅲ. 防衛省 防衛硏究所
1. 방위성방위연구소C11019484000/C10101743200/C10101743900/ 263
C10101746900/C10101769700/C11019519300/C10101881100
/C10101808600/C10101812200/C10101866400(영국의 거문도점령)
2월 16일 한성 근황 보고 건 인천닛신함장
6월 3일 가와무라 해군경, 가이몬함 거문도 출발 건 별지 대로 마쓰무라 사령관으로부터의 전보
6월 19일 청 상해 외국군함 출입 운운 보고, 반죠함
6월 28일 외국군함 정박 및 발착 보고서
1885년 7월 8일 전신역, 가이몬함 해밀턴섬 근해로 회항 운운 건
7월 13일 상해 정박 외국군함 발착 보고
7월 20일 근황보고 세이키함장
7월 27일 상해항 정박 외국군함 출입
8월 15일 한국어통역 승조 건 어학생 미무라 시게지로
1885년 8월 16일 조선국 거문도에서의 영국인 거동 보고
9월 11일 나가사키 및 상해 출입 외국군함 건
10월 11일 인천정박 반죠함장으로부터 견문 보고 건
10월 18일, 반죠·모?함 양함의 발착 건
12월 5일, 외국군함 출입항 신고 건
2. 방위성방위연구소 C11019484600(영국의 거문도점령) 277
1885년 7월 28일, 에이리죠야신문 722호에 거문도 실황이라는 제목의 1항 게재 건
3. 방위성방위연구소 C11081377300(영국의 거문도점령) 281
쓰시마 개척에 관한 나가사키현령의 건의

저자소개

저자 김성혜는 1971년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한국근대사를 전공한 후, 일본의 히토쓰바시(一橋)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을 거쳐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재위전기 고종의 통치활동』(2013), 「1890년대 고종의 통치권력 강화 논리―군부론과 군사론」(2011), 「일본망명자 김옥균 송환을 둘러싼 조·일 양국의 대응」(2014), 「한국근대전환기 군민공치 논의에 대한 일고찰」(2015) 등이 있다.

도서소개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시리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