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7  일본편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7 일본편

  • 이홍락
  • |
  • 선인
  • |
  • 2017-03-10 출간
  • |
  • 264페이지
  • |
  • 158 X 231 X 25 mm /545g
  • |
  • ISBN 979116068055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갈등과 분쟁의 역사를 겪어왔던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동아시아 사회는 현재 동아시아 사회에도 영향을 주어 국가 간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상호 소통을 통한 화해와 공존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근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은 현재 동아시아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현재적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다.
근대 한국사회 연구의 기초가 되는 동아시아 각국 자료의 경우, 국가에 따라 수집과 정리의 수준은 다르지만, 국내에서도 아직은 체계적 이용에 한계가 있다. 물론 중국과 일본의 경우 현지에서 발간된 자료집 이용과 개인적 수집을 통한 꾸준한 연구로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각국 자료의 비판적 교차검토를 통해 얻어진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과 보편성은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국사적 자료수집과 역사서술만으로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고려대 역사연구소와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의 이 과제 수행팀은 대상으로 삼는 19세기 후반에서 1910년에 이르는 시기의 러시아, 중국, 일본의 각국 문서보관소의 수많은 한국관계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연구팀이 각국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 국내기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 등 현재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최대한 수집했다. 정리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일일이 참여교수들이 토론을 거친 후 한국관련 주요자료를 선별했다. 그리고 선별된 자료를 각자 전공에 맞게 분담해 맡은 분량을 번역 및 해제했다. 자료의 성격상 개인적 성과에 맡길 수 없어 일차로 번역 해제된 자료는 다시 팀 내부에서 각국의 원문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를 다시 각국 별 자료와 교차하여 검토하고 해제를 작성했다.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러시아·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관련 국가의 자료를 함께 상호 교차 검토하고, 해설적 가공을 거친 해제와 이를 교열 감수한 결과로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려 한 것이다. (책을 펴내면서 中)

목차

Ⅰ. 外務省外交史料館
1. 外務省外交史料館 B03030202700 3
아오키 대신의 의견, 〈동아시아 열국의 권형〉
2. 外務省外交史料館 B03030204700 16
동학당 변란 때 한국보호에 관한 청·일 교섭관계의 건 제1권 1. 1894년 6월 4일부터 6월 6일까지
3. 外務省外交史料館 B03030204900 23
동학당 변란 때 한국보호에 관한 청·일 교섭관계의 건 제1권 3. 1894년 6월 7일부터 6월 15일까지
4. 外務省外交史料館 B03030400100 36
한국에서 유럽 각국으로 공사를 파견하는 건에 관해 이홍장과 협의하기 위해 밀사 변원규를 청으로 보낸 건
5. 外務省外交史料館 B04011010400 44
경성 원산 간 전선 가설의 건(러한 간 전신 통련에 관한 건)
6. 外務省外交史料館 B07080085300-B07080085400 66
일한통어규칙 분할(1-2)
7. 外務省外交史料館 B07090213400 114
조선주재 러·미 양국공사 호위병 설치에 관한 발의의 건
8. 外務省外交史料館 B10074325600 117
조선국 인천항 거류 일본상법회의소 설립의 건
9. 外務省外交史料館 B10074440100 143
조선국 부산 거류 일본인 진주 통영지방에서의 화물 매매에 관해 재조선 일본공사 보고의 건
10. 外務省外交史料館 B10074441800 147
조선국에서의 내지행상론에 관해 재인천 부영사로부터의 송치의 건
11.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390700 163
부산 근방 시장에서 조선산 생우 매도 금지의 건 1889년
12.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874300 167
조선인의 밭벼 청구의 건 1880년
13.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877800 170
벼 종자 및 고구마 종자 구입에 관한 조선정부로부터의 의뢰의 건(1893년 12월)
14.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941800 173
조선국에서 수확하는 누에고치 산액 등 조사에 관한 효오고현 사람 이토오의 출원의 건 1888년
15.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965900 175
조선국에서의 일본산 무명 판로 조사에 관한 공무국장으로부터의 의뢰의 건(1886~1888년)
16.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966600 183
조선국 원산항에서의 일본산 백목면 및 감색 무명(織紺) 상황(商況)에 대한 오카야마현 사람 우스이(?井廣藏)로부터의 출원의 건(1889년)
17.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0967300 186
조선국산 목면에 관한 사항 보고의 건, 교토부민 마미야가 출원한 건 1890년
18.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1779300 188
조선국에서 생산하는 다시마 산지 산액 품질 조사에 관해 농상무성으로부터의 의뢰의 건 1890년
19.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1792600 193
조선국 연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의 어업규칙에 관한 톳토리현 지사로부터의 문의의 건 1889년
20.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1792800 203
조선국 경성 해산회사의 함경도 북청지방 명태 어획에 관한 재 원산영사로부터의 보고의 건 1890년
21. 外務省外交史料館 B11091794200 205
고래포획 특허의 건 부산총영사의 문의 및 회훈 1893년
22. 外務省外交史料館 B11100734300 209
조선국 원산에서 종이 매매 첩수 및 해외 산지에 상점을 개설하는 일본인의 이름 등 흥업의회로부터의 질의의 건
23. 外務省外交史料館 B11100734700 213
청·조 양국산 유지 가격 조사에 관해 홋카이도민 이시하라(石原正三?)로부터의 출원의 건 1892년

