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테마 한국불교 5

테마 한국불교 5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음)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7-05-30 출간
  • |
  • 380페이지
  • |
  • 161 X 235 X 33 mm /817g
  • |
  • ISBN 978897801530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불교는 인도에서 성립된 이래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1,700년 전에
한반도에 들어왔다. 인도불교는 수행의 과정을 거쳐 세상의
이치(Dharma)에 대한 깨달음을 추구하였고 생사윤회의 길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인도불교의 이러한 지향점은 이질적 세계였던 중국에 수용된 후
토착화와 변용의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붓다와 시간적·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중국인들이 스스로 붓다가 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붓다가 될
수 있는 성품을 본래 가지고 태어났다고 하는 믿음이 필요했다. 그 결과
중국불교에서는 깨달음(覺)이 ‘본래 깨달아 있음(本覺)’으로, 붓다(佛)가
‘붓다의 성품(佛性)’으로 변형되어 이해되었다. 또한 세상의 이치인
다르마도 ‘조건들의 일어남(緣起)’에서 ‘본성의 일어남(性起)’으로 결을
달리하여 인식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중국적 사유 방식인 본성론적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중국불교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교학에서는 천태종과
화엄종, 실천에서는 정토종과 선종이 독자적 성격을 띠며 발전하게
되었다.

이처럼 본성론에 의거하여 성립된 중국불교의 교리와 사상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일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한국의 경우에는
그 수용 방식에서 조금은 상이한 양상을 보였는데, 여러 학파 및 교파의
이론과 각각의 대립적 주장들을 융합하고 조화시키려는 통섭적 경향이
나타났다. 한국불교의 사상적 독창적을 상징하는 원효는 여러 학설 사이의
화쟁을 주창하였고, 한국 선불교의 대표자인 지눌은 간화선과 화엄으로
요약되는 선과 교의 일치를 추구하였다. 조선 후기 불교 전통에서 나타난
선과 화엄, 염불의 결합 시도 또한 한국불교 특유의 융섭적 특성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본성론에 기초하여 다양한 학파와 종파가 성립된 것은
중국에서였지만, 종합과 통섭의 사고는 한국에서 보다 분명히 나타난
한국불교의 고유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서 『테마한국불교』 5는 2단계 1년차 성과물인 『테마한국불교』 4에
이어 2단계 2년차 지정 주제에 해당하는 『법계도기』와
『금강삼매경론』의 텍스트, 금석문과 교관이라는 콘텍스트, 권력과
종교의 호국·호법과 지옥, 그리고 문화와 의례의 어록과 갈마를 대상으로
한 주제별 개설서이다. 각 테마는 글로벌리티의 관점에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불교의 장기 지속 및 시대적 변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접근하였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설_ 김용태·15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법계도기法界圖記 _ 박서연 ● 41
Ⅰ. 의상의 당唐 유학과 『일승법계도』 저술 … 42
의상과 중국 화엄교학 42/ 지엄 문하에서의 수학 44/
『일승법계도』의 구성과 내용 47/ 『일승법계도』의 화엄사상 50
Ⅱ. 『일승법계도』의 동아시아적 전개 … 53
의상의 화엄교단 53/ 수십전법數十錢法과 법장 56/ 일본에 미친
영향 58
Ⅲ. 통일신라~고려시대 의상 화엄사상의 계승 … 60
『일승법계도』의 주기註記 60/ 균여의 오척신五尺身 이해 62/
『법계도기총수록』과 의상계 화엄 64
Ⅳ. 조선시대 「법성게」 주해와 의상 화엄사상의 변용 … 67
설잠 김시습의 선적禪的 해석 67/ 『법성게과주法性偈科註』와 법성
성기사상 69

■ 동아시아에 펼쳐진 일승법계의 인드라망 72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_ 김천학 ● 77
Ⅰ. 『금강삼매경』의 출현 … 78
용궁 출현설 78/ 『금강삼매경』의 성립 79/ 선종의 『이입사행론』
83
Ⅱ. 『금강삼매경론』의 성립과 사상 … 85
대안과 원효 85/ 『경』의 구조 해석 87/ 『기신론』·선종과의 관련
90/ ‘결정성’과 일미관행 95
Ⅲ. 중국과 일본에 미친 영향 … 98
당·송에의 영향 98/ 원·명·청에의 영향 101/ 일본에 미친 영향 102
Ⅳ. 한국에 미친 영향 … 105
도륜의 『유가론기』에서의 인용 105/ 고려시대 의천과 혜심 107/
조선시대의 유통 108

