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

  • 김경만
  • |
  • 아카넷
  • |
  • 2015-07-01 출간
  • |
  • 272페이지
  • |
  • 152 X 225 X 20 mm /636g
  • |
  • ISBN 9788957334256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의 개요]
이론이 실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 20세기 최고의 이론가들인 하버마스와 로티가 벌인 논쟁을 다룬 책이 출간되었다. 저자 김경만 교수가 10년 넘게 하버마스의 이론과 로티철학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거쳐 얻어낸 산물이다. 이 책은 미국과 영국의 권위 있는 사회과학철학 학술지인 Human Studies 와 Theory, Culture & Society 에 실렸던 두 편의 논문에 기초하고 있다.

진리의 성격에 관한 하버마스-로티 논쟁을 통해
실천과 유리된 비판이론의 맹점을 드러내다


이론이 실천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즉 이론의 공적 유용성에 대해 하버마스와 로티가 지난 20년간 벌여 온 논쟁을 담고 있는 이 책은 단지 그들의 논쟁을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구 학계에서도 논의가 거의 없었던 지점, 즉 그 둘의 논쟁점이 무엇인지, 이들의 철학적 논쟁이 구체적으로 문화변동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천착한다. 그럼으로써 문화사회학자인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화용론과 로티의 맥락주의적 철학을 연결시켜, 왜 하버마스 식의 비판이론이 실천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힘을 발휘할 수 없는가를 논증하고 있다. 나아가 사회학화된 로티 철학으로서의 문화화용론이 실제로 어떻게 문화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우리에게 친숙한 ‘효도’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한편 진리의 성격에 관한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은 우리나라는 물론 서구에서조차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저자는 하버마스와 로티 간의 매우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주장들이 ‘실제 실천의 맥락’ 혹은 ‘행위의 맥락’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실천과 ‘유리된’ 비판이론의 맹점을 드러냈다는 면에서 이 책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의 핵심, ‘가상 참여 방법론’을 통해
이론가의 역할에 대한 논증 전개


이 책의 앞부분은 마르크스, 루카치, 호르크하이머 그리고 아도르노의 비판이론 전통 안에서 시작한 하버마스가 『지식과 이해관심』에서 프로이트의 심리치료모형을 비판이론의 기초로 수용하고, 이후 이를 수정하고 보편화용론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어떻게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도달할 수 있었는가를 추적하여 특히 의사소통 행위이론의 핵심이지만 국내는 물론 서구학계에서도 지금까지 제대로 이해되지 못했던 하버마스의 소위 “가상 참여 방법론”(methodology of virtual participation)을 상세하게 논함으로써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이론가의 역할에 대한 하버마스의 주장을 정치하게 논증하고 있다.
동시에 저자는 재현주의에 입각한 하버마스의 가상참여 방법론과, 언어를 하나의 적응 도구로 보는 로티의 실용주의 철학을 충돌시킴으로써 왜 실제 실천의 맥락에서는 가상참여 방법론이 하버마스가 상정한 방식대로 작동할 수 없는가를 구체적인 예들을 사용해서 논의한다.

로티, 새로운 언어(어휘)로 생활세계를 새롭게 묘사하는 것이
문화변동의 시발점


언급한 구체적인 사례들은 문화변동은 ‘초문화적인’ 이론적 논증의 합리적 결과로서 논리적으로 연역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데 이는 문화변동이 주어진 문화 내에서 고통 받고 소외된 사람들의 세계를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언어 혹은 어휘를 통해서 새롭게 묘사함으로써 이들의 고통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사회의 결속력을 증진함으로써만이 가능하다는 로티의 주장과 맞물려 있다.

새로운 언어(어휘)를 창출하고 도입함으로써 이전 세대의 사회적·정치적 실천 안에 깊이 녹아들어 있던 고통과 모욕 그리고 차별 등을 줄여 없앨 수 있다는 것이 로티가 이들 사적 철학자에게―만약 철학의 기능을 굳이 얘기해야 한다면―부여하는 최대한의 기능이다. (176쪽)

비판사회과학의 새로운 이정표,
부르디외의 사회학 비판서 출간 예정


아카넷에서 출간된 이 책은 연극학, 공연학, 비판적 민속지를 포함한 ‘연행적 사회과학’에 대한 논의가 첨가되어 『기준 없는 비판: 비판사회이론의 새로운 지평(Criticism without Criteria: New Directions in Critical Social Theory)』이라는 제목으로 영미권에서 출판될 예정이다. 한편 저자는 계급과 문화 연구에 국한되어 온 부르디외의 연구를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발전시켜 그의 자연과학철학과 사회과학철학을 대비시키는, 그럼으로써 비판사회과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책의 출간을 준비하고 있다.

