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위한 영토인식과 역사기억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위한 영토인식과 역사기억

  • 아시아 평화와 역사연구소 (엮음)
  • |
  • 선인
  • |
  • 2015-12-30 출간
  • |
  • 280페이지
  • |
  • 152 X 225 mm /597g
  • |
  • ISBN 9788959339518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1,78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7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인식

■ 한국의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와 과제 | 이신철
1. 머리말
2. 동아시아 공동체론의 기원, 안중근
3. 냉전시대 동아시아 인식과 아시아태평양담론
4. 탈냉전과 동아시아의 재발견
5. 현안과 과제
6. 맺음말

■ 광주의 평화 갈구(渴求)와 위기에 처한 동아시아 평화 | 서중석
1. 광주민중항쟁과 미국·일본
2. 광주민중항쟁의 정신을 이어받은 6월항쟁
3. 전 세계의 평화와 인권 확대 움직임
4. 위기에 처한 동아시아 평화
5. 우려할 만한 일본의 우경화
6. 동아시아 평화를 지키는 길

■ 일미동맹과 오키나와·괌 | 아라이 신이치(荒井信一)
1. 후텐마 기지의 현 내 이전이 어려워지다
2. 미군기지의 괌 이전과 반대 움직임
3. 싹트기 시작한 차모로인의 자주시민의식
4. 동아시아의 평화를 유지하는 길

■ ‘3·11’ 이후의 변화와 3개국에 미치는 영향 | 고모리 요이치(小森陽一)
1. 되돌아보아야 할 고이즈미 정권 10년과 ‘3·11’
2. 3·11과 8·15
3. 핵 확산 추진 세력
4. 일본이 처한 ‘언어도단의 궁상’

■ 신해혁명 100주년과 ‘아시아’연합 | 부핑(步平)
1. 상상속의 아시아: ‘아시아주의’는 한 시기 백년 이래의 이상이었다
2. 현실속의 아시아: ‘대아시아주의’가 가져다 준 역사 유감
3. 아시아의 미래는 국경을 넘어선 역사인식이 되어야

제2부 동아시아 영토문제와 영토교육

■ 한국 영토교육의 현황과 과제 | 김한종
1. 머리말
2. 지리교육에서 영토와 영토교육의 성격
3. 역사교과서의 영토 서술
4. 영토수업과 방향

■ 영토문제와 역사인식 |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1. 머리말
2. 영토문제를 생각하는 포인트
3. 이른바 ‘북방영토’: 하보마이, 시코탄, 구나시리, 에토로후
4. 독도
5. 센카쿠열도
6. 맺음말

■ 중일의 ‘댜오위다오(釣魚島) 분쟁’ 탈피 방안 | 둥융차이(董永裁)
1. 머리말
2. 역사 존중과 진상 복원
2. 현실 직시와 냉정한 사고
3. 미래 지향, 적극 대응

■ 2012년 중국 반일시위 과정의 고찰과 제언 | 리쥔링(李俊領)·쉬신거(許欣?)
1. 머리말
2. 댜오위다오 분쟁과 반일시위에 나타난 민족주의
3. 반일시위대는 댜오위다오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일까
4. 민간은 댜오위다오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 해양 영토 문제의 공동 교재 개발 연구: 한국·오키나와·타이완의 대학생 공동수업을 중심으로 | 박삼헌·야마구치 다케시(山口剛史)
1. 머리말: 프로젝트의 개요
2. 교재 개발의 포인트
3. 학생의 반응으로 보는 성과와 과제

제3부 역사기억과 과거사 청산

■ 과거사 문제의 인식과 책임론 | 김민철
1. 머리말
2. 비판 하나: 민족주의 비판론자의 인식론적 한계
3. 비판 둘: ‘책임의 동일시’에서 빚어진 면책의 오류
4. 민주화로 가는 또 하나의 길, 한국의 과거청산

■ 한일강제병합100년을 맞는 한일과거사운동의 성과와 전망: 식민주의 청산을 위한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한일시민대회’를 중심으로 | 박한용
1. 머리말
2.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의 결성
3. 한일시민 역사 합의를 위한 한일시민공동기구 결성
4. 선언문을 중심으로 본 한일시민 합의의 의미

■ 역사적 기록에 대한 감정·서술과 연구: 2006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판화사건을 생각한다 | 유원난(劉文楠)
1. MIT 판화 사건
2. 사건의 마무리와 애국주의·민족주의 논란
3. 열린 태도로 공동의 과거를 토론해야 한다

■ 역사박물관과 역사인식: 최근 한국의 두 역사박물관에 대한 비판 | 이동기
1. ‘역사박물관의 붐’을 맞이하며
2. 역사박물관의 ‘역사문화’적 성격
3. 박정희기념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비판
4. 대안적 전망과 방향

■ 국가기억과 개인기억 속의 베트남전쟁 | 한홍구
1. 머리말: ‘잊혀진 전쟁’ 베트남전쟁
2. 베트남전에 대한 사회의 기억
3. 잊혀진 기억의 성찰과 기억의 대립
4. 맺음말: 베트남과의 새로운 만남

■ 전쟁 피해와 평화적 생존권 | 나이토 미쓰히로(?藤光博)
1. 머리말
2. 일본의 전후 처리 ‘전후 보상’의 문제
3. 전쟁 피해의 실상과 평화적 생존권
4. 전쟁 피해 회복과 평화적 생존권론
5. 맺음말: 진정한 화해와 아시아의 평화 보장을 목표로

■ 난징대학살기념관의 전쟁기억과 평화 구축 | 진준봉(?俊峰)
1. 머리말
2. 난징대학살기념관에 전시된 ‘전쟁’
3. 난징대학살기념관 건축 중의 ‘전쟁’
4. 난징대학살기념관이 구축한 ‘평화’

■ 난징대학살 피해자의 PTSD | 장성(張生)

저자소개

저자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는 2001년 4월 일본 교과서의 역사왜곡을 바로잡고, 20세기 침략과 저항의 역사에 대한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인식을 만들어가기 위해 시민사회단체·학계가 모여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를 결성하였다.
2003년 동아시아의 역사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단체 이름을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로 변경하고, (사)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를 설립하여 한중일 역사인식과 교과서 문제에 대한 각종 연구사업 및 대중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신철 :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서중석 :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대표·성균관대명예교수
아라이 신이치 : 일본 이바라키대 명예교수
고모리 요이치(小森陽一) :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교수
부핑 :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김한종 :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 일본 간토가구인대학 교수
둥융차이(董永裁) :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
리쥔링(李俊領) :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쉬신거(許欣?) :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박삼헌 :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야마구치 다케시(山口剛史) : 일본 류큐대학 교육학부 교수
김민철 :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박한용(朴漢龍) :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한국실행위원회 공동운영위원장
유원난(劉文楠) :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이동기(李東奇)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 연구교수
한홍구 : 한국성공회대학교 교수
나이토 미쓰히로(?藤光博) : 센슈대학(?修大?) 법학부 교수
진준봉 : 침화일군난징대학살위난동포기념관 부관장
장성(張生) : 난징대학 교수

도서소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위한 영토인식과 역사기억』의 글들은 주로 2010년 서울에서 열린 ‘제9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평화포럼’부터 2013년 광주에서 열린 ‘제12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평화포럼’에서 발표된 글들이다. 그리고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편의 글을 더했다. 포럼의 발표들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협하거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사건들을 파헤치거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