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알랭 바디우의 영화

알랭 바디우의 영화

  • 알랭 바디우
  • |
  • 한국문화사
  • |
  • 2015-06-30 출간
  • |
  • 400페이지
  • |
  • 153 X 225 X 20 mm /581g
  • |
  • ISBN 978896817237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 소개]

영화와 철학 간의 사유의 문제를 다룬 이 책은 단절과 종합이라는 키워드를 토대로 바디우의 자유로운 예술적 사상가적인 기질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195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글 모음집인 이 책은 철학이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본질의 보편적 가치가 영화 속에서 어떻게 종합되는지 잘 보여주며, 순수하지 못한 예술인 영화의 사유방식을 제안한다. 특히 바디우는 “철학의 작업은 단절이 있는 곳에서 개념의 종합을 만드는 것이고, 영화는 세계의 가장 진부한 갈등에서 순수함을 만드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영화와 철학 간의 진정한 암묵적 동의이고, 영화와 철학이 상호 공유하는 지점이다”라고 단언한다. 또한 영화에서의 철학적 상황을 제시하면서, 저자는 영화의 대중예술으로서의 가치 그리고 민주주의와 귀족주의 간의 새로운 관계를 제공한다.

[머리말]

‘영화는 사유이고, 이 사유의 결과물은 실재이다.’
알랭 바디우에게 영화는 교육이자 삶의 예술이며 사유이다. 바디우는 195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30여 편의 글에서 제7의 예술에 대해 글을 썼다. 이 글의 대부분은 개별 영화 혹은 여러 편의 영화를 한데 묶어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로 영화 예술에 대한 견해와 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바디우 사유의 특성 중의 하나인 사례를 통해 사유하기, 독립적 특성이 있는 예술 작품을 기반으로 체계를 만들기와 관련이 있다. 그렇게 이 글은 현대성을 표현한 감독인 무르나우(F. W. Murnau),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Michelangelo Antonioni), 마누엘 데 올리베이라(Manoel De Oliverira), 자크 타티(Jacques Tati), 장-뤽 고다르(Jean-Luc Godard)부터 시작하여 몇 가지 독특한 경험들인 기 드보르(Guy Debord), 68혁명 영화, 벼락 집단(groupe Foudre)은 물론, 몇몇 미국 작품인 《매트릭스》(Matrix, 1999), 《매그놀리아》(Magnolia, 1999), 《퍼펙트 월드》(A Perfect World, 1983)까지 지난 50년 동안의 수많은 다양한 영화들을 다루고 있다.
같은 세대의 유난히 많은 사상가들,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re), 제라르 주네트(Gerard Genette), 질 들뢰즈(Gilles Deleuze)처럼, 알랭 바디우는 젊은 시절에 사유의 전달 매체인 영화의 자양분을 받고 자랐다. 그의 충만한 영화 사랑은 학생 시절인 1957년에 파리고등사범학교의 좌파 가톨릭 청년지인 ≪새로운 포도주≫(Vin nouveau)에 글을 쓰는 것으로 시작된다. 야심에 찬 의미 있는 첫 번째 텍스트인 ?영화문화?(La culture cin?matographique)에서부터 전개된 바디우의 독특한 사고(思考)는 이후의 그의 성찰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바디우의 사유에 따르면, 영화는 동시대에 새겨진 인간의 모습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다른 예술들과의 관계에서 ‘지배적’인 모습으로 여겨지며, 상상의 여행이며 타자(他者)의 사유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정치적 철학의 길로 나선 후에도, 바디우는 지속적으로 영화 비평을 했고,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는 ≪벼락 신문≫(La Feuille foudre)과 ≪비고답파≫(L'Imparnassien)에 글을 기고했다. 이 잡지들은 마치 정치적 재판과 같은 판결을 표명하는 사회참여 간행물이다. 어떤 영화는 수정주의라고, 또 다른 영화는 존중과 경의를 받아야 한다고 판결을 내린다. 비평의 대상이 되는 영화들은 좌파적 영화와 로베르 브레송(Robert Bresson)이나 고다르처럼 심판의 판결을 모면하고 칭송을 받는 작품들이다.
1981년에 바디우는 나타샤 미쉘(Natacha Michel)과 함께 반(反)미테랑파의 지성인들이 모여 활동하는 격주로 발행하는 잡지 ≪앵무새≫(Le Perroquet)를 창간하고, 10여 년 동안 그가 관심을 가졌던 영화들에 대한 여러 편의 글을 통해 주목할 만할 유랑하는 비평가의 행보를 보여준다. 프랑스 코미디 영화의 장점들, 고다르로 대표되는 ‘제2의 현대성’의 감독들, ‘영화적 중립성’의 상징과 같은 스위스 영화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분석들 등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우화의 변증법’으로서의 영화, ‘철학의 기계적 체계’로서의 영화, ‘민주주의 상징’으로서의 영화 등, ≪영화 예술≫(L’Art du cin?ma)이라는 잡지에 지난 15년 동안 발표된 글들은 더욱 폭넓고 이론적인 글들이다. 이 책은 알랭 바디우의 철학적 글쓰기의 특징 중 하나인 간단명료하고 분명하게 쓰인 글이다. 이러한 글쓰기를 통해, 바디우는 ‘동시대적 진실의 생산자’로서의 영화 예술과 ‘절대적 진실의 감각적 형상’으로서의 영화 작품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킨다. 먼저 영화들이 사유하고, 그리고 ‘과연 어떤 주제에서, 영화가 형상화되는가?’라는 사유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철학자의 몫이다. 바로 이 질문이 영화에 대한 바디우 사유의 근원이다. 이 책의 많은 글들에서 영화는 사람들을, 영화 자신의 시간을, 다른 예술들을 착취하는 순수하지 못한 예술이다. 또한, 예술과 비예술 간의 인지 불가능한 장소에 위치한 주요한 예술이다. 누구도 이의를 달 수 없는 명확한 방식으로, 바디우는 그리스 비극, 교양 소설, 오페레타(operetta)가 각각의 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하나의 문화를 나타내는 데 있어 최고의 지표이자 대표적인 사회?정치 예술인 영화를 만든 모든 것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2003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한 ?철학적 실험으로의 영화?가 있다. 이 글에서 바디우는 미조구치 겐지(Kenji Mizoguchi), 오즈 야스지로(Yasujiro Ozu), 로베르토 로셀리니(Roberto Rossellini), 루키노 비스콘티(Luchino Visconti),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프리츠 랑(Fritz Lang), 하워드 혹스(Howard Hawks), 안소니 만(Anthony Mann)의 영화들과 같은 다수의 새로운 예를 통해 영화를 설명하면서, 세밀하게 영화에 대한 사유를 발전시킨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알랭 바디우가 생각하는 영화의 진정한 선언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앙투안 드 베크(Antoine de Baecque)