[각 장의 내용]
이 책의 1장(「현대성과 비판이론」)에서는 자본주의에 관한 비판적 논의에서 가장 첨예한 문제로 떠올랐던 도구적 이성비판을 마르크스와 루카치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창시자였던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로 이어지는 지적 계보를 추적하면서 살펴본다. 특히 이러한 지적 계보는 하버마스의 문제의식을 이해하고 조명하는 2장으로 연결된다.

2장(「계몽주의에 대한 하버마스의 옹호」)에서는 하버마스가 어떻게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을 비판함으로써 소위 ‘계몽주의의 마지막 옹호’라 불리는 의사소통 행위 이론에 도달했는가를 분석한다.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대한 비판과 가다머, 윈치, 가핑클 등이 제시한 해석학적 관점에 대한 비판을 통해 하버마스 이론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어 3장(「현대성과 계몽주의에 대한 리처드 로티의 포스트모던 비판」)에서는 로티가 새로운 실용주의를 제시하면서 어떻게 하버마스 류의 보편 이론을 넘어서려 했는가를 살펴본다. 리처드 로티의 소위 ‘재현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을 비롯해 콰인·셀라즈 등의 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로티가 어떻게 이원론적 인식론, 정초주의 인식론을 비판했고 그 결과 철학의 성격에 대한 혁명적 주장을 어떻게 펼치게 되는가를 논의한다.

4장(「현대성, 합리성, 문화 변동에 대한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에서는 하버마스와 로티의 철학을 ‘충돌’시킴으로써 이들의 이론이 가지는 첨예한 대립 구도를 세 영역에서 살펴보고 마지막 5장(「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서는 하버마스-로티 논쟁을 구체적인 사례 연구, 즉 과연 특정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진리 기준이 얼마나 보편화 될 수 있는가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분석하고, 과연 이 논쟁이 우리에게 남겨주는 과제가 무엇인가를 제시하면서 책을 마무리 한다.

결론(「논증의 공간에서 연행의 공간으로」)에서는 하버마스와 로티 논쟁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우리가 문화·정치·사회를 좀 더 자유롭고 속박이 없는 방향으로 어떻게 이끌어갈 수 있는가를 성찰한다. 구체적으로 문화 변동은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논증보다 로티가 강조하는 정서·감성·감정을 담고 있는 여러 매체들(소설, 드라마, 혹은 에스노그래피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대한 희망을 창출하고, 그러한 사회적 희망에 기초해 결속력을 증진함으로써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로티철학의 사회학적 버전인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연행이론’을 통해서 예시하고 있다.

한편 이 책의 후기 〈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또 다른 논쟁〉에는 『이론, 문화 그리고 사회(Theory, Culture & Society)』에 게재된 저자의 논문이 7명의 심사자들로부터 어떤 반응을 이끌어냈는가, 그리고 나아가 필자가 이들의 비판에 어떻게 답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독자들이 현대 사회·정치이론의 중심부에서 벌어진 하버마스·로티 논쟁의 핵심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책속으로 추가
하버마스는 타당성 주장의 맥락 초월적인 성격, 즉 위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이론적 검증만을 강조한 나머지 어떻게 일상적인 실천의 일부분이 ‘문제화’되고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 전혀 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로티의 하버마스 비판의 요체다.(183쪽)

문화 변동에 있어서 이론이, 특히 철학과 사회이론이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가? 로티가 주장하듯이 하버마스와 그의 차이는 아주 미세한 부분에서 발견될 수 있을 뿐인데, 바로 그 미세한 부분이 위에서 논의한 하버마스의 ‘보편성’에 대한 옹호 혹은 집착이라 할 수 있다(225쪽)

로티에게 있어 문화 변동의 시발점은 ‘논리’가 아니고 ‘정서’다. 다시 말하면 ‘상상력을 통해서’ 고통받는 사람들과의 ‘동일화’를 이루어낼 때 문화 변동은 가능한 것이다. (233쪽)

