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교육의 이해
01 교육의 이해 - 어원과 정의 방식 14
02 교육의 이해 - 피터스의 교육의 개념적 준거 17
03 교육의 이해 - Peters와 정범모의 교육개념 비교, 그린의 교수와 교화 18
04 교육의 이해 - 교육의 비유 19
05 교육의 이해 - 실존주의와 교육 20
06 교육의 이해 - 교육의 목적 22
07 교육의 이해 - 서양교육사 23
08 교육의 이해 - 서양교육사 개관표 24
09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소크라테스(Socrates) 25
10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플라톤(Platon) 26
11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플라톤(Platon) vs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27
12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로크(Locke, 17C, 사회적 실학주의) 28
13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코메니우스(17C : 감각적 실학주의) 29
14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루소 Rousseau 1712~1778 (18C, 자연주의) 29
15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루소와 인간본성 33
16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페스탈로치(Pestalozzi) : 교육은 사회개혁의 수단 → 교성 34
17 교육의 이해-서양교육사-헤르바르트(Herbart, 1776~1841) 36
18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지식론-오크쇼트(Oakeshott) 38
19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사분면 1 40
20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사분면 2 41
21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8가지 조망과 방법론 42
22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홀라키로서 통합심리도 43
23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점점 발달하는 홀론(그레이브스 도식) 44
24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카르마와 창조성 45
25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켄 윌버-사분면과 교육학의 각 이론들 48
26 교육의 이해-교육철학-기초 50
27 교육의 이해-교육철학-20세기 전반의 미국철학-진보주의/항존주의/본질주의/재건주의 52
28 교육의 이해-교육철학-진보주의(프래그머티즘 Pragmatism)-듀이(Dewey) 56
29 교육의 이해-교육철학-20세기 후기-도표 59
30 교육의 이해-교육철학-20세기 후기-철학사조 60
31 교육의 이해-교육철학-비판이론(프랑크푸르트 학파)-하버마스(Habermas) 64
32 교육의 이해-교육철학-20세기 후기-홀리스틱 교육(Holistic education, 전일주의) 65
33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전통교육 일람표 67
34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원효 68
35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천자문을 비판한 조선시대의 한자 학습용 교재 70
36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이황, 이이 70
37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실학 72
38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일제교육의 잔재 → 학력주의, 국가주의, 도구주의 75
39 교육의 이해-한국교육사-근대학교의 성립 75
40 교육의 이해-전인교육 76
41 교육의 이해-공교육의 탄생, 정착, 위기, 비판, 대응 77
42 교육의 이해-공교육의 위기와 대응-교육의 시장화와 학교책무성 79
43 교육의 이해-공교육의 위기와 대응-학교책무성-교원평가 82
44 교육의 이해-공교육의 위기와 대응-학교책무성-단위학교 책임경영제 ☆☆☆ 82
45 교육의 이해-공교육의 위기와 대응-아동중심교육 vs 수요자중심교육 83
PART 2. 교육심리학
01 교육심리-연구방법의 종류 86
02 교육심리-연구방법-표집방법 90
03 교육심리-연구방법-자료수집방법 92
04 교육심리-기초이론 93
05 교육심리-발달이론 94
06 교육심리-인지발달-발달이론 비교 97
07 교육심리-인지발달-피아제(발생적 인식론) 98
08 교육심리-인지발달-비고츠키(사회문화적 발달이론) 101
09 교육심리-도덕성 발달 105
10 교육심리-성격발달-프로이드 & 에릭슨 & 마샤 109
11 교육심리-성격발달-MBTI 112
12 교육심리-사회성 발달 113
13 교육심리-브론펜브래너의 생물생태학적 이론(Bioecological model) 114
14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심리측정적 접근 115
15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정보처리적 접근-PASS이론 116
16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스턴버그의 삼원 지능(triarchic intelligence) 117
