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 전국역사교사모임
  • |
  • 휴머니스트
  • |
  • 2010-11-15 출간
  • |
  • 327페이지
  • |
  • 188 X 254 X 30 mm
  • |
  • ISBN 9788958623625
★★★★★ 평점(10/10) | 리뷰(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역사교사들이 외국인에게 직접 들려주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한국인이 역사 무대에 등장해 통일국가를 이루고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온 과정, 그리고 전쟁과 분단으로 굴곡진 현대사에서도 희망의 역사를 창조해온 과정을 들려준다. 이 책은 한국인에게는 한국 역사를 어떻게 외국인에게 이야기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외국인에게는 한국과 한국인을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 The Story of Korea's History and Culture, told by the History Teachers to the People Around the World
Told in this book, is the story of the Korean people. How they formed a unified country and established their own culture and identity, and how they held together through all kinds of crises like the Korean war and the eventual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y are all here. The message of hope the Korean people have always carried lets us tell the Koreans' proud history more effectively to others, and lets the people around the world understand the past of Korea, more vividly and passionately.

2. 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어떻게 들려주면 좋을까?
이 책은 국제사회에 한국 역사를 편견 없이 소개하기 위해 쓴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이다. 외국인은 물론이고 한국인을 위한 책으로, 이 책의 부제인 ‘한국인은 세계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사의 주역인 한국인이 먼저 한국어로 읽어야 할 책이다. 다양한 역사적 경험이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에 미친 영향과, 그 문화가 한국 역사에 미친 영향을 외국인에게 들려주기 위해서는 한국인이 그 내용을 제대로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먼저 한국인이 한국 역사를 어떻게 이야기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하고 이에 답하고 있다.

2. How can we talk about Korean history to non-Korean readers?
This book attempted to explore a Korean history without bias for non-Korean reade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course, it was written not only for non-Koreans but also for Koreans. As the subtitle indicated in its question, 'How do we Koreans tell Korean history to foreigners?' the Korean version of this book should be first read by the Koreans who played a key role in forming their history. We, Koreans, should understand our own history first to introduce our history to others because when we know the diverse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s that affected the Korean life and cultureand their influence on others cultures, we could talk about our history. Thus, this book answers the questions on how Koreans should tell their history.

3. 한국의 역사를 통해 한국인과 세계인이 더 가까워지기를 바라는 책
이 책은 한국 역사의 시작에서부터 최근의 현대사까지를 다룬 역사책이다. 특히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근대시기 역사를 소상히 다루었으며, 바깥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도 폭넓게 다루었다.
이 책은 과거에 일어난 수많은 사건과 제도를 단순히 나열하기보다 다양한 역사적 경험이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문화가 역사 창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세밀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외국어로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소개한 책을 종종 만날 수 있는데도 새롭게 이 책을 준비한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지금의 한국인이 어떤 역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인이 소중하게 생각하거나 옳지 않게 여기는 가치가 무엇인지도 알게 될 것이다.

3. Hoping to get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Korean history
This book is a historical text that covers Korean history from its foundation to the modern era. It especially deals with pre-modern societies of Korea in detail. Despite its long history, life in its society and its culture are rarely spoken of outsides the peninsula.
Rather than arranging the historical events chronologically, this book focuses more ton the details of the historical events by questioning how the diverse experiences that Koreans had affected their life and culture and what influences that culture had on constructing Korean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we publish this book, although there are already numerous books introducing Korean history. Readers could realize what Koreans have endured and how it lead to their position in the world today. It also mentions their moral values and what they believe is right or wrong.

목차

이 책을 읽는 한국인 독자들에게 - 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어떻게 들려주면 좋을까요
이 책을 읽는 외국인 독자들에게 - 한국의 역사를 통해 더 가까워지기를 바라며
프롤로그 - 한국과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Ⅰ 한국 역사의 시작 (B.C. 50만~B.C. 1세기)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한반도의 선사 문화와 역사시대
1. 한국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2.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일어나다
3. 북과 남에서 여러 국가가 일어나다
[역사의 현장] 세계 최대의 고인돌 왕국
[생활과 문화] 하늘에 제사를 지내다

Ⅱ 삼국시대의 개막 (B.C. 1세기~A.D. 70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1.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이 형성되다
2. 삼국, 치열한 경쟁을 벌이다
[역사의 현장] 1600년 전 고구려 고분과 고분 벽화를 만나다
3. 고구려, 수?당의 침략을 물리치다
4. 교류의 확대로 다양한 문화를 꽃피우다
[생활과 문화] 밥과 김치, 한국인의 밥상 이야기

