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전략공간의 국제정치

전략공간의 국제정치

  • 조성렬
  • |
  • 서강대학교출판부
  • |
  • 2016-09-22 출간
  • |
  • 565페이지
  • |
  • 163 X 232 X 36 mm /937g
  • |
  • ISBN 9788972733171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32,0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0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북한은 정권창건일을 맞이해 제5차 핵실험을 실시하였다. 무수단 중거리미사일(IRBM), 잠수함발사미사일(SLBM)의 시험발사에 이어 금년 들어서만 두 번째 실시된 핵실험은 지금까지 정부당국자나 전문가들이 갖고 있던 북한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인식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북한 핵문제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북한의 핵능력이나 비핵화 협상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면, 이 책은 그 동안 국내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북한의 핵·미사일 전략과 독트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아울러 우리에게 생소하게 들리는 북한의 우주개발전략과 사이버전략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육상, 바다,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군비경쟁의 공간을 전통공간으로 규정하고, 과학기술의 획기적 발달과 함께 더욱 중요해진 핵, 우주, 사이버와 같은 전략공간에 대해 국제정치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이 주제에 대해 북한만이 아니라 남북한을 포함해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의 전략과 조직, 그리고 국제정치적인 의미 등을 이론과 정책의 두 가지 방면에서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신흥 핵보유국들의 등장으로 5개국의 핵독점이 깨진 데 이어, 그 동안 미국의 독점체제에 가까웠던 우주공간에서도 러시아에 이어 유럽연합국가, 중국, 일본, 인도 등이 뛰어들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민간부문에 치중되어 있던 정보기술(IT)혁명이 국가안보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어 사이버전의 길이 열렸다. 이에 따라 오늘날 국제정치의 공간은 전통공간을 넘어 전략공간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처럼 전략공간의 확대에 따라 국가안보전략의 범위와 성격도 크게 바뀌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의 국가안보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국제안보환경을 강대국 관계라는 상수가 아니라, 한국과 강대국이 포함된 전략적 상호관계로 파악하면서 새로운 외교안보전략으로서 자기주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중국의 군사적 부상과 일본의 재무장과 같은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대비하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국가안보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20년 가까이 국책연구기관에서 근무하며 정부의 정책자문을 맡아온 필자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략공간에서의 군비경쟁에 대한 분석을 넘어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특히 북한의 핵무장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3개의 화살론’, 동북아 핵균형 변화에 대한 대안으로 동북아 비핵무기지대론, 우주공간 및 사이버공간의 군비경쟁에 대해 자기주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이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국제정치의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지침이 되어 줄 것이다. 또한 당면한 북한 핵문제를 비롯해 새로운 동아시아 군비경쟁의 양상을 이해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려는 전문가들에게도 이 책은 커다란 정책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신흥 핵보유국의 등장과 북한의 핵무장
제1장 신흥 핵보유국의 등장과 전략공간의 확대
제2장 핵독점의 붕괴와 신흥 핵보유국의 등장
1. 전 세계의 핵무기 현황과 전략적 핵균형
2. 신흥 핵보유국의 등장과 핵 비확산체제의 동요
제3장 신흥 핵보유국의 등장과 지역안보 파급영향
1. 이스라엘의 핵보유국화와 중동 안보정세
2. 인도, 파키스탄의 핵개발 경쟁과 남아시아 안보정세
3. 이란의 핵개발 의혹과 핵무기 개발 포기
제4장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 현황과 전력 수준
1. 북한의 핵무기 개발 현황과 전력 수준
2.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 현황과 전력 수준
3. 향후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 방향
제 5장 북한은 신흥 핵보유국인가

제2부 북한의 핵ㆍ미사일 전략과 핵무기 사용 가능성
제1장 현실화되는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
제2장 신흥 핵보유국의 핵전략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신흥 핵보유국의 핵 독트린
2. 신흥 핵보유국의 핵 지휘통제
3. 신흥 핵보유국의 핵전략 유형과 전환
제3장 북한의 핵ㆍ미사일 전략 평가
1. 북한의 핵 독트린
2. 북한의 핵 지휘통제체계
3. 북한의 핵전략
제 4장 북한의 핵전략 전환 가능성과 예상 군사도발
1. 핵전력의 전환 가능성: 확증보복 대(對) 선제타격
2. 핵무기를 앞세운 비대칭적 군사도발 양상
제5장 우리 국가안보에 주는 시사점

