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Ⅰ. 연극론
극단의 현상과 미래
공공극장의 기능과 과제: 아르코얘술극장과 예술의전당
아르코예술극장과 공연예술축제
한국의 지역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모색을 중심으로
지역 문예회관의 창작 공연 운영 모색
한국의 공연예술제와 동구권 연극의 균형
한국 공연예술의 해외진출: 1997년 이전과 그 이후의 변화
과정 중심의 프로젝트를 통한 국제 공동작업의 모색과 실천 방안
공연 역사를 만들어내는 해외극장들: 도심 제작극장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공연예술기관으로서의 극장의 기능과 운영: 미국의 사례들
영미권 문화의 장애인연극
팬스초이스, 연극 작품의 경향과 흐름
한국에서공연된 일본연극의 연출경향
한국연극과 일본연극의 부조리극, 부조리성
한국뮤지컬의 ㅂ라전과 태중문화의 영향: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창작뮤지컬의 약진과 쾌속 성장의 과도기
뮤지컬 '킬러 콘텐츠' 진단과 공연의 양적 증가
음악극, 국제성, 그리고 한국적 창작의 과제
Ⅱ.공연평
여전히 외로움을 노래하는올비의 황혼 아리아 《염소,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
환상을 충동하는 기억의 성장드라마 《나쁜 자석》
'정공법'이 놓친 고전의 격과 은유 《골목길 햄릿》
충격의 레서피, 무거운 진실 《왕궁식당의 최후》
말의 늪에 빠진 《원전유서》의 승리
국립극단 배우들이 별오름으로 달려간 이유 《겨울 해바라기》
왜에 대한 답이 없는 《버자이너 모놀로그》
논리로 증거 하는 연극의 힘 《존경하는 엘레나 선생님》
빗나간 열정의 비극성에 대한 고발 《고곤의 선물》
설화에 빚진 구원의 연극 《뱃사람》
표현주의 무대미술과 엇갈린 액팅초이스 《갈매기》
몸으로 그리고, 음악으로 말해준 《길 떠나는 가족》
핵심 주제의 외길을 선택한《맹목》
다른 답을 요하는 두 개의 질문 《코펜하겐》
관객이 공감하는 '메카'는 어디에 《메카로 가는 길》
영국 신작 희곡의 쇄도와 '음악이 있는 연극' 《미드썸머》
일본연극의 확산과 반(反) '제로세대'의 통속성《마호로바》
양식의 혼재로 삶을 놀기 《저승(冥城)》
신작으로 이름 한 또 하나의 변주 《봄의 노래는 바다에 흐르고》
원작의 혼을 건져낸 피터 브룩 《마술피리》
뚝심로 이른 정공법의 무대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노가쿠(能樂)와 '와(和)'의 미학에 기반한 퓨전 《맥베스》
우리 안에 내재한 폭력을 경고하다 《THE BEE》
숨겨진 서구 정전과 노다 신작에 골인한 일본 공공극장의 공연들 《에드워드 2세》《MIWA》
넘치는 의욕, 야심찬 도전, 미진한 성취 뮤지컬 《천사의 발톱》
메가 창작 첫 걸음의 뮤지컬 《해어화(解語花)》
Ⅲ. 연극제ㆍ국제행사
염려스러웠던, 그러나 성공적인 행사 '2010 서울연극올림픽'
즐거움과 곤혹감이 교차된 오닐 불러오기 '2012 아시아연출가전 - 헬로우, 유진 오닐'
시행착오의 반추를 촉구하는 값진 시도들 '2014 아시아연출가전 - 헨릭 입센'
진화한 신진연출가들의 무대 ' 요람을 흔들다 3'
리딩의 순수성 대신 급속한 진화를택한 '2010 현대일본희곡 낭독공연'
소기의 성과 거둔 '제5회 현대일본희곡낭독공연 및 심포지엄'
외연의 확장과 세대교체로 변화 모색한 '한국현대희곡 드라마리딩 Vol. 6'
젊음의 국제협업 강조한 '2010 제17회 베세토연극제, 일본'지
지난(濟南)의 '지난'했던 '2011 제 18회 베세토연극제, 중국'
성년의 전환점에 선 '2012 제19회 베세토연극제, 한국'
러시아는 축하 중 '체호프 탄생 150주년'
센터스테이지코리아로 재회한 '2013 제20회 시비우국제연극제'
경게를 넘고, 연대로 확장한 일본의 얼니이연극제 '2014 아동ㆍ청소년과 무대예술-만남의 포럼'
나라(奈良)에서 다시 태어난 '백제 기억(伎樂) 전래지 규명 기념행사'
'극장 밖으로 나온 연극'을 주제로 한 '2012 제26차 국제평론가협회(IATC) 바르샤바총회'
Ⅳ.연극인
故 여석기 기억 속에 살아 계신 선생님
임영웅 론 연극사에 새 챕터를 추가하는 임영웅 연출과 《강르 소나타》
한태숙 론 새로운 답을 찾는 연출가 한태숙
심재찬 론 활동의 폭이 넓은 뚝심의 연출가 심재찬
박혜선 론 연출가 박혜선의 행복한 산울림 귀환
박명성 론 연극을 운명으로, 사람 사랑을 원리로
대담 연출가 손진책 인간적인 비전
대담 연출가 박근형 배우에게 뿌리내리고 열매 맺는 박근형 연극 세상
대담 연출가 원영오 창작의자유를 향해 도시를 떠난 후용리 연극사람
대담 배우 김소희 《고곤의 선물》의 헬렌 담슨
대담 언론인전중헌 연극의 변화, 예술의 변화를 웅변하다
대담 공연에술가 마리 엘렌 에스티엔 피터 브룩의 공연 《11 그리고 12》의 협력 연출
Ⅴ.작품론ㆍ공연사ㆍ서평
토월극장의 봄을 여는 내공 십년의 《레? 맥베스 2008》
《채광창》
정의신 희곡 청사(靑史)를 빛낸 《야끼니꾸 드래곤》
영원성과 원형의 연극 《아워타운》
《햄릿》ㆍ햄릿 공연사 - 영어권을 중심으로
봄의 소리에 실어낸《부활》
최영주 외 저『디오니소스 제전에서 뮤지컬까지』(연극과인간, 2009)
히라타 오리자 저, 성기웅ㆍ이성곤 편역『히라타 오리자의 현대구어 연극론』(연극과인간,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