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구려 고분 연구

고구려 고분 연구

  • 강현숙
  • |
  • 진인진
  • |
  • 2013-07-17 출간
  • |
  • 376페이지
  • |
  • 185 X 250 mm
  • |
  • ISBN 9788963470870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3,7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7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고구려를 우리 역사로 가능하게 한 물적 증거가 바로 중국 동북지방과 서북한에 남아있는 고구려 고분”임을 구명한 학술서인 『고구려 고분 연구』가 발간되었습니다.

저자인 강현숙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는 고구려 고분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지속적으로 고구려 고분에 집중하여 연구하여 고구려가 우리 역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밝히기에 노력해 온 중견 고고학자입니다.

일제강점기에서 2010년 까지 발표된 연구성과를 망라한 문헌 연구와 유적 현지 답사 활동을 통해 일제강점기 및 중국, 북한의 연구성과의 정치적 편향성, 연구대상의 편중, 용어 등의 불일치 등의 문제를 발견한 저자는 남한의 연구자가 고구려 고분 연구 작업을 총괄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또한 중국, 북한의 연구성과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되면서, 남한 소재 고구려 유적 및 백제, 신라와 고구려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관련성을 구명해야 하는 과제가 제기되기도 합니다.

저자는 고구려가 고대 왕권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지표 유적이라 할 수 있는 ‘성’과 ‘고분’ 중에서도 고분이 축조된 시대의 한 시점을 마치 단면도와 같이 단절적으로 압축해서 보여주는 특징이 있음에 주목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고구려 고분 연구”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구려 고분 전반에 대한 내용을 총괄하여 소개합니다.

1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서 2010년에 이르는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그 현황과 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2장은 고분의 구조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축조 방법을 중심으로 적석총, 봉토분 및 기단 봉토분으로 분류 하였으며, 벽화분을 별도 항목으로 정리하였습니다.
3장은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출토 맥락, 종류 및 특징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고분 편년 기준으로서의 유물을 따로 정리하였습니다.
4장은 고구려 고분과 관련된 문화에 대한 해석으로서, 묘제와 장제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5장은 고구려 고분의 정체성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고구려와 중국 중원, 고구려와 삼연, 고구려와 신라의 관련성을 고분유적을 통해 구명하였습니다.

부록으로 고구려 고분 조사 현황, 일제강점기시대의 고분 명칭 비교 및 관련 문헌을 수록하여 본문에서 서술한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저자는 중국의 전국시대 이후 사라져 버린 중국 북방의 고유 문화와 달리 고구려의 문화적 전통이 700여년간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양상을 고구려 고유의 고분 축조 양식인 “적석총”의 존재 및 “봉토분”으로의 발전과 “벽화분”의 독자적 발달 등을 통해 구명합니다. 고분은 동북아시아에서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며, 고구려 멸망 이후에도 발해와 신라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우리 역사의 연속성을 증명하는 근거가 됩니다.

고구려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논란이 치열한 시기에 고분을 통해 고구려의 정체성을 객관적으로 구명한 본격적인 연구서로서 본 저작의 의의가 있다 하겠습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1

머리말 ………………………………………………………………………………………… 15

제1장 고구려 고분 조사와 연구 ………………………………………………………… 20
1. 고구려 고분 조사 ……………………………………………………………………… 22
1) 고분 자료의 선택적 수집기: 일제강점기 ………………………………………… 23
2) 고분 자료의 확충기: 해방 후 - 1960년대 ………………………………………… 25
3) 고분 자료의 집성기: 1970년대부터 1980년대 …………………………………… 28
4) 고분의 자의적 조사기 : 1990년대 이후 …………………………………………… 30

2. 고구려 고분 연구의 현황과 문제 ……………………………………………………… 33
1) 문화사 복원으로서 고분 연구: 형식, 기원과 변천 연구 ………………………… 34
2) 묘주에 관한 연구 …………………………………………………………………… 40
3) 사회ㆍ생활상 복원 연구 …………………………………………………………… 43
4) 집안 고구려 왕릉 비정 연구 ……………………………………………………… 44
5) 초기 적석총과 고구려족의 기원…………………………………………………… 48
6) 고분 유물 연구 ……………………………………………………………………… 50

3. 고구려 고분 연구의 과제 ……………………………………………………………… 53
1) 시각 차이의 극복: 중국 동북공정과 북한의 대동강문화론 …………………… 53
2) 연구의 진전을 위하여 ……………………………………………………………… 55

제2장 고구려 고분의 구조 ………………………………………………………………… 58
1. 적석총 …………………………………………………………………………………… 59
1) 분구 ………………………………………………………………………………… 59
2) 매장부 ……………………………………………………………………………… 64
3) 능각과 분구 위 구조물……………………………………………………………… 72
4) 분구 주변 시설 ……………………………………………………………………… 76

2. 봉토분과 기단봉토분…………………………………………………………………… 78

3. 벽화분 …………………………………………………………………………………… 84
1) 묘실 평면구조 ……………………………………………………………………… 85
2) 천장가구 …………………………………………………………………………… 88
3) 그 외 시설 …………………………………………………………………………… 90

