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주민 전체의 질환·장애·사고·조기사망 예방을 통한 전 국민의 삶의 질 제고 및 건강수명 연장을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 영역이 ‘공중보건학’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 최초 감염자가 확인되었고, 같은 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이 다수 발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감염병 관리대책도 새로 정비되었다. 또, 우리나라 국민의 맞춤식 영양관리를 위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이 2015년 새롭게 개정되었고,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분야별 관리목표도 일부 조정되었다.
이에 초판 발간 이후 변화된 공중보건학 관련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근 발표된 보건통계자료까지 모두 포함하여 2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2판의 내용은 초판과 같이 환경보건, 역학 및 질병 관리, 보건 관리 분야로 크게 분류되어 있다. 환경보건 분야에서는 식품위생과 환경위생 관리, 산업보건 관련 내용을, 역학 및 질병 관리 분야에서는 역학, 전염병과 비전염병 관리, 기생충 관리에 대해, 보건 관리 분야에서는 보건행정, 학교보건, 모자보건, 노인보건, 정신보건, 보건영양, 보건교육과 보건통계 등을 중심으로 하여 총 14장으로 구성하였다. 이외에 위생사 면허와 보건교육사 자격시험뿐만 아니라 각종 국가 공무원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포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