Ⅲ 남북국을 이룬 통일신라와 발해 (648~926)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세계를 향해 떠난 사람들, 그리고 석굴암
1. 신라, 백제와 고구려를 통합하다
2. 통일신라와 발해, 남북국을 이루다
3. 불교문화가 크게 발달하다
[역사의 현장] 불국사, 부처님의 나라에 세워진 절
4. 남북국시대가 저물어가다
[생활과 문화] 기와집과 초가집, 그리고 온돌과 마루

Ⅳ 통일국가 고려의 등장 (900~1135)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벽란나루와 고려의 황도 개경
1. 고려, 후삼국을 통일하다
2. 과거제도를 도입하고 관료제를 발전시키다
[역사의 현장] 청자, 그리고 도자기 엑스포
3. 격동하는 동북아시아, 실리 외교를 펼치다
[생활과 문화] 부처님 믿고 공자님 따르고

Ⅴ 외세와 싸우며 형성된 새로운 역사 인식 (1135 ~138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몽골제국과 고려의 문화 교류
1. “삼한에서 천민을 없애자”
2. 새로운 역사 인식이 자리잡다
[역사의 현장] 직지와 고인쇄 박물관
3. 떠오르는 개혁 세력,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생활과 문화] 한국인에게 불교란 무엇인가?

Ⅵ 조선의 건국, 새로운 전통의 시작 (1380~1474)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한국 최초의 역서, 칠정산을 만들다
1. 새 나라 조선, 한양을 새 수도로 삼다
[역사의 현장] ‘실록’이라는 이름의 역사책
2. 두만강과 압록강을 새로운 국경으로 만들다
3. 한글이 탄생하다
[생활과 문화] 아름답고 과학적인 글자 한글

Ⅶ 유교 문화의 확산 (1474~165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전쟁에 휩싸인 동북아시아
1. 사림, 유교적 이상 정치를 꿈꾸다
[역사의 현장] 서원, 조선 선비의 삶이 깃든 곳
2. 두 차례 전란에 휩싸이다
3.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자리잡다
[생활과 문화] 제사, 세상 떠난 부모님을 기리다

Ⅷ 변화를 위한 다양한 모색 (1650~1862)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연경(베이징)과 에도(도쿄)로 떠났던 사람들
1. 북벌에서 북학으로, 세계 인식이 확대되다
2. “조선 사회를 재구조화하자!”
[역사의 현장] 화성과 만석거, 정조의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3. 민중들이 일어서다
[생활과 문화] 일상을 빼닮은 풍속화

Ⅸ 전환기를 맞이한 조선 (1863 ~1896)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동아시아 삼국의 개항
1. 구체제 위기에 맞서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다
[역사의 현장] 강화도, 근대 역사의 출발점
2. 근대국가 체계에 참여하다
3. 급진적인 개혁을 시도하다
4. 아래로부터의 혁명과 위로부터의 개혁이 충돌하다
[생활과 문화] 푸른 눈에 비친 조선, 조선을 찾아온 서양

Ⅹ 국민국가 건설의 좌절과 식민지 체제 (1897~1921)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제국주의의 침략과 식민지가 된 조선
1. 대한제국, 마지막 개혁을 시도하다
[역사의 현장] 경운궁과 정동에서 근대 역사를 만나다
2.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3. 식민지가 된 조선, 왜곡된 근대화의 길을 가다
4. 임시정부를 세우다
[생활과 문화] 독립의 염원을 담은 태극기와 애국가

ⅩⅠ 해방을 준비한 한국인들 (1922~1945)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의 독립운동

1. ‘개발 없는 개발’, 민중은 힘들다
2.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다
3. 민족운동이 다양하게 일어나다
4. 파시즘에 맞서며 건국을 준비하다
[역사의 현장]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과 독립기념관
[생활과 문화] 식민지 시대 한국인의 이주, 그리고 해외의 한국인

ⅩⅡ 민주공화국의 수립과 분단 (1945~196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냉전 속의 열전
1. 해방, 건? 운동이 불붙다
2.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지다
3. 한국전쟁이 발발하다
[역사의 현장] DMZ, 38선에서 경의선 복원까지
4. 두 개의 국가로 나뉘다
[생활과 문화] 남북 문화의 이질성과 동질성

