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 리아 페이- 베르퀴스트
  • |
  • 휴머니스트
  • |
  • 2017-02-20 출간
  • |
  • 424페이지
  • |
  • 136 X 200 X 29 mm /546g
  • |
  • ISBN 9791160800197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We want more.
내일, 당신이 살고 싶은 그곳
페미니스트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우리가 정말 살고 싶은 세상을 우리는 말할 수 있을까? 뭉뚱그리지 않고, 검열하지 않고, 눈치보지 않고, 정말로 살고 싶은 세상을 글로 쓸 수 있을까? 여기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과 한국의 페미니스트 7인이 정말 살고 싶은 세상을 상상해서 펼쳐 보여준다. 결혼은 어떻게 달라지고, 트랜스젠더를 포용하는 헌법의 전문은 어떤 것이며, 여자 혼자 떠나는 여행의 모습은 어떻게 될지, 10대 엄마의 일과는 어떻게 달라질지, 섹스에 관한 개념은 어떤 것인지, 공동체는 폭력 사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을 하나하나 구체적이고 유머러스하게 써내려간 흥미진진한 글들의 모음이다.

지난 해 독서시장을 뒤흔든 페미니즘 열풍이 이제 한 차원 더 진화했다. 교양으로서 페미니즘을 통해 세상을 새롭게 인식했다면, 이제는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세계를 만들어갈 것인지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 모든 새로운 것은 지난 시대의 상상이 현실이 된 것처럼, 페미니스트의 상상 또한 현실에서 이루어질 밑불이다. 그런 염원을 담아 여기, 동시대를 살고 있는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과 한국의 페미니스트 7인이 저마다 생각하는 유토피아를 픽션, 에세이, 인터뷰, 시, 시각예술로 담아냈다. 이들이 들려주는 유토피아의 모습은 비단 미국 사회, 한국 사회의 문제를 넘어 지금 전지구가 직면한 근원적인 젠더 문제를 감각적으로 첨예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 책에서 그려내는 저마다의 상상은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있어, 모두 구체적으로 사유하고 대안을 마련해내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문제들이다. 이 책은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나 처음 페미니즘에 접하는 독자들에게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성폭력, 패션, 가사노동, 식당노동자, 법체계, 경제, 보육, 일상적인 공포, 처벌, 피해자에 대한 태도 등의 문제가 어떻게 해소되고 새롭게 정의되는지를 흥미롭게 들여다보게 하고 나아가 새로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더 필요한 상상력이 무엇인지 완벽하진 않지만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밑그림을 그리는 데 마중물이 될 만한 책이다.

1. 페미니스트가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미래는 어떤 것일까?
- ‘이기적’이고 ‘게걸스러운’ 페미니스트들의 64가지 이유 있는 유토피아


‘상상’은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현실 전략이다. 인간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상상’했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었고, 상상했기 때문에 하늘을 날고 우주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체계 중 가장 불합리한 체계인 젠더 문제만큼은 항상 ‘나중’으로 미뤄져왔다. 사회의 어떤 의제에서도 항상 다른 의제에 양보하고 나중에 생각하자라는 말로, 유보되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는 젠더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새로운 세상을 상상하기란 불가능하다. 계속 미루다보니, 이제 ‘상상력’까지 메말라가고 있다. 이에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프로젝트는 페미니스트들이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유토피아가 무엇인지 그 구체적인 실체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점에, 가장 필요한 유토피아가 무엇인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그 상상력의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려보고자 한다. 이 질문을 토대로 페미니스트들이 상상하는 유토피아를 따라가다 보면, 단지 이 책이 페미니스트만을 위한 책이 아니라 인간 존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담겨 있음을 알게 된다.