■ 일미관행一味觀行, 동아시아 불교를 관통하다 110

콘텍스트

금석문金石文 _ 박광연 ● 115
Ⅰ. 금석문과 불교금석문 … 116
금석문이란 무엇인가 116/ 금석문과 불교 118/ 인도·중국·일본의
불교금석문 120
Ⅱ.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불교금석문 … 123
고구려·백제의 불상 123/ 신라의 불상·탑·종 124/ 고승비와 사적비
127
Ⅲ. 고려·조선시대의 불교금석문 … 130
고승비와 묘지석 130/ 불상·탑·종·반자 135/ 매향비와 사적비 143

■ 쇠와 돌에 새겨진 불교와 불교인의 역사 148

교관敎觀 _ 박용진 ● 153
Ⅰ. 교관 용어의 성립과 전개 … 154
교관에 대하여 154/ 지관止觀(?amatha와 vipa?yan?)과 관觀 156/
한국불교사의 교관 용례 158
Ⅱ. 중국불교와 교관 … 160
천태교관의 성립과 전개 160/ 화엄교관의 성립과 전개 163
Ⅲ. 삼국?통일신라시대의 교관 … 166
법화신앙 및 천태교관 166/ 의상계 화엄교학과 관행 169/ 원효 및
비의상계 화엄교학과 관행 172
Ⅳ. 고려시대의 교관 … 175
고려 전기 천태교관 175/ 균여와 의천의 화엄교관 177/ 천태종
백련사와 묘련사계 교관 180
Ⅴ. 조선시대의 교관 … 182
천태교관: 『연경별찬』과 『선학입문』 182/ 화엄교관:
『법계도주』와 조선 후기의 『화엄사기』 185

■ 교학과 관행의 융합과 한국적 발현 188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호국護國·호법護法 _ 이수미 ● 195
I. 호국불교 담론의 원류와 문제점 … 196
호국불교의 의미와 경전적 근거 196/ 호국불교 담론의 등장과 전개
197/ 호국불교 담론의 문제점 199
II. 인도, 중국과 일본에서의 불교와 왕권 … 204
아쇼카왕과 전륜성왕 개념 204/ 중국에서의 호국사상과 왕권
205/ 일본의 진호국가 개념과 왕법즉불법 사상 207
III. 삼국과 통일신라의 호국불교 사상 … 210
불국토 사상과 호국사찰 210/ 호국의례와 법회 215/ 왕들의
불교신앙 217
IV. 고려와 조선의 불교와 국가 … 221
인왕경 법회와 불교의례들 221/ 호국염원과 대장경 조판 225/
승군의 호국활동 226

■ 호국, 과연 한국불교의 전통인가? 230

지옥地獄 _ 김기종 ● 235
Ⅰ. 불교의 지옥 … 236
니라야와 나라카 236/ 야마와 염라왕 237/ 불전 속의 형상화 238
Ⅱ. 중국과 일본의 지옥 관념 … 242
태산부군泰山府君과 시왕十王 242/ 관리가 통제하는 감옥 244/
징벌의 강조 245
Ⅲ. 삼국~고려시대의 지옥 관념 … 247
지옥 관념의 수용 247/ 시왕신앙의 유포 248/ 우란분재의 설행과
목련 고사 249
Ⅳ. 조선시대 지옥 관념의 다양한 전개 … 251
유가와 불가의 지옥 인식 251/ 시왕도十王圖 257/ 불교가사와
‘회심곡’ 259/ 한글소설 268

■ 도덕적 삶을 위한 심판과 징벌 276

문화와 의례
어록語錄 _ 김호귀 ● 281
Ⅰ. 어록의 출현과 찬술경전 … 282
어록의 정의 282/ 어록의 등장 283/ 찬술경전의 쇠퇴 286
Ⅱ. 중국과 일본의 선어록 … 288
선어록의 분류 288/ 중국의 선어록 291/ 일본의 선어록 295
Ⅲ. 한국 선어록의 간행과 전개 … 297
선의 전래와 정착 297/ 고려의 선어록 299/ 조선의 승려문집 302
Ⅳ. 한국불교에 끼친 선어록의 역할과 기능 … 306
선어록의 유통 306/ 선어록의 역할 309/ 한국불교와 선어록 311