제3장 고구려 고분의 유물 ………………………………………………………………… 92
1. 출토 맥락으로 본 고분 유물의 성격 ………………………………………………… 92
1) 분구 출토 유물 ……………………………………………………………………… 92
2) 묘도, 묘실입구 출토 유물 ………………………………………………………… 96

2. 고분 유물의 종류와 특징 ……………………………………………………………… 100
1) 기와와 와당 ………………………………………………………………………… 100
2) 장신구 ……………………………………………………………………………… 107
3) 청자와 백자 ………………………………………………………………………… 117
4) 시유기와 토기 ……………………………………………………………………… 118
5) 금속용기 …………………………………………………………………………… 126
6) 철제 무기와 도구 …………………………………………………………………… 129
7) 갑주와 마구 ………………………………………………………………………… 133
8) 기타 ………………………………………………………………………………… 142

3. 고분 편년 기준으로서 유물 …………………………………………………………… 144
1) 명문 자료 …………………………………………………………………………… 144
2) 교차편년의 기준 …………………………………………………………………… 145
3) 주요 고분의 편년 …………………………………………………………………… 147
4) 고구려 고분 편년 …………………………………………………………………… 153

제4장 고구려의 묘제와 장제……………………………………………………………… 164
1. 묘제의 변천……………………………………………………………………………… 164
1) 수혈식 묘제기: 고구려 묘제의 형성기 …………………………………………… 166
2) 횡혈식 묘제 수용ㆍ정착기: 신묘제의 수용과 확산기 …………………………… 170
3) 묘제의 제일성 확립기 ……………………………………………………………… 173

2. 고분의 시공적 양상 …………………………………………………………………… 177
1) 분포 양상 …………………………………………………………………………… 177
2) 초대형 적석총의 시공적 양상……………………………………………………… 181
3) 평양 진출과 적석총 ………………………………………………………………… 185
4) 벽화분의 분포 양상 ………………………………………………………………… 188

3. 왕릉과 능제……………………………………………………………………………… 201
1) 귀장 ………………………………………………………………………………… 202
2) 수릉 ………………………………………………………………………………… 204
3) 능읍과 배장묘 ……………………………………………………………………… 206
4) 왕릉의 변천 ………………………………………………………………………… 211

4. 장제 ……………………………………………………………………………………… 220
1) 장지와 고분 입지유형 ……………………………………………………………… 220
2) 열상배치 …………………………………………………………………………… 222
3) 다인합장의 여러 형태 ……………………………………………………………… 225

5. 장속: 번소와 훼기 ……………………………………………………………………… 232

6. 장의예술 ………………………………………………………………………………… 235

제5장 동아시아 속의 고구려 고분 ……………………………………………………… 240
1. 벽화분으로 본 고구려와 중국 ………………………………………………………… 240
1) 중국 한ㆍ위ㆍ진대 벽화분 ………………………………………………………… 241
2) 중국 요령성의 후한ㆍ위ㆍ진대 벽화분…………………………………………… 248
3) 감숙성 일대의 위ㆍ진대 벽화분…………………………………………………… 253
4) 중국 벽화분과 고구려 벽화분의 비교 …………………………………………… 257
5) 중국 벽화분과의 비교를 통해 본 고구려 벽화분의 등장과 대외교류 ………… 262

2. 고분 유물로 본 삼연과 고구려 ………………………………………………………… 267
1) 고분 구조 …………………………………………………………………………… 268
2) 부장품 ……………………………………………………………………………… 272
3) 장속 ………………………………………………………………………………… 278
4) 무덤의 전개과정 …………………………………………………………………… 280
5) 고구려와 삼연 문물의 비교………………………………………………………… 283
6)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삼연 요소의 배경 ……………………………………… 289

3. 고분 유물로 본 고구려와 신라 ………………………………………………………… 290
1) 신라 적석목곽분의 고구려 문물…………………………………………………… 291
2) 고구려 고분과 신라 적석목곽분 출토 금속제 마구 ……………………………… 294
3) 고분 유물로 본 4ㆍ5세기의 고구려, 신라 그리고 삼연 ………………………… 299

책을 마치며 …………………………………………………………………………………… 304

영문 초록 ……………………………………………………………………………………… 306
중문 초록 ……………………………………………………………………………………… 310
일문 초록 ……………………………………………………………………………………… 312


부록 1. 고구려 고분 조사 현황 ……………………………………………………………… 315
부록 2. 일제 강점기 하의 고분 명칭 비교 …………………………………………………… 328
부록 3. 관련 문헌 ……………………………………………………………………………… 330

참고문헌………………………………………………………………………………………… 331 색인……………………………………………………………………………………………… 361

도서소개

저자는 고구려가 고대 왕권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지표 유적이라 할 수 있는 ‘성’과 ‘고분’ 중에서도 고분이 축조된 시대의 한 시점을 마치 단면도와 같이 단절적으로 압축해서 보여주는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고구려 고분 연구』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구려 고분 전반에 대한 내용을 총괄하여 소개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