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6  중국편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 6 중국편

  • 윤한택
  • |
  • 선인
  • |
  • 2017-03-10 출간
  • |
  • 425페이지
  • |
  • 159 X 231 X 29 mm /769g
  • |
  • ISBN 9791160680546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갈등과 분쟁의 역사를 겪어왔던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동아시아 사회는 현재 동아시아 사회에도 영향을 주어 국가 간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상호 소통을 통한 화해와 공존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근대 동아시아 국가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은 현재 동아시아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현재적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다.
근대 한국사회 연구의 기초가 되는 동아시아 각국 자료의 경우, 국가에 따라 수집과 정리의 수준은 다르지만, 국내에서도 아직은 체계적 이용에 한계가 있다. 물론 중국과 일본의 경우 현지에서 발간된 자료집 이용과 개인적 수집을 통한 꾸준한 연구로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각국 자료의 비판적 교차검토를 통해 얻어진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과 보편성은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국사적 자료수집과 역사서술만으로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고려대 역사연구소와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의 이 과제 수행팀은 대상으로 삼는 19세기 후반에서 1910년에 이르는 시기의 러시아, 중국, 일본의 각국 문서보관소의 수많은 한국관계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연구팀이 각국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 국내기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 등 현재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최대한 수집했다. 정리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일일이 참여교수들이 토론을 거친 후 한국관련 주요자료를 선별했다. 그리고 선별된 자료를 각자 전공에 맞게 분담해 맡은 분량을 번역 및 해제했다. 자료의 성격상 개인적 성과에 맡길 수 없어 일차로 번역 해제된 자료는 다시 팀 내부에서 각국의 원문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를 다시 각국 별 자료와 교차하여 검토하고 해제를 작성했다.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러시아·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관련 국가의 자료를 함께 상호 교차 검토하고, 해설적 가공을 거친 해제와 이를 교열 감수한 결과로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려 한 것이다. (책을 펴내면서 中)

목차

Ⅰ.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1.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1 3
예부 건의 안건, 조선국이 서양국에 사신을 파견할 때 먼저 허락을 받을 것
2.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2 31
박정양의 장정 위반
3.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3 73
조선이 미국에 사신을 파견
4.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4 81
조선 주미사신 박정양 휴가 환국
5.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5 113
한국정부 및 외서에 한아조약 미확정 부분 및 향후 제정할 행선장정을 우선 발송하니 귀국하여 제출·열람하도록 조회한 안건
6.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09 120
이하응 호송 환국 안건
7.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6-10 121
중·한 간 의논·제정한 3단서
8.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1 135
중한육로통상장정 및 태서 각국과의 조약 의논 안건
9.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2 153
영국 해군이 거문도에서 철수함
10.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3 169
역인을 각처에 파견, 소방한 안건
11.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4 173
조선남도 흉년, 미국 사신의 구휼 요청에 반박한 안건
12.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6 176
조선의 서양 차관 논의
13.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7 181
미·일·비 파견 사신, 일본 경유 미국 도착 날짜 및 처리 현안 보고
14.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08 185
조선과 오국 간의 조약 체결 협상 공문
15.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7-10 190
원세개가 주한일본공사와 해관에 대해 토론한 사안
16.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8-01 197
길림·조선의 토문강 경계터 감정 사안
17.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9-01 234
인천 각국 조계 안건
18.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9-03 281
원산·부산 화상조계 지가
19.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19-04 301
인천 화상 조계 확충
20.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0-01 312
조선의 평양 개항 논의
21.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1 322
해관 중과세 화상을 외서에 공문 시달하여 장정을 준수하여 처리하도록 지시한 사안
22.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2 342
장정 판례 … 각 항구에 비용징수장정 준수 지시
23.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3 352
장정 판례 … 인천·부산·원산 3항구 정박상선장정(부록 지도 1장)
24.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4 359
장정 판례 … 병·상선 왕래 전염병예방장정
25.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5 369
장정 판례 … 마포범선조사장정 및 직원 설치
26.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08 376
한국 외무관서가 화상을 용산으로 이전하도록 요청
27.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10 389
원산 보고 … 러시아인 다라극위적이 원산 중화 조계 이전 해관 공지에 공사를 설치할 것을 요청 … 선박을 파견하여 한국으로 가려고 함
28.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11 394
일본 상인이 조선 윤선을 임차, 철도 무역을 독점함
29.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16 398
각 항구 상업 정황 … 원산 상업
30.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18 405
한국 소재 일본조계에서의 화상 무역 안건
31.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1-21 408
한성 화상 잠시 이전 사안
32.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2-06 409
서양상인이 조선 상품을 중국으로 운반하여 징세하는 정황
33.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4-02 412
재한 수군 저탄창고 설립 사안
34.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4-04 413
강제 등 병선의 석탄 운반 각 사안
35.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29-03 415
원산위원이 상인에게 호조를 발급하여 러시아 조계에서 무역할 것을 요청
36.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30-30 419
원산좌탐위원 보고, 러시아 선박이 영흥에서 침몰, 가서 탐지할 것을 전통으로 지시
37.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30-38 423
화상, 불통상항에 불법진입, 압수
38. 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案館 01-41-035-01 428
원산 보고, 일본 저탄소가 공로를 점거

저자소개

저자 윤한택은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연구교수(현)
서울대, 고려대 등 강사 역임
고려대학교 사학과 문학박사

도서소개

『근대동아시아 외교문서 해제』시리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련 자료는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한국의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고,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구축해 왔다. 하지만 연구의 축적에 비해 한국이나 동아시아의 역사상을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동아시아 각국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텍스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각국 자료를 교차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한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이고, 이 책의 간행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