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1부 '거버넌스 위기' 넘어설 진보개혁의 길
진보-보수의 담합과 경쟁의 이중구조ㆍ김종엽
미디어법 판결 이후, 국회는 무엇을 하나ㆍ하승창
연합정치의 진화는 가능한가ㆍ이남주
정부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ㆍ최태욱
지난 백년을 되새기며 새 판을 짜는 2010년으로ㆍ백낙청
'추미애 노조법' 시행 이후 노사관계는?ㆍ이병훈
진보와 개혁의 정치경제학ㆍ김기원
연합정치의 논의, 이제는 성과를 보일 때다ㆍ백승헌
2부 '거버넌스 위기' 넘어설 진보개혁의 길 2
폭주하는 검찰, 어떻게 세울까ㆍ김인회
연합은 분단체제를 허무는 돌파구다ㆍ이일영
노풍, 북풍, 그리고 6·2 지방선거ㆍ이남주
6·2 지방선거와 지식인의 정치적 책임ㆍ김종엽
개혁세력의 두번째 시험대ㆍ김동춘
보수세력의 정상화는 언제 가능할까ㆍ조효제
7·28 재보선과 MB정부의 선택ㆍ고원
3부 4대강사업, 어디로 가야 하나
기로에 선 4대강사업ㆍ이원영
낙동강은 흘러야 한다ㆍ박창근
4대강사업으로 영산강은 살아날까ㆍ이성기
바람직한 금강 살리기를 위한 제언ㆍ허재영
수질악화와 예산낭비의 남한강사업ㆍ박진섭
4대강사업 멈추면 살아날 것들ㆍ정민걸
지방선거 이후 4대강사업의 길ㆍ허재영
4부 천안함사건과 남북관계의 동요
천안함사건과 군 정보독점의 위기ㆍ이태호
臣에게 아직 열두 척의 배가 남아 있습니다ㆍ김대호
'힘에 근거한 대북정책'시대의 도래ㆍ이승환
천안함사건, 미국은 무엇을 챙겨 갔나ㆍ서재정
감사원과 군의 정면충돌에서 드러난 진실ㆍ김종대
계속되는 천안함 의혹 어떻게 풀까ㆍ박선원
천안함 최종보고서, 회피와 왜곡에다 조작까지ㆍ노종면
5부 무엇이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인가
공공부문 동원해 재정적자 메우는 돌려막기ㆍ오건호
두바이의 몰락과 '성장친화형 진보'ㆍ홍종학
한국은행의 앞날이 걱정되는 이유ㆍ이동걸
한중 FTA, '대안적'개방의 시험대로 삼자ㆍ주장환
현대판 그리스 비극의 서막ㆍ조홍식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 FTA정책의 재조명ㆍ김양희
집값 내리는 걸 두려워 말자ㆍ김수현
6부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신질서
21세기 국제정치와 미중관계의 미래ㆍ전재성
큐우슈우에서 생각하는 동아시아 공동체ㆍ백영서
미국, 의료보험 개혁에서 이민법 개혁으로ㆍ김명환
G20 정상회의,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ㆍ손열
7부 교육·복지·환경의 새로운 의제들
기업과 시장에 점령당한 캠퍼스ㆍ김누리
의료민영화는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ㆍ이상이
조커의 미소ㆍ김사과
무상급식 논쟁의 건설적 의미ㆍ최태욱
지역복지의 기반을 허무는 감세정책ㆍ이태수
원자력 '르네쌍스'의 치명적 함정ㆍ이유진
과학을 저버린 저급 '공상소설'을 읽다ㆍ황정아
상지대 문제를 생각한다ㆍ공제욱
청년에게 '공정'하지 못한 사회ㆍ김영경
치수(治水)가 실종된 '위험도시' 서울ㆍ염형철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