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총독의 편지

조선총독의 편지

  • 김경남
  • |
  • 선인
  • |
  • 2015-09-15 출간
  • |
  • 579페이지
  • |
  • 163 X 232 X 36 mm /945g
  • |
  • ISBN 9788959339259
판매가

46,000원

즉시할인가

44,6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4,6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한국은 서양제국주의의 아시아 식민지쟁탈전과 일본제국주의 대륙침략정책에 휘말려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근대사는 평화공존을 위한 역사가 아니라 전쟁을 위한 지배와 피지배라는 구조로 재편되어 버렸다. 이 때문에 이 시기 역사를 연구할 때는 반드시 일본어와 일본어 초서를 공부해야만, 공문서와 사문서로 된 역사자료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이것이 이 책을 출간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이번에 출간하게 된 이 책은 1936년 8월부터 1942년 5월까지 경성에 있던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南次?)가 조선총독부 도쿄(東京)출장소에 있던 오노 로쿠이치로(大野?一?) 정무총감에게 보낸 편지를 정자체로 바꾼 것이다. 이 편지들은 다른 200여 통과 함께 편지시리즈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일본 국회도서관의 「오노 로쿠이치로 문서(大野?一?文書)」 콜렉션 속에 다른 문서시리즈와 함께 보존되어 있다.
이 편지들은 미나미가 총독으로 부임하고 퇴임할 때까지 약 6년간 중요한 정책과 인사문제 등에 대한 비밀스런 의견을 보낸 것이다. 주요 내용은 조선인 교육문제, 중일전쟁과 관련된 공업 및 광업 등 경제상황, 만주개발에 따른 조선역할, 동양척식(주) 및 조선인 고위직 인사문제, 제국의회예산편성, 미ㆍ일의 외교문제 등과 관련된 것이다. 이 편지들은 당시 일본 제국과 조선 식민지라는 관계하에서 한반도 정책이 일방적으로 결정되었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해준다. 현재 시점에서 보면 대통령이 총리에게 직접 보낸 탑시크리트 편지들로서 편지형식을 띤 공문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지류의 번각과 탈초는 향후 근대사 연구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리라 기대된다. (서문 中)