- 성폭력 없는 세상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 세상에서의 성애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강간 문화가 사라진 미래에서 알립니다’ ‘길거리 성희롱이 없는 세계’ ‘환상적인 섹스’ 편에서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성폭력의 문제를 다루며, 성폭력이 없어진 세계에서 섹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몸과 외모에 대한 편견은 사라지는가? 그 세상에서 몸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내 몸은 부끄럽지 않아’ ‘레스보스 섬’ ‘2801년 패션 뉴스’ ‘브래지어 대신 입을 수 있는 아름다운 것들’ ‘섭식장애를 보내며’ 편에서는 소비되는 몸이 아니라 주체로서 존엄받는 몸이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 여성의 스포츠나 문화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젠더의 제약이 없다면 성별에 구분 없이 동등한 경쟁이 가능한가?
‘스포츠에 멋지게 참여하는 몇 가지 방법’ ‘우리는 걸 밴드가 아니에요’ 편에서는 남성 중심 문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스포츠 분야와, 록 밴드에서 젠더 구분이 사라진다면 남녀의 생물학적 격차라는 것도 환상처럼 덧씌워진 편견임을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범죄는 발생하는가? 만일 발생한다면 그 처벌은 어떤 방식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가?
‘복수, 정의, 공동체’ ‘치유에 주목하는 처벌’ 편에서는 유토피아에서 범죄가 발생한다면 사회는 그 범죄를 어떻게 처벌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려낸다. 단지 죗값을 치루는 데 그치는 처벌을 넘어 공동체 일원으로 다시 기여할 수 있는 바를 탐색하는 사회를 상상한다.

-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아이들은 무엇을 배우게 될까?
‘공감 세대 키우기’ ‘유색인종 부모에게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일까’ ‘ 유토피아에서는 뭘 배울까’ ‘경계를 허무는 교실’ ‘페미니즘 기반의 의학 교육’ ‘아이들은 유토피아에서 뭘 가지고 놀까’ ‘새로운 세대의 시민권 선서’ 등의 편에서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있어, 교육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분량 면에서 단적으로 보여준다.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식을 지닌 주체들이 성장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교육의 혁신은 꼭 필요한 요소이다. 아울러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유지하고 더 보완하는 과정에서도 교육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 결혼 제도는 계속 유지될 것인가? 바뀐다면 새로운 대안은 무엇일까?
‘레스보스 섬’ ‘재생산 도우미’ ‘결혼은 안 해’ ‘어느 10대 엄마의 하루’ ‘트랜스젠더 유토피아’ ‘어느 흔한 밤, 어느 흔한 술집에서’ 편에서는 결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 보여준다. 동성이든 이성이든 누구나 아이를 기르거나 낳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혼자 위주의 복지 제도에서 벗어나 누구나 동등하게 복지를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경제체제에서는 무엇을 중점에 두고 경제정책이 집행될 것인가?
‘불완전해도 괜찮아: 인간의 결점을 포용하는 유토피아’ 편에서는 유토피아에서 경제 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집행될지 상상해 보여준다. 아이들에게 원하는 교육을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게 하고, 가사 및 양육 노동이 직업노동과 구분되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를 받는 등, 공공 부분과 인권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는 경제 정책이 어떤 관점에서 나올 수 있는지 탐색한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직장 노동과 가사 노동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동네 급식소’ ‘재생산 도우미’ ‘페미니스트의 미래 직장’ ‘적은 노동, 많은 시간’ ‘자수 혁명’ ‘평등 식당’ 편에서는 현재까지 여성의 일로 젠더화된 식사, 출산, 양육, 청소 등의 가사 노동과 그것의 사회적 확장판인 식당, 청소 노동자의 모습을 통해 유토피아에서 노동이 어떻게 대접받는지를 그린다. 가사 노동으로 일컬어진 노동은 모두 전문 직업군으로 분류되어, 존중과 대우를 받으며 식당, 청소 업체의 근무환경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간 존엄적인 모습을 상상해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의 보건 정책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미친년들’ ‘페미니즘 기반의 의학 교육’ 편에서는 자본주의 사회를 공고히 떠받드는 젠더적 편견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미친년을 만들어내는지, 또 의학교육에서 표준적인 몸을 상정하고 그에 부합하지 않는 몸을 폭력적으로 배제하는 현상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성 노동은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
‘유토피아에도 성 노동이 있느냐고 묻는 것에 관하여’ ‘ 유토피아에서 포르노 배우는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편에서는 성 노동에 대한 논쟁적인 지점들이 미래에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풀어내고 있다.

- 페미니스트 헌법은 무엇을 근본적인 가치로 두고 법체계를 세울 것인가?
페미니스트 헌법에서 가장 핵심적인 가치는 바로 자유의 재정의이다. 기존의 침해에서 벗어나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자유가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에서 ‘존재할’ 자유가 중요함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한다.