17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가드너의 MI(Multiple Intelligence) 118
18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샐로비와 마이어의 정서지능(감성지능) 120
19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지능-지능검사 120
20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성격-성격검사 122
21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창의성 123
22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창의성-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체계 모형 126
23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특수학습자-통합교육 127
24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특수학습자-영재학생과 영재교육 127
25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인지양식 129
26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정의적 특성 132
27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능력별 집단편성 133
28 교육심리-학생의 개인차-수준별 수업 134
29 교육심리-학습동기-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134
30 교육심리-학습동기-전통적 동기이론-행동주의/인지부조화 135
31 교육심리-학습동기-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136
32 교육심리-학습동기-데시와 라이언의 자기결정이론 138
33 교육심리-학습동기-코빙턴의 자기가치이론 139
34 교육심리-학습동기-드웩의 암묵적 이론(지능에 대한 믿음) 140
35 교육심리-학습동기-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flow theory) 140
36 교육심리-학습동기-기대×가치이론 141
37 교육심리-학습동기-앳킨슨의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ation) 142
38 교육심리-학습동기-반두라의 자기효능감이론 143
39 교육심리-학습동기-귀인이론 143
40 교육심리-학습동기-로터의 통제소재이론(lous of control) 145
41 교육심리-학습동기-학습한 무력감 극복 방안 146
42 교육심리-학습동기-목표지향성 이론(goal orientations theory) 147
43 교육심리-학습동기-켈러의 ARCS 149
44 교육심리-학습동기-정서적 요인-흥미 & 불안수준과 학업성취 151
45 교육심리-학습동기-교사 효능감 153
46 교육심리-학습이론-학습에 대한 네 가지 관점 154
47 교육심리-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고전적 조건화-S형 조건화 155
48 교육심리-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거쓰리의 근접이론 157
49 교육심리-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손다이크의 도구적 조건화-R형 조건화 157
50 교육심리-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R형 조건화 158
51 교육심리-학습이론-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164
52 교육심리-학습이론·인지주의-톨만의 목적적 행동주의 167
53 교육심리-학습이론·인지주의-형태심리학 168
54 교육심리-학습이론·인지주의·정보처리이론 170
55 교육심리-학습이론·정보처리이론-망각 178
56 교육심리-정보처리이론-학습전략 180
57 교육심리-학습이론·인지주의·정보처리모형의 대안적 이론 182
58 교육심리-학습이론-복잡한 인지과정-개념교수 182
59 교육심리-복잡한 인지과정-문제해결(problem solving) 185
60 교육심리-학습이론·인본주의 학습이론 187
61 교육심리-학습이론-인본주의 교수이론-로저스의 비지시적 수업, 유의미학습 190
62 교육심리-학습이론-구성주의 학습이론 193
63 교수학습-구성주의 학습이론-바틀릿(Bartlett)의 스키마이론 195
64 교육심리-학습이론·전이(transfer) 197
PART 3. 교수 · 학습
01 교수학습-교수, 수업, 학습 202
02 교수학습-교수 · 학습지도의 원리, 수업설계 204
03 교수학습-수업설계-수업설계 변인(레이겔루스의 교수의 3대 변인) ☆☆☆ 205
04 교수학습-교수설계-수업목표 설정과 진술 205
05 교수학습-체제접근 모형-객관주의 수업설계이론 210
06 교수학습-교수설계-글레이저(Glaser)의 수업과정모형(체제적 접근) 211
07 교수학습-교수설계-모렌다(Molenda)의 ADDIE 모형 (일반모형) 212
08 교수학습-교수설계-딕(Dick)과 케리(Carey)의 교수설계모형 (심화모형) 213
09 교수학습-교수설계-레이겔루스(Reigeluth)의 정교화이론(Elaboration Theory) 215
10 교수학습-교수설계-가네의 목표별 수업(학습조건)이론 217
11 교수학습-메릴(Merill)의 내용요소 제시이론(CDT : Component Display Theory) 220
12 교수학습-메릴의 수업교류이론(Instruction Transaction Theory): ITT 221
13교수학습-인지주의-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설명식 교수이론222
14 교수학습-인지주의-브루너의 발견식 수업이론 225