Ⅱ. 國立公文書館
1. 國立公文書館 A01100179500(公02452100) 221
조선국 정부 전단 과세의 건
2. 國立公文書館 A01100229500(公03230100) 230
제 1호 조선국 견문 제반 상황의 건
3. 國立公文書館 A01100229600(公03230100) 235
제2호 동상(조선국 견문 제반 상황의 건)
4. 國立公文書館 A03023658600(別00127100) 238
재인천 가이몬함장 마츠무라 중함대사령관 보고 대원군 귀국 등 풍문의 건

Ⅲ. 防衛省防衛?究所
1. 防衛省防衛?究所C10101602900/C10072784600/C10101713600/ 243
C10101725300/C11019484000/C10101743200/C10101743900/
C10101746900/C10101769700/C11019519300/C10101881100/
C10101808600/C10101812200/C10101866400
2월 16일 한성 근황 보고 건 인천닛신함장
6월 3일 가와무라 해군경, 가이몬함 거문도 출발 건 별지 대로 마츠무라 사령관으로부터의 전보
6월 19일 청 상해 외국군함 출입 운운 보고, 반죠함
6월 28일 외국군함 정박 및 발착 보고서
1885년 7월 8일 전신역, 가이몬함 해밀턴섬 근해로 회항 운운 건
7월 13일 상해 정박 외국군함 발착 보고
7월 20일 근황보고 세이키함장
7월 27일 상해항 정박 외국군함 출입
8월 15일 한국어통역 승조 건 어학생 미무라 시게지로
1885년 8월 16일 조선국 거문도에서의 영국인 거동 보고
9월 11일 나가사키 및 상해 출입 외국군함 건
10월 11일 인천정박 반죠함장으로부터 견문 보고 건
10월 18일, 반죠·모?함 양함의 발착 건
12월 5일, 외국군함 출입항 신고 건
2. 防衛省防衛?究所 C11019484600 257
1885년 7월 28일, 에이리죠야신문 722호에 거문도 실황이라는 제목의 1항 게재 건
3. 防衛省防衛?究所 C11081377300 261
쓰시마 개척에 관한 나가사키현령의 건의

저자소개

저자 이홍락은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
전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전)한일장신대학교 교수
한국경제사가 전공이며 주요 논저로는 ?한국근대경제사 연구의 성과?, ?한국사ㆍ14-식민지시기의 사회경제?, ?아시아 소수민족 연구―해외 디아스포라 한인을 중심으로?, ?식민지기 조선내 미곡유통?, ?내재적 발전론 비판에 대한 반비판?, ?다산 정약용과 생명경제?, ?민족경제론의 현재적 의의? 등이 있고 ?전체주의의 시대경험?(藤田省三), ?우리끼리 만들어서 쓰는 돈?(西部 忠) 등의 번역서가 있다.

도서소개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시리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