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008
I 전통예술 011
잡雜과 산散, 풍류風流, 피리, 거문고의 신통神通
1. 전통예술의 새로운 미학을 위하여 013
2. 전통예술을 위한 잡학 다스름 016
●雜의 민족학 ●산散. 펼쳐라 자유로운 길 그 위에 놀음이 있다
●풍류, 자연의 흐름을 타는 기와 장단의 놀음
●삶과 죽음을 넘는 굿판의 바람잽이, 국악종가집 피리
●무애의 강에 피는 거문고 소리
II 국악 039
갈등과 반목의 슬픈 자화상
1. 국악, 나라의 음악인가 식민의 유산인가 041
2. 국악과 국악문화에 대한 반성과 민족적 합의를 위하여 047
3. 브르디외 문화재생산을 통해 본 우리 음악의 일그러진 자화상 053
4. 국악. 정악, 민속악의 굴절사 058
●분류법 비판 ●정악 민속악 갈등의 역사 ●본디 정악의 의미
III 전통과 창조 075
근대이후 전통예술사 - 전통음악 중심으로
1. 다시 읽는 전통예술사-전통음악 중심으로 077
●한국전통음악에 있어 근대 기점의 문제 ●근대전통음악의 전개
2. 해방공간 국악원 재검토 111
3. 한국 근대 자유 음악인 함화진의 영욕 114
4. 함화진의 조선음악론 시론 초 123
5. 전통과 창조의 역사,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134
6. 중앙국악관현악단 20년, 창작을 통한 민족음악의 당대화 그리고
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상생의 울림 138
IV 민요 143
한국 전통예술의 뿌리, 뒤돌아올 미래
1. 한국전통예술과 민요 145
●민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민요의 존재와 형성원리
2. 한국 민요의 창작 활동과 전통문화예술교육의 공과 162
●민요의 새로운 창조를 위한 여러 시도들
●민요연구회의 현장문화예술교육 활동 전개
3. 한국 민요의 멋과 맛 183
●정선아라리 ●민족의 노래 아리랑
●서도소리, 접동접동 피 토하는 진한 정한 ●진도할메 조공례, 들의 삶과 노래
V 판의 원리 212
전통예술 창작공연 내력
1. 겨레의 하나됨과 민족 공동심으로 만나는
국립극장 겨레의 노래뎐 215
2. 황해도 만신 김매물과 한뜻계 일행과
국립국악원 별맞이터에서 한판 굿을 벌이다. 238
3. 삼청각 풍류춤판 “바람의 도학”을 그리다 247
4. 몽골리안 드럼 축제, 부단한 과제 262
5. 풍류로 만나는 전통예술의 새로운 지평 “기와 율”
무예 퍼포먼스에 대한 도전 267
6. 꼬리에 꼬리는 무는 상상력의 페러디, 음악동화의 세계 273
7. 통과의례를 통한 전통예술과 생활문화 창조의 실천 279
●혼례식 ●성년의 날 관례식 “입어례立於禮”
●인생의 회향, 천수를 향한 회혼례
8. 시와 구성 및 대본을 통한 전통예술 창작판 실례 286
VI 아리랑 인생 축제 303
광주세계아라랑 축전 현장 기록
1. 2012 광주세계아리랑 축전 상생,자유,평등을 위한 무등의 빛 305
VII 법고창신 335
창조인성을 위한 신 전통예술교육 터벌림
1. 배네주엘라 엘 시스테마와 아동청소년 전통예술교육 전망 337
2. 콜롬비아의 항구도시 카르타헤나에 설립 된 [몸의 학교] 356
3. 창의시대와 전통예술교육 358
●근대교육과 전통 ●21세기 사회변화와 창조시대
에필로그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