2. 미국 페미니스트들의 불쏘시개에 한국 페미니스트들이 기름을 붓다
- 정희진, 은하선, 최은영, 김하나, 최서윤, 김지양, 이진송이 더하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이 책은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이 젠더 문제를 구체적인 언어로 상상해서 펼쳐놓고 보자는 프로젝트로 시작했다. 그에 더해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이 생각하는 유토피아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한국에 살고 있는 페미니스트 7인이 동참했다.
한국적인 맥락에서, 유토피아는 가족의 식사로 대표되는 가사노동의 문제, ‘메갈’로 표상되는 미러링의 전략적 의미, 문단 등 문화계에서 위계화된 젠더 문제, 젊은 여성으로서 페미니스트를 표방할 때의 어려움, 낙인 찍지 않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회, 남성중심의 폭력적인 젠더 사회에서 상처받은 소수자의 목소리 등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오랫동안 여성문제를 사유해온 여성· 평화학자 정희진을 필두로, 카피라이터로 널리 알려진 김하나, 소설집 《쇼코의 미소》로 문단의 주목을 받은 최은영, 《월간 잉여》라는 잡지를 만들고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최서윤, 몸매에 대한 강박을 넘어 당당한 플러스 사이즈 모델을 표방한 김지양, 섹스칼럼니스트로 한국 사회의 위선적이고 가부장적인 문화에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 은하선, 《계간 홀로》를 창간해 연애와 결혼을 강요하고 조장하는 사회에 새로운 목소리를 던진 이진송 등 한국 페미니즘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이들의 글을 통해, 한국에서도 현실진단과 비판을 넘어 페미니즘의 이상이 구현된 실체를 구체적으로 사유하고 언어화하는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언어가 곧 세계’라는 말처럼,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언어화하면 반드시 현실이 될 것을 믿으면서, 이 책을 독자들과 함께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6
20 여자가 여행을 떠날 때 ○○○○○○○○○○ 리아 페이-베르퀴스트
29 미친년들 ○○○○○○○○○○○○○○○○○○○○○○○○ 테사 스미스
38 내 몸은 부끄럽지 않아 ○○○○○○○○○○○○○○○○ 에린 맷슨
42 레스보스 섬 ○○○○○○○○○○○○○○○○○○○○○○○ 질 솔로웨이
53 동네 급식소 ○○○○○○○○○○○○○○○○○○○○○○○○○ 정희진
59 재생산 도우미 ○○○○○○○○○○○○○○○○○○○○○○ 저스틴 우
64 강간 문화가 사라진 미래에서 알립니다 ○○○ 마야 듀슨베리
75 2801년 패션 뉴스 ○○○○○○○○○○○○○○○○○ 제니 트라우트
81 나 자신의 소리 ○○○○○○○○○○○○○○○○○○○ 크리스틴 선 김
84 브래지어 대신 입을 수 있는 아름다운 것들 ○○ 세라 마테스
87 우리가 그네를 타며 나누던 말 ○○○○○○○○○○○○○ 최은영
92 섭식장애를 보내며 ○○○○○○○○○○○○○○○ 엘리자베스 도이치
95 걸 토크 인큐베이터 뉴스 ○○○○○○○○○○ 케이티 J. M. 베이커
97 스포츠에 멋지게 참여하는 몇 가지 방법○ ○ ○○ 제시카 루터
105 마법소녀 국제연합기 ○○○○○○○○○○○○○○○○ 니콜 킬리언
106 다시 태어난 언어 ○○○○○○○○○○○○○○○○○ 에이미 진 포터
112 복수, 정의, 공동체 ○○○○○○○○○○○○○○○○○○ 메리엄 카바
122 치유에 주목하는 처벌 ○○○○○○○○○○○○○○ 로렌 치프 엘크
129 길거리 성희롱이 없는 세계 ○○○○○○○○○○ 한나 기오르기스
133 공감 세대 키우기 ○○○○○○○○○○○○○○○ 민디 로즈 잉글라트
137 내가 원하는 나라 ○○○○○○○○○○○○○○○○○○○○○ 김하나
141 부재가 침묵을 불러온다면 ○○○○○○○○ 레지널드 드웨인 베츠