목차

-서문| 근대사 사료연구의 기초
-서문| 일본초서 해독과 한국근대사 연구
-일본초서 편지 읽는 법
-범례
-해제

조선총독의 편지
板垣征四? → 南次?(1936. 8. 7) / 國會圖書館 番號 81-55
南次? → 大野?一?(1936. 11. 17) / 國會圖書館 番號 81-25
南次? → 大野?一?(1936. 11. 17) / 國會圖書館 番號 81-44
南次? → 大野?一?(1936. 12. 15) / 國會圖書館 番號 81-24
南次? → 大野?一?(1936) / 國會圖書館 番號 81-41
南次? → 大野?一?(1937. 1. 12) / 國會圖書館 番號 81-51
南次? → 大野?一?(1937. 1. 16) / 國會圖書館 番號 81-4
南次? → 大野?一?(1937. 2. 10) / 國會圖書館 番號 81-5
林銑十郞 → 結城豊太郞(1937. 3) / 國會圖書館 番號 81-40
南次? → 大野?一?(1937. 11. 21) / 國會圖書館 番號 81-47
賀屋興宣 → 南次?(1937. 11. 18) / 國會圖書館 番號 81-47 別紙
南次? → 大野?一?(1937. 11. 26) / 國會圖書館 番號 81-45
南次? → 大野?一?(1937. 11. 27) / 國會圖書館 番號 81-46
大谷尊由 → 南次?(1937. 11. 4) / 國會圖書館 番號 81-46 別紙
南次? → 大野?一?(1937. 12. 3) / 國會圖書館 番號 81-19
南次? → 大野?一?(1937. 12. 13) / 國會圖書館 番號 81-17
南次? → 大野?一?(1938. 2. 1) / 國會圖書館 番號 81-33
南次? → 大野?一?(1938. 2. 9) / 國會圖書館 番號 81-50
安達謙? → 南次?(1938. 2. 1) / 國會圖書館 番號 81-50 別紙
筑紫熊七 → 南次?(1938. 2. 5) / 國會圖書館 番號 81-50 別紙
南次? → 大野?一?(1938. 3. 1) / 國會圖書館 番號 81-38
南次? → 大野?一?(1938. 3. 7) / 國會圖書館 番號 81-37
南次? → 大野?一?(1938. 3. 23) / 國會圖書館 番號 81-34
南次? → 大野?一?(1938. 3. 27) / 國會圖書館 番號 81-32
南次? → 大野?一?(1938. 3. 30) / 國會圖書館 番號 81-49
幸雄 → 南次?(1938. 3. 26) / 國會圖書館 番號 81-49 別紙
?玉秀雄 → 南次?(1938. 3. 27) / 國會圖書館 番號 81-49 別紙
南次? → 大野?一?(1938. 4. 4) / 國會圖書館 番號 81-31
南次? → 大野?一?(1938. 6. 26) / 國會圖書館 番號 81-30
大谷尊由 → 南次?(1938. 6. 23) / 國會圖書館 番號 81-30 別紙
南次? → 大野?一?(미상. 12. 6) / 國會圖書館 番號 81-2
南次? → 大野?一?(1938. 12. 9) / 國會圖書館 番號 81-3
南次? → 大野?一?(1938. 12. 19) / 國會圖書館 番號 81-48
南次? → 大野?一?(1939. 1. 29) / 國會圖書館 番號 81-10
南次? → 大野?一?(1939. 2. 25) / 國會圖書館 番號 81-27
南次? → 大野?一?(1939. 3. 12) / 國會圖書館 番號 81-56
미상 → 미상(미상) / 國會圖書館 番號 81-56 別紙
南次? → 大野?一?(미상. 3. 30) / 國會圖書館 番號 81-23
南次? → 大野?一?(1939. 12. 12) / 國會圖書館 番號 81-22
南次? → 大野?一?(1940. 2. 8) / 國會圖書館 番號 81-58
南次? → 大野?一?(1940. 2. 15) / 國會圖書館 番號 81-59
미상 → 미상(1940. 2. 11) / 國會圖書館 番號 81-59 別紙
南次? → 李垠(1940. 2. 15) / 國會圖書館 番號 81-59 別紙
南次? → 大野?一?(1940. 2. 19) / 國會圖書館 番號 81-35
南次? → 大野?一?(1940. 3. 23) / 國會圖書館 番號 81-29
南次? → 大野?一?(1940. 6. 14) / 國會圖書館 番號 81-57
南次? → 大野?一?(미상. 7. 5) / 國會圖書館 番號 81-36
南次? → 大野?一?(1940. 7. 10) / 國會圖書館 番號 81-26
南次? → 大野?一?(1940. 7. 11) / 國會圖書館 番號 81-42
南次? → 大野?一?(1940. 7. 17) / 國會圖書館 番號 81-7
南次? → 大野?一?(1940. 10. 15) / 國會圖書館 番號 81-8
南次? → 大野?一?(1940. 12. 20) / 國會圖書館 番號 81-9
薄田精一 → 南次?(1940. 12. 18) / 國會圖書館 番號 81-9 別紙
南次? → 薄田精一(1940. 12. 20) / 國會圖書館 番號 81-9 別紙
南次? → 大野?一?(1940. 12. 29) / 國會圖書館 番號 81-21
南次? → 大野?一?(1941. 1. 27) / 國會圖書館 番號 81-28
南次? → 大野?一?(1941. 2. 6) / 國會圖書館 番號 81-20
미상 → 미상(1941. 1. 18) / 國會圖書館 番號 81-20 別紙
南次? → 大野?一?(1941. 2. 16) / 國會圖書館 番號 81-6
南次? → 大野?一?(1941. 2. 17) / 國會圖書館 番號 81-15
南次? → 大野?一?(1941. 5. 30) / 國會圖書館 番號 81-16
外務省米一 → 미상(1941. 5. 20) / 國會圖書館 番號 81-16 別紙
南次? → 大野?一?(1941. 10. 10) / 國會圖書館 番號 81-18
南次? → 大野?一?(미상. 미상. 18) / 國會圖書館 番號 81-11
南次? → 大野?一?(1942. 2. 3) / 國會圖書館 番號 81-14
南次? → 大野?一?(1942. 2. 16) / 國會圖書館 番號 81-39
南次? → 大野?一?(미상. 2. 3) / 國會圖書館 番號 81-1
南次? → 大野?一?(미상. 9. 14) / 國會圖書館 番號 81-12
南次? → 大野?一?(미상. 6. 19) / 國會圖書館 番號 81-13
南次? → 大野?一?(미상. 미상. 21) / 國會圖書館 番號 81-43
南次? → 大野?一?(미상. 미상. 12) / 國會圖書館 番號 81-52
南次? → 大野?一?(미상. 4. 17) / 國會圖書館 番號 81-53
(南次?) → (미상. 11. 2) / 國會圖書館 番號 81-53 別紙
南次? → 大野?一?(미상. 미상. 28) / 國會圖書館 番號 81-54

-부록| 편지의 주요정보(인명ㆍ사항)

저자소개

편역 김경남은 한국근대사 전공. 호세이대학(法政大?) 겸임교수, 전주대학교 연구교수
1963년 경남 거창 출생. 경북대 출신. 부산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호세이대학(法政大?) 교수 역임
국가기록원 학예연구사
일본 국문학자료관(?文?資料館) 초빙교수
교토대학(京都大?) 각슈인대학(?習院大?) 외국인연구자 역임.

-저서
일제의 식민도시건설과 자본가(2015), 박사학위논문 일제하 조선에서 도시건설과 자본가집단망(2003), 시민을 위한 부산의 역사(공저, 2003), 부산민주운동사(공저, 1998), 地域と軍隊 帝?の最前線(공저, 2015)

도서소개

『조선총독의 편지』는 1936년 8월부터 1942년 5월까지 경성에 있던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가 조선총독부 도쿄(東京)출장소에 있던 오노 로쿠이치로 정무총감에게 보낸 편지를 정자체로 바꾼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