이론이 살아서 움직이고 실제 세계와의 접점을 갖도록 하는 길은 결국 이론 대신 새로운 어휘로 구성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지금까지 우리의 일상에서 ‘당연시’ 되어왔던 구분과 분류 그리고 그에 기초한 화석화된 실천―기존의 생활세계에서 우리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하는 일상적 이해의 방법(ethnomethods)―에 대한 ‘저항’을 끊임없이 만들어나가는 데서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236쪽)

문화 변동의 요인을 공적 영역에서의 합리적 논쟁을 통한 타당성 주장의 논리적 상환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 하버마스와 달리 알렉산더는 “보다 더 사회학적인 관점”을 옹호하면서, 문화 변동은 실제 행위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유·생각·상상 등을 사회적 연행을 통해 상대방으로 하여금 받아들이도록 ‘설득’해나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240쪽)

목차

서론 하버마스, 로티 그리고 두 종류의 대화 철학 | 7

제1장 현대성과 비판이론 | 27

1.1 계몽주의와 그 이후: 마르크스, 루카치, 아도르노 | 29
1.2 마르크스의 소외이론 | 31
1.3 루카치와 헤겔화된 마르크시즘 | 35
1.4 계몽의 변증법: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 42

제2장 계몽주의에 대한 하버마스의 옹호: 합리성과 합리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 53
2.1 하버마스와 프랑크푸르트 학파: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 | 55
2.2 해석학과 비판이론: 하버마스의 해석학과 민속방법론 비판 | 65
2.3 심리치료모형과 비판이론:『지식과 이해 관심』에서 『의사소통 행위이론』으로 | 75
2.4 보편 화용론 | 88
2.5 이해와 진리의 대화 모형: 가상적 참여와 의사소통 행위이론 | 97

제3장 현대성과 계몽주의에 대한 리처드 로티의 포스트모던 비판 | 115
3.1 로티의 반플라토니즘과 인식론 비판 | 117
3.2 로티, 다윈 그리고 적응도구로서의 언어 | 127
3.3 적응도구로서의 언어와 상대주의 | 136
3.4 철학과 사회 이론의 역할 | 138
3.5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언어와 문화 변동에 관한 로티의 관점 | 145

제4장 현대성, 합리성, 문화 변동에 대한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 | 163
4.1 사적/공적 영역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논쟁: 주관성의 철학 대 상호주관성의 철학 | 170
4.2 이론의 역할에 대한 논쟁: 이론에 의한 이데올로기 비판은 가능한가? | 175
4.3 특정 공동체 기준과 보편적 기준에 대한 논쟁 | 186

제5장 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 | 201
결론 논증의 공간에서 연행의 공간으로 | 223
후기 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또 다른 논쟁 | 251
감사의 글 | 265
찾아보기 | 267

저자소개

저자 김경만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현대사회이론, 과학·지식사회학, 사회과학철학을 전공하고 1989년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Human Studies, Social Studies of Science, Qualitative Inquiry, Theory, Culture & Society 등 유럽과 미국의 저명 학술지에 많은 논문을 실어왔고 Social Epistemology, Minerva, Theory, Culture & Society, International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등의 논문심사를 맡아왔다. 저서로는 Explaining Scientific Consensus: The Case of Mendelian Genetics (New York: Guilford, 1994), 『과학지식과 사회이론』(한길사, 2004),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 출간된 『담론과 해방: 비판이론의 해부』(Discourses on Liberation: An Anatomy of Critical Theory, Boulder: Paradigm, 2005; 궁리, 2005),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문학동네, 2015) 등이 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며, 캐나다 학술지 Today Social Science 편집위원이기도 하다. 2008년에는 『담론과 해방: 비판이론의 해부』로 한국사회학회 저술상을, 2009년에는 한국 최고 권위의 학술상으로 자리매김한 경암학술상(인 문·사회부문)을 수상하였다. 2001년과 2014년 두 번에 걸쳐 풀브라이트 학자로 선정되었고 2015년 말부터 예일 대학교의 문화사회학 연구소 소장인 제프리 알렉산더 교수 초청으로 비판이론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연구를 함께할 예정이다

도서소개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은 이론이 실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 20세기 최고의 이론가들인 하버마스와 로티가 벌인 논쟁을 다룬 책이다. 미국과 영국의 권위 있는 사회과학철학 학술지인 Human Studies 와 Theory, Culture & Society 에 실렸던 두 편의 논문에 기초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