15 교수학습-교수설계-완전학습을 위한 학교학습모형-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228
16 교수학습-완전학습을 위한 학교학습모형-블룸(Bloom)의 완전학습모형
(learning for mastery)229
17 교수학습-완전학습을 위한 학교학습모형-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
(PI ; Programmed instruction)230
18 교수학습-학습부진아지도 231
19 교수학습-개별화수업-개별화수업(교수)체제(PSI) : 켈러 플랜(Keller plan) 231
20 교수학습-개별화수업-크론박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모형
(ATI, Aptitude Treatment Interaction)232
21 교수학습-개별화수업-개별계약학습(ICL, 계약학습) 232
22 교수학습-개별화수업-수준별 수업 232
23 교수학습-란다의 순차식-발견식 교수모형, 스캔두라의 구조적 교수모형 233
24 교수학습-플랜더스(Flanders)의 수업분석 모형(비시지적 수업) 235
25 교수학습-수업설계-교수 · 학습집단의 조직 235
26 교수학습-교육공학-기본 영역, 발달과정 236
27 교수학습-교육공학-데일의 시청각 교육이론(경험의 원추) 237
28 교수학습-교육공학-벌로(D. Berlo)의 SMCR 모형 238
29 교수학습-교육공학-쉐논과 쉬람(Schannon & Schramm)의 통신모형 239
30 교수학습-교육공학-교육매체 연구 240
31 교수학습-교육공학-수업매체의 선정 243
32 교수학습-교육공학-ICT활용교육 243
33 교수학습-교육공학-인터넷 활용수업 244
34 교수학습-교육공학-Big6 Skills(Big6 정보 리터러시 모델) 244
35 교수학습-교육공학-웹퀘스트(WebQuest) 245
36 교수학습-교육공학-생크의 목표기반시나리오(GBS, Gaol-Based Scenario) 246
37 교수학습-객관주의 vs 구성주의 247
38 교수학습-객관주의와 구성주의 지식관 비교 247
39 교수학습-객관주의 교수이론 248
40 교수학습-객관주의 교수이론-지시적 수업 249
41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구성주의 9가지 교수원리 250
42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
(CLEs : constructivist learnig environments)252
43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SDL) 253
44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페다고지 vs 안드라고지 254
45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자기조절 학습(Zimmerman) 255
46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개념변화 수업 255
47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상황학습(Situated Learning, 상황인지) 258
48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인지적 유연성 이론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전환학습-Spiro)259
49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 260
50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261
51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 Based Learning) 262
PART 4. 교육 평가
01 교육평가-학생평가의 목적 278
02 교육평가-측정/검사/평가/총평 278
03 교육평가-평가 절차 279
04 교육평가-교육관(선발/발달/인본주의)별 검사관(측정관/평가관/총평관) 279
05 교육평가-교육평가의 모형 280
06 교육평가-평가의 유형 283
07 교육평가-평가의 참조틀-자기참조평가(성장참조/능력참조) 288
08 교육평가-기타평가(메타평가, 정적/동적평가, 고부담평가) 288
09 교육평가·검사도구의 제작 절차 289
10 교육평가·평가의 오류 290
11 교육평가·평가도구의 양호도(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291
12 교육평가·문항분석-문항의 양호도(고전검사이론, 문항반응이론) 295
13 교육평가-논술형 평가 297
14 교육평가-수행평가 297
15 교육평가-수행평가의 평가방식 : 채점규정 299
16 교육평가-포트폴리오 300
17 교육평가-구성주의 평가 301
18 교육평가-학습동기를 향상하는 평가의 특징 301
19 교육평가-정의적 능력 평가 302
20 교육평가·교육통계-측정치 303
21 교육평가·교육통계-기술통계 303
22 교육평가·교육통계-원점수와 규준점수 305
23 교육평가·교육통계-표준화 검사 307
52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자원기반학습(Cognitive Flexibility Theory 262
53 교수학습-효과적인 발문(질문) 263
54 교수학습-교수 · 학습 이론 비교 264
55 교수학습-구성주의 수업이론-협동학습 265
56 교수학습-여러 가지 수업-강의법과 문답법 271
57 교수학습-여러 가지 수업-토의법 272
58 교수학습-여러 가지 수업-역할극 274
59 교수학습-SNS를 활용한 협동학습 ≒ 온라인(웹기반) 프로젝트(웹 퀘스트) 275
60 교수학습-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 거꾸로 수업) 276
PART 5. 생활지도
01 생활지도-영역(순서) 310
02 생활지도-원리 310
03 생활지도-학급관리 310
04 생활지도-청소년 비행이론 315
05 생활지도-진로교육 317