목차

▣서문_v

01. 영화는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02. 영화 문화
03. 수정주의 영화
04. 예술과 예술비평: 진보주의의 기준
05. 은총의 자살
06. 포기하지 않는 사람
07. 동양은 서양적 사고의 대상인가?
08. 영화의 제2의 근대성에 관한 기준들
09. 자크 드미 사건
10. 스위스: 해석으로서의 영화
11. 프랑스 코미디 영화에서 계승되지 못한 것들
12. 갈 수 있는 나라가 정말로 많다
13. 복원된 의미로서의 죽음과 우연
14. 민간 산업인 영화는 사적 스펙터클이다
15. 영화의 거짓 움직임
16. 영화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17. 무르나우의 《마지막 웃음》에 대한 단상
18. 사건의 출현에 대한 사유
19. 마누엘 데 올리베이라의 《신곡》과 《수녀원》
20. 장-뤽 고다르의 《영화의 역사(들)》 고찰
21. 영화의 현 상황에 대한 고찰 그리고 영화가 죽어가거나 혹은 죽었다고 결론짓지 않고 이 상황을 사유하는 방식에 대한 소고
22. 영화에서 섹스의 재현
23. 휴고 산티아고가 영화는 지속될 거라고 전적으로 확신할 때…
24. 장-뤽 고다르의 《열정》
25. 사랑이 아니면 고독
26. 우화의 변증법
27. 철학적 실험으로서의 영화
28. 민주주의의 상징으로서의 영화
29. 시작의 끝
30. 예술의 차원
31. 있음직하지 않지만 가능한 세계의 완벽함

▣역자 후기
▣인명 색인

저자소개

저자 알랭 바디우 Alain Badiou는 신플라톤주의의 수호자라고 평가를 받는 알랭 바디우(1937-)는 모로코에서 태어난 프랑스 철학자인 동시에 예술적 사상가이다. 유년시절부터 장 폴 사르트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후 연합사회당 설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68’ 5월혁명 이후에는 마오주의를 지지하는 정치적 성향을 보였다. 현재 유럽대학원대학 교수인 바디우는 왕성한 강연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비미학? 등 다수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도서소개

195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글 모음집인 이 책은 철학이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본질의 보편적 가치가 영화 속에서 어떻게 종합되는지 잘 보여주며, 순수하지 못한 예술인 영화의 사유방식을 제안한다. 특히 바디유는 “철학의 작업은 단절이 있는 곳에서 개념의 종합을 만드는 것이고, 영화는 세계의 가장 진부한 갈등에서 순수함을 만드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영화와 철학 간의 진정한 암묵적 동의이고, 영화와 철학이 상호 공유하는 지점이다”라고 단언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