제3부 동북아 핵균형 변화와 새로운 핵질서의 모색
제1장 동북아지역 전략적 핵균형의 변화
제2장 세계 차원의 전략적 핵균형과 ‘핵무기 없는 세계’
1. 핵억제 태세의 한계와 제2차 핵시대의 도래
2. ‘핵무기 없는 세계’와 NPT의 역할
3. ‘핵무기 없는 세계’로 가는 두 갈래길
제3장 동북아 지역의 핵균형 및 핵전략의 변화
1. 세계 핵대국 미?러의 동북아 핵전략
2. 지역 핵국가 중국의 핵개발 능력과 핵전략
3. 핵 문턱국가 일본의 핵개발 능력과 핵무장 가능성
4. 북한의 핵보유국 주장과 한국의 비핵화 정책
제4장 동북아의 중장기 핵질서: 한ㆍ일 핵무장인가, 비핵무기지대화인가
1. 새로운 동북아 핵질서의 모색
2. 동북아 비핵무기지대의 가능성 모색
3. 관련국들의 입장과 과제
제5장 우리 국가안보에 주는 시사점

제4부 우주공간의 군비경쟁과 우주안보
제1장 전략공간의 확대와 우주공간의 군사적 이용
제2장 우주공간의 군사적 이용과 우주 군비경쟁
1. 핵무기의 발달과 우주 군비경쟁
2. 우주공간의 무장화와 우주 군비경쟁
3. 우주공간의 무장화를 막기 위한 국제규범 문제
제 3장 동북아 4대국의 우주군사전략 및 군비경쟁
1. 미국의 우주군사전략과 우주군 전력
2. 러시아의 우주군사화전략과 우주군 전력
3. 중국의 우주군사화전략과 우주군 전력
4. 일본의 우주개발 전략과 우주군사화 동향
제4장 남북한의 우주개발 현황과 국제비교
1. 북한의 우주개발 현황과 우주군사화 실태
2. 한국의 우주개발과 우주공간의 안보적 활용 실태
3. 우주안보 역량의 국제비교
제5장 우리 국가안보에 주는 시사점

제5부 사이버공간의 군비경쟁과 사이버안보
제1장 전략공간의 확대와 사이버공간의 군사적 이용
제2장 사이버공간의 군사적 이용과 사이버 안보위협
1. 사이버공간에서의 안보위협
2. 사이버공간의 군사화와 사이버전의 진화
3. 사이버전의 교전규칙과 사이버공간의 국제규범 문제
제3장 동북아 4대국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1. 미국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2. 러시아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3. 중국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4. 일본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제4장 남북한의 사이버전 역량과 국제비교
1. 북한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2. 한국의 사이버전 전략과 역량
3. 사이버안보 역량의 국제비교
제5장 우리 국가안보에 주는 시사점

제6부 전략공간에서의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제1장 전략공간의 국제정치와 국가안보전략의 재설계
제2장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중층적 해법: 3개의 화살론
1. 정치사회적 대응전략: 벌모(伐謀)
2. 외교적 대응전략: 벌교(伐交)
3. 군사적 대응전략: 벌병(伐兵)
제3장 새로운 동북아 핵질서의 형성: 비핵무기지대 논의
1. 동북아 비핵무기지대와 한반도 비핵화의 비교
2. 동북아 비핵무기지대와 한반도 비핵화의 연계 구상
3. 새로운 가능성: 한반도 비핵화 촉진제로서의 동북아 비핵무기지대 논의
제4장 우주공간의 군비경쟁 방지와 우주전 대책
1. 자주개발에 의한 우주안보 역량의 강화
2. 자기주도적인 국제협력
3. 국익에 기초한 우주공간 국제규범 제ㆍ개정
제5장 사이버공간의 군비경쟁 방지와 사이버전 대책
1. 사이버 안보역량의 강화
2. 국내의 사이버안보 법ㆍ제도의 정비
3. 국익에 기초한 사이버안보 국제규범 창출
제6장 전략공간의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주도전략의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조성렬(趙成烈)은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 마포고등학교와 서울공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일본 동경대학, 경응의숙대학, 중국 외교학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는 일본방위정책,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북한 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북한 급변사태, 중국의 한반도정책 등 한반도문제 및 국제안보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저자는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정책자문위원, 이명박 정부 때 국방부 및 특임장관실 정책자문위원을 지냈고, 현재 민주평통자문회의 상임위원으로 있다.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세계지역학회 이사를 역임했고, 2015년 북한연구학회 회장과 세계북한학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을 맡았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는 기획실장, 국제안보연구실장을 지냈으며, 현재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정치대국 일본: 일본의 정계개편과 21세기 국가전략』(1993),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2003, 공저),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2007), 『뉴 한반도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2012), 『북한 경제회생과 통일시대 실현을 위한 로드맵: 한반도판 마샬플랜』(2014, 공저), 『통일논쟁: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2015, 공저), 『解剖北朝鮮リスク』(2016, 공저), 『東北亞形勢與韓中關係』(2016, 공저) 등이 있다.

도서소개

『전략공간의 국제정치』는 육상, 바다,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군비경쟁의 공간을 전통공간으로 규정하고, 과학기술의 획기적 발달과 함께 더욱 중요해진 핵, 우주, 사이버와 같은 전략공간에 대해 국제정치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이 주제에 대해 북한만이 아니라 남북한을 포함해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의 전략과 조직, 그리고 국제정치적인 의미 등을 이론과 정책의 두 가지 방면에서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