06 생활지도-진로이론 317
07 생활지도-진로심리검사 321
08 생활지도-상담의 기본원리 322
09 생활지도-상담기법 322
10 생활지도-상담의 종류 325
11 생활지도-집단상담 339
12 생활지도-적응 339
PART 6. 교육과정
01 교육과정-교육과정의 개념 344
02 교육과정-교육과정 유형 344
03 교육과정-교육과정 유형-차별화, 통합, 학습자중심, 구성주의, 선택, 성취기준 345
04 교육과정-교육과정 유형·잠재적 교육과정 ☆☆☆ 347
05 교육과정-교육과정유형-학교 교육과정을 비판하는 교육과정 유형-영 교육과정 351
06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유형의 종합 비교 352
07 교육과정-교과중심 교육과정-교수이론, 교육과정 유형 352
08 교육과정-교과중심교육과정-아들러의 파이데이아 제안(The Paideia Proposal) 356
09 교육과정-교과중심교육과정-피터스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론 358
10 교육과정-후기 허스트(Hirst)의 사회적 실제(Social Practices)에 입문 359
11 교육과정-경험중심 교육과정-특징, 교수법 359
12 교육과정-경혐중심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유형 361
13 교육과정-학문중심교육과정 & 브루너 362
14 교육과정-브루너의 문화심리학에 바탕을 둔 내러티브(Narrative) 교육과정 365
15 교육과정-인간중심교육과정(1970~) : 교육의 인간화 367
16 교육과정-변혁중심교육과정 368
17 교육과정-교육과정 개발모형의 역사적 전개 368
PART 7. 교육사회학
01 교육사회학-3가지 이론 392
02 교육사회학- 알뛰세(Althusser)의 사회구성체이론(자본주의 국가론) 397
03 교육사회학-애플(Apple)의 문화적 헤게모니이론 397
04 교육사회학-학력상승(학교팽창) 399
05 교육사회학-발전교육론(Becker) 401
06 교육사회학-교육과 사회평등 402
07 교육사회학-교육의 평등 403
08 교육사회학-학업성취도 격차 원인·효과적인 학교의 특징 405
09 교육사회학-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406
10 교육사회학-교육과정의 사회학적 성격-탈재생산이론-윌리스의 저항이론 412
11 교육사회학-번스타인(Berstein)의 교육 자율성 이론(문화전달이론) 414
12 교육사회학-다문화교육 417
13 교육사회학-다문화교육-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의 비교 419
14 교육사회학-문화변동(cultural change)과 교육(문화접변, 문화전계, 문화지체, 문화실조) 420
15 교육사회학-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421
16 교육사회학-대안교육운동과 홈스쿨링 427
17 교육사회학-한국교육제도 428
18 교육과정-교육과정 개발모형 370
19 교육과정-교육과정 이해 패러다임-재개념주의자-파이너/애플/아이즈너 376
20 교육과정-교육과정 개발(설계)절차 379
21 교육과정-스나이더(J. Snyder)의 교육과정 실행(curriculum implementation)의 관점 383
22 교육과정-2015 개정교육과정-주요내용 384
PART 8. 교육행정
01 교육행정-교육행정의 관점 436
02 교육행정-교육행정의 기본 원리 436
03 교육행정-교육행정학의 이론적 전개 437
04 교육행정-동기이론 442
05 교육행정-동기이론-내용이론-허즈버그(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Motivation- Hygiene Theory)443
06 교육행정-동기이론-과정이론-브룸(Vroom)의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 446
07 교육행정-동기이론-과정이론-공정성이론(Adams, 사회적 비교이론 equity theory) 447
08 교육행정-동기이론-과정이론-목표설정이론(Locke, goal setting theory) 447
09 교육행정-지도성이론-전통적 지도성이론, 현대적 지도성 이론 448
10 교육행정-의사소통의 기능과 원칙 457
11 교육행정-의사소통이론(communication theory)-조하리의 창 458
12 교육행정-교육행정의 조직 459
13 교육행정-조직유형론 460
14 교육행정-학교조직의 특성 462
15 교육행정-Hall의 교육조직 유형 464
16 교육행정-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서의 학교 464
17 교육행정-조직풍토론 466
18 교육행정-조직문화론-맥그리거의 XY이론,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 468
19 교육행정-토마스의 갈등처리모형 5가지 → 상황에 따라 갈등처리 모형을 달리하라 471
20 교육행정-장학 472
21 교육행정-장학-컨설팅 장학 476
22 교육행정-교육기획 477
23 교육행정-의사(정책)결정을 보는 4가지 관점 478
24 교육행정-의사(정책)결정 모형 479
25 교육행정-의사결정의 참여 모형 480
26 교육행정-학교관리 기법 482
27 교육행정-예산관리 기법 484
28 교육행정-카우프만(Kaufman)의 교육개선을 위한 체제접근(systems approach)모형 485
29 교육행정-학급경영 원리 486
30 교육행정-교사론-리버만(Lieberman)의 전문직의 요건 486
31 교육행정-교사론-교직관의 유형 487
32 교육행정-교권과 학습권 488
33 교육정책-[공교육정상화법]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489
34 교육정책-자유학기제 490
35 교육정책-집중이수제 491
36 교육행정-학교운영 관련 법규-교육당사자의 의무와 권리 492
37 교육정책-학교운영위원회 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