■ 불립문자와 기록의 아이러니 314

갈마?磨 _ 이자랑 ● 321
Ⅰ. 갈마와 화합승의 실현 … 322
갈마란 무엇인가 322/ 현전現前승가와 사방四方승가 323/ 갈마의
형식과 종류 325/ 갈마, 화합의 상징 327
Ⅱ. 중국과 일본의 수계갈마 … 329
수계갈마의 정비 329/ 광률廣律의 번역과 혼란 331/ 도선과
『사분율』 334/ 감진鑑眞의 도래와 국립 3계단 336
Ⅲ. 한국전통불교의 수계갈마 … 339
백제의 갈마 실행 339/ 자장의 교단 정비 341/ 관단수계의 제도화
344/ 조선시대의 수계갈마 346
Ⅳ. 한국 근현대기의 혼란과 단일계단의 정비 … 348
대은 낭오와 만하 승림의 계맥 348/ 여법如法갈마와 중수계의 수지
350/ 자운율사와 단일계단의 정비 352

■ 갈마의 오랜 침체와 새로운 부흥 355

찾아보기 _ 360
저자 소개 _ 375

저자소개

저자 김용태는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
『韓國佛敎史』(일본 春秋社, 2017),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Dongguk University Press, 2014),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신구문화사, 2010),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연구 100년」,
「동아시아의 징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저자 박서연은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 및 화엄학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동국대 한의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역임. 「신라 現身成佛 설화에 보이는
의상 화엄사상의 영향」, 「의상계 화엄수행론의 심리치유 가능성 고찰」,
「의상의 五尺身思想 연구」, 「滿文 『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滿文 『금강경』의 내용과 특징」,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저자 김천학은 동국대 HK교수, 화엄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박사, 일본 東京大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 일본 히메지독쿄대학 조교수,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및 연구소장 역임.
『平安期華?思想の?究―東アジア華?思想の視座より―』(東京:
山喜房佛書林, 2016), 『화엄일승성불묘의』(역서, 동국대출판부, 2016),
「T85, No.2799 『십지론의소(十地論義疏)』의 텍스트 문제
에 대한 고찰」, 「설파상언의 징관 『화엄소초』 이해의 일고찰」,
「『법화경론자주』 사본의 유통과 사상」, 「종밀에 미친 원효의 사상적
영향-『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

저자 박광연은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이화여대 사학과 박사,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박사후과정(post-doc.) 이수. 『신라 법화사상사
연구』(혜안, 2013), 「신라 義寂의 『법화경』 이해-『法華經論述記』
분석을 중심으로」, 「신라 사원의 전장(田莊) 운영과 국가」, 「경흥 『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신라 중대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
재고찰」, 「고려시대 오교양종(五敎兩宗)의 성격 재검토」, 「신라의
불교 교단과 ‘종파’」

저자 박용진은
능인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일본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외국인연구원. 『의천-그의 생애와
사상』(혜안, 2011), 「의천의 宋 天台敎學 교류와 天台敎觀」,
「高麗時代 天台宗 所依章疏와 『新編諸宗敎藏總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高麗中期 華嚴 文類의 編纂과 그
思想的 傳承」, 「高麗義天撰 「圓宗文類」の日本傳承と交流史的意義」

저자 이수미는 동국대 HK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서울대 강사 역임.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로 본 大賢의 唯識사상」,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 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법장(法藏)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defining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nd East Asian Yog?c?ra Buddhism,”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From
Criticism to Approval: A Reconsideration of Ji’s Yog?c?ra Position on
Madhyamaka,” “Kingship as Dharma-Protector: A Comparative Study
of W?nhyo and Huizhao’s Views on the Golden Light Sutra”

저자 김기종은 동국대 HK연구교수. 고전시가 전공.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고려대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역임. 『불교와 한글』(동국대
출판부, 2015), 『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 『동아시아
불교의 근대적 변용』(공저, 동국대 출판부, 2010), 『불가의 글쓰기와
불교문학의 가능성』(공저, 동국대 출판부, 2010)

저자 김호귀는 동국대 HK연구교수, 선학 전공, 동국대 선학과 박사,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역임. 『묵조선연구』(민족사, 2001), 『선과
수행』(석란, 2008), 『선리연구』(하얀연꽃, 2015),
「무생법인(無生法忍)의 구조와 무생선(無生禪)의 실천」,
「『담연원징선사어록』의 선관인식 및 종문인식 고찰」

저자 이자랑은 동국대 HK교수,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 전공, 일본 東京大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 일본 東京大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나를
일깨우는 계율 이야기』(불교시대사, 2009), 『붓다와 39인의
제자』(한걸음 더, 2015), 「승단 추방에 관하여?멸빈(n?sana)을
중심으로」, 「승가화합의 판단기준에 관하여」, 「「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신라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