ⅩⅢ 변화하는 한반도, 역동적인 대한민국 (1960~201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1980년대 피플 파워와 6월 민주항쟁
1.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다
[역사의 현장] 거대 도시 서울의 변화된 모습, 메트로폴리탄
2.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이루다
3. 사회주의 국가 북한, 벽에 부딪히다
4. 다가서는 남과 북, 한반도의 변화를 꾀하다
[생활과 문화] 외국인 인구 100만 시대, 한국 속의 외국을 말한다

저자소개

저자 전국역사교사모임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뜻있는 한국의 역사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생생하면서도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갖출 수 있도록 ‘살아있는 역사교육’을 하고자 1988년에 만든 모임이다. 현재 2000여 명의 회원이 전국 각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사와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등 교과별로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한편, 인터넷?사진?동영상?현장체험학습 등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방법 연구와 이론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역사교육 전문지인 계간 《역사교육》을 비롯해 다수의 단행본을 펴내며 역사교육의 대중화를 위해서도 힘쓰고 있다.

1992년 《미술로 보는 우리 역사》(푸른나무)
1994년 《사료로 보는 우리 역사 1, 2》(돌베개)
2002년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 2》(휴머니스트)
2002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휴머니스트)
2005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 2》(휴머니스트)
2006년 《마주보는 한일사 1, 2》(사계절)
2008년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휴머니스트)
2008년 《역사교사로 산다는 것》(너머북스)
2010년 《행복한 한국사 초등학교(전10권)》(휴머니스트)

편찬위원오세운 (서울)용산고등학교 이성호 (서울)배명중학교
편찬위원왕홍식 (서울) 보성중학교 유필조 (서울)난곡중학교
편찬위원이강무 (서울)인창중학교 이흥원 (경기)부흥고등학교
편찬위원김태우 (경기)민락중학교

대표 집필 김육훈 신현고등학교(서울) 신용균 거창고등학교(경남)

검토위원 김남철 (전남)나주고등학교 김민수 (부산)주례여자고등학교
검토위원 김종훈 (서울)신관중학교 류형진 (경남)창원명곡고등학교
검토위원 안병갑 (경남)경남과학고등학교 엄기환 (서울)태릉고등학교
검토위원 윤종배 (서울)온곡중학교 이인석 (서울)문정고등학교
검토위원 이재두 (대구)영남중학교 장용준 (전남)함평고등학교
검토위원 정용택 (경기)흥진고등학교 조한경 (경기)부천북고등학교


역자 : 김문희 Michelle Seo GRE-writing author and instructor
감수 : 이강한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Aut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This association was launched in 1988 by history teacher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tudents with a “lively history education” based on accurate historical perspectives and visualization of the past. Currently there are about 2,000 members who are actively working for this organization throughout the country, and we have bee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in specialization of regional, Korean, East-Asian, and World history in accordance to individual subject curricula. Furthermore, we show concern in other educational methods such as the Internet, photos, videos, and field trips as well as theorizations. Based upon our accomplishments, we endeavor to make history a part of public knowledge while publishing History Education, a quarterly magazine specializing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 We have published the following list of books ever since: Our History in view of art (1992); Our History in view of Historical Materials Ⅰ?Ⅱ (1994); Korea through the Ages I?Ⅱ (2002); How Should We Teach History to Our Children? (2002); Lively World History Textbook I?Ⅱ (2005); Mutually Facing Korean and Japanese History I?Ⅱ (2006); History, What Should We Teach and How? (2008); Living as a History Teacher (2008); Delighted Korean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s, 1~10 (2010).

Compilation Committee
Oh Se-woon Yongsan High School
Lee Sung-ho Baemyoung Middle School
Wang Hong-sik Posung Middle School
Yoo Pil-jo Nangok Middle School
Lee Kang-moo Inchang Middle School
Lee Heung-won Puhung High School
Kim Tae-woo Minrak Middle School

Writing Staff
Kim Yug-hun Shinhyeon High School
Shin Yong-kyun Geochang High School

Review Committee
Kim Nam-cheol Naju High School
Kim Min-su Jurye Girls High School
Kim Jong-houn Singwan Middle School
Yoo Hyung-jin Changwon Myeonggok High School
Ahn Byung-ghab Gyeongnam Science High School
Eom Gi-hwan Taereung High School
Yoon Jong-bae Ongok Middle School
Rhee Inn-seuk Munjeong High School
Lee Jae-doo Yeungnam Middle School
Jang Yong-joon Hampyeong High School
Jeong Yong-taek Hungjin High School
Cho Han-kyung Bucheonbuk High School

Translator
Michelle Seo (김문희) GRE-writing author and instructor
(You may view CV at www.ibtedu.com)

Advisor
Lee Kang-hahn Professor, Major of Korean History,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 Korea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