144 유색인종 부모에게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일까 ○○○ 빅토리아 로
152 유토피아에도 투쟁이 있을까 ○○○○○○○ 멜리사 해리스-페리
161 결혼은 안 해 ○○○○○○○○○○○○○○○○○○○○○○○○ 샘 후버
171 축하합니다, 사람입니다 ○○○○○○○○○○ 얌벌리 M. 타바레즈
176 유토피아에서는 뭘 배울까 ○○○○○○○○○ 일리아나 지메네즈
183 경계를 허무는 교실 ○○○○○○○○○○○○○○○○○○○ 신디 옥
188 우리 모두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루어진 세계 ○○○ 최서윤
196 페미니즘 기반의 의학 교육 ○○○○○○○○○○ 윌리엄 슐레진저
203 어느 10대 엄마의 하루 ○○○○○○○○○○○○○○ 글로리아 말론
209 새로운 성인식 ○○○○○○○○○○○○○○○○○○○ 개브리엘 갬보아
214 현실 버리기 ○○○○○○○○○○○○○○○○○○○○○○○ 샤넬 애덤스
216 아이들은 유토피아에서 뭘 가지고 놀까 ○○○ 케이트 라일리
221 새학기 1·2 ○○○○○○○○○○○○○○○○○○○○○○○ 타일러 코언
224 나는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 김지양
229 페미니스트의 미래 직장 ○○○○○○○○○○○○○○ 엘런 브라보
240 적은 노동, 많은 시간 ○○○○○○○○○○○○○○○ 매들린 슈워츠
247 불완전해도 괜찮아: 인간의 결점을 포용하는 유토피아 ○○○ 실라 바파트
252 새로운 세대의 시민권 선서(2067년 시립기록보관소 녹취록 ○○○ 다라 린드
264 유토피아에도 성 노동이 있느냐고 묻는 것에 관하여 ○○ 멜리사 지라 그랜트
270 유토피아에서 포르노 배우는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 소버린 사이어
278 남자에게서 자유로운 세상 ○○○○○○○○○○○○○○○ 은하선
283 자수 혁명 ○○○○○○○○○○○○○○○○○ 베로니카 바예티 플로레스
287 평등 식당 ○○○○○○○○○○○○○○○○○○○○○○ 아일린 맥팔랜드
292 트랜스젠더 유토피아 ○○○○○○○○○○ 메이저 그리핀-그레이시
301 어느 흔한 밤, 어느 흔한 술집에서 ○○○○○○○ S. E. 스미스
308 여자아이들만의 록 캠프 ○○○○○○○○○○○○○○ 칼라 시켈레
312 우리는 걸 밴드가 아니에요 ○○○○○○○○○○○ 하시 크라우드
318 환상적인 섹스 ○○○○○○○○○○○○○○○○○○○○○ 로리 애들먼
327 슬라이딩 도어즈 ○○○○○○○○○○○○○○○○○ 재스민 줄리아니
331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 ○○○○○○○○○○○○○ 주디 레빅
339 아르카디아에 잘 오셨습니다 ○○○○○○○○○○ 줄리 자일린저
345 자유로워진다는 것의 의미 ○○○○○○○○○○○○○ 미아 매켄지
350 건너가는 힘 ○○○○○○○○○○○○○○○○○○○○○○○○○ 이진송
357 악당만으론 부족해 ○○○○○○○○○○○○○○○ 대니얼 호세 올더
361 새로운 드라마의 완벽한 데이트 ○ ○○○○○○○ 클로이 에인절
367 옛 연인 1~3호를 위한 시 ○○○○○○○○○○○○○ 샬럿 리버먼
373 상처에 대처하는 법 ○○○○○○○○○○○○○○○○○○○○ 수이 박
379 눈부신 순간 ○○○○○○○○○○○○○○○○○○○○○ 코트니 벡스터
382 모든 가능성을 가진 자유로운 여자아이 ○○○○○○ 재닛 목
386 페미니스트 헌법 ○○○○○○○○○○○○○○○○○○ 캐서린 크로스
397 하느님이 여자가 되면 ○○○○○○○○○○○○○○○ 애버게일 카니
399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의 7가지 의례: 출생 전부터 죽은 뒤까지 ○○○ 유미 사쿠가와

부록 1 불완전한 분류 408
부록 2 유토피아를 목격하다 421

저자소개

저자 리아 페이- 베르퀴스트는 작가·영화제작자·교육자로 디스코 시대와 샌프란시스코의 에이즈 충격 사이 잠깐 지나간 문화적 반란기에 태어났다. 현재 석사 학위를 준비하면서 하버드 교육대학원 어반 스콜라 과정에서 소년원의 모